[우난순의 식탐] 내가 먹는 것이 나를 증명한다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내가 먹는 것이 나를 증명한다

  • 승인 2019-03-14 08:34
  • 신문게재 2019-03-14 22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냉이국
스무 날 가까이 미세먼지 속에서 살았다. 독성이 가득한 부유하는 안개의 도시에 갇혀 생존의 문제로 고통에 몸부림쳤다. 산다는 것은 행복인가, 불행인가. 문명의 이기에 익숙한 인간의 딜레마는 계속될 것이다. 앞으로 나아갈 뿐, 멈추지도 않고 더구나 뒤를 돌아보는 건 어리석다고 여길 테니까 말이다. 부안 내소사 전나무 숲길을 걸으며 먼지에 찌든 폐부 깊숙이 청량한 공기를 가득 채웠다. 신선한 전나무 향이 머리를 맑게 했다. 단단하게 다져진 흙길과 길 가에 쭉쭉 뻗은 키 큰 전나무들이 그렇게 정답게 느껴질 수가 없다. 나무를 보면, 나무에 가까이 있으면 위안을 받는다. 전나무 기둥을 손으로 만져 보았다. 거친 나무 껍질이 생명력 있는 자연에서 느끼는 삶의 에너지를 준다. 이 나무들은 몇 살일까. 수령이 꽤 됨직한데 그 푸르름은 늙지 않는다. 나도 저 나무들처럼 늙어가면 얼마나 좋을까.

내소사의 백미는 대웅보전이다. 단청을 입히지 않은 아담한 자태 속에 들어가보면 뜻밖의 선물을 만난다. 꽃살문의 화려한 문양에 저절로 입이 벌어진다. 실루엣의 극치라고나 할까. 연꽃, 국화가 새겨진 문살이 어찌나 섬세한 지, 사진으로 본 인도 불교 조각품을 대하는 듯하다. 400년 전 이 나무에 하나하나 꽃을 조각한 장인은 무슨 생각을 했을까. 고행하는 싯타르타가 보리수 나무 아래서 깨달음을 얻는 것처럼 불심으로 정진했을까. 기나긴 세월에, 바람결에 닳은 꽃살문은 그래서 더욱 아름답다. 꽃살문을 어루만지며 오래 전 장인의 손길을 더듬어본다. 그 옛날에 나무에 꽃을 새기던 장인의 거칠고 투박한 손과 맞닿는 환상에 사로잡힌다. 모처럼만에 맑은 공기와 봄 햇살에 맘껏 몸을 맡겼다. 대웅보전 주춧돌에 걸터앉아 한참동안 봄볕의 나른함에 취했다. 시간이 멈춘 듯, 다만 아이들의 티없는 웃음소리가 현실의 나를 일깨웠다. "아, 따시다." 노구를 이끌고 법당을 둘러보던 한 노인이 햇살 아래로 나오며 말했다. 꽃말이 '영원불멸의 사랑'이라는 산수유꽃도 피었다. 붓다의 자비는 영원할까.

일주일 전 위장에 탈이 나서 며칠 앓아서인지 자리에서 일어날 때 현기증이 났다. 미세먼지, 한파가 번갈아 오는 바람에 지난 겨울 통 운동을 못했었다. 겨우내 1kg 찐 살이 아프면서 도로 빠져버렸다. 밥을 먹어야 어깨가 펴질 것 같았다. 내소사 일주문에서 나오자 음식냄새가 진동해 코를 벌름거렸다. 입으로야 파전에 막걸리 한잔 쭈욱 들이켜고 싶지만 산채비빔밥을 먹기로 했다. 고사리, 버섯, 콩나물, 시금치 등 온갖 나물과 계란 프라이가 얹힌 대접에 밥 한 공기를 통째로 넣어 비볐다. 그리고 배추 된장국을 한 술 떠먹었다. 아! 구수한 된장냄새. 요번에 체하고 배탈난 날 저녁에 아무 것도 먹을 수 없을 때 멸치·표고버섯가루와 대파만 넣은 맑은 된장국을 끓여 마셨다. 그리고 이틀동안 된장으로 끓인 시금치죽으로 속을 다스렸다.

된장으로 만든 음식은 다 좋다. 일단 속이 편하다. 김치찌개보다 된장찌개가 맛있고, 여름날 엄마가 해 주던 된장 수제비는 잊을 수 없다. 앞뜰에 심은 호박잎과 애호박을 손으로 뜯어넣고 청양고추 쫑쫑 썰어 넣은 된장 수제비는 엄마의 별미였다. 달착지근한 일본 미소된장보다 깊은 맛이 나는 우리 된장이 내 입맛에 맞는다. 비빔밥을 먹으면서 배추된장국을 한 그릇 더 달라고 해서 먹었다. 주인 아주머니에게 된장국이 맛있다며 직접 담그냐고 물으니까 "네"하고 휑 가버렸다. 순간 머쓱했다. 혹시 식품회사에서 파는 된장에 마법의 조미료를 넣었나? 아니면 말린 바퀴벌레를 갈아서 넣었을 지도…. 그날 저녁 집에 와서 냉이된장국과 달래무침을 해 먹었다. 봄의 향기였다. 지금 산과 들에 쑥이 돋아났을텐데 쑥된장국도 빠질 수 없다. 언제 아팠냐는 듯 다시 식욕이 동한다.<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5.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3. 어촌서 재충전, '쉬어(漁)가요'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4. 챗봇 '해수호봇', 해양안전 디지털 혁신 이끈다
  5. 정부 부동산 대책 지방 위한 추가대안 마련 시급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9일 “남북이 다시 손잡는 핵심은 경제협력이고, 우리는 경제통일에 민생통일을 추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통일부가 2026년 남북협력기금으로 1조 25억원을 편성했다. 주목할 것은 경제협력사업 예산으로, 606억원에서 1789억원으로 세 배가량 증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개성공단과 같은 경제협력 사업의 재개를 위해 필요한 도로와 폐수 시설 같은 복구와 구축 사업 예산”이라며 “남북이 힘을 합치면 경제 규모도 커지고 일자리도 늘어나고, 동..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새 정부 출범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타던 국내 증시가 최근 조정 국면을 맞고 있지만, 충청권 상장사들은 비교적 선방하고 있다. 전체적인 시장의 침체 분위기 속 8월 한 달 간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 합계는 전월 대비 0.3%(4074억 원) 증가한 152조 3402억 원에 도달했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9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8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52조 3402억 원으로 전월(151조 9328억 원) 대비 0.3% 증가했다. 8월 한 달 동안 대전·세종·충남 지역의 시총은 근..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민선 8기 대전시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이 속속 임기를 마치면서 연임과 교체의 '갈림길'에 놓였다. 이장우 시장의 임기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물갈이를 통한 조직 변화를 꾀할지, 연장으로 막바지 조직 안정화를 선택할지에 대한 관심이 쏠린다. 9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 출자·출연 기관장은 시장과 임기를 같이 하기로 조례로 정했지만, 시 산하 공기업은 지방공기업법을 적용받아 이와 무관하다. 이에 민선 8기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들의 3년 임기가 순차적으로 끝나고 있다. 대전관광공사는 임원 교체 분위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