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당신이 먹는 게국지는 그 게국지가 아녀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당신이 먹는 게국지는 그 게국지가 아녀

  • 승인 2019-06-05 10:28
  • 신문게재 2019-06-06 14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게국지
내가 일하는 미디어부엔 고향이 서산인 동료가 있다. 전산 담당인데 얼굴이 동글동글하고 눈코입이 손톱으로 콕 찍은 것처럼 작고 귀여워 겨울엔 찐빵 같고 이때 쯤엔 하지 감자를 연상케 한다. 그런데 이 친구가 보기 드문 효자다. 철마다 부인과 휴가내서 가을 추수, 김장, 좀 있으면 감자 수확하러 고향에 간단다. 요즘 봉준호 감독이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받아서 이 친구도 덕담 좀 들었다. 성이 봉씨이기 때문이다. 나 역시 한마디 했다. "와, 요즘 봉씨 전성기네. 봉준호, 봉만대 그리고 우리 봉차장." 나도 고향이 시골이고 봉차장도 서해 바닷가여서 점심 먹을 때 종종 고향 얘기를 나눈다. 어느 날은 게국지에 대해 물어봤다. 게국지는 서산태안의 토속 음식으로 한번도 먹어보지 못했다. 봉차장은 요즘 식당에서 나오는 게국지는 옛날 집에서 먹은 그것과는 다르다고 했다.

봉차장에 의하면 식당에서 파는 게국지는 한마디로 본질을 한참 벗어난 짝퉁인 셈이다. 배추 겉절이에 꽃게를 넣어 끓인 걸 게국지라고 한다며 어이없어 했다. 봉차장은 할머니가 해준 게국지를 이젠 먹을 수 없다고 아쉬워한다. 도대체 게국지는 어떻게 만드는 걸까. 먹을 게 귀하던 옛날 바닷가에선 박하지를 비롯해 잘디 잔 게들, 칠게와 능쟁이로 게장을 담갔다고 한다. 김장철에 그 게장에 배추 겉 잎사귀와 호박을 넣고 버무려 겨우내 삭혀 끓여먹는 게 게국지라고 한다. 이를테면 게국지는 배고픈 시절 어촌에서 먹던 향수어린 서민 음식이다.

진짜배기 게국지를 먹고싶은 열망이 끓어올랐다. 일단 서산시청 문화담당 부서에 전화를 했다. 난 담당자에게 간절함을 담아 옛날 방식으로 만든 게국지를 먹어보고 싶다며 주절주절 이러쿵저러쿵 장황하게 설명했다. "시청 앞 골목으로 들어가면 있어요. 30년 된 식당이에요." 공무원이 알려준 식당은 후미진 골목에 납작하게 들어 앉았다. 오래되고 소박해서 정감이 갔다. 관청에서 알려준 곳이라 숨은 맛집은 아니겠다 싶어 점심 시간을 피해 1시 넘어서 들어갔다. 다행히 손님들이 없었다. 부엌에선 설거지하는 소리가 요란했다. 드디어 게국지가 나왔다. 국물이 맵진 않은데 짭조름했다. 주인장에게 옛날 게국지를 먹고 산 서산이 고향인 지인이 있다고 얘기했다. 주인은 지금은 게가 비싸 예전 게국지처럼 똑같이 못 담근다며 게장 대신 액젓을 넣는다고 했다.

게국지와 나란히 나온 찌개도 특이했다. 두툼하게 깍둑 썬 무를 넣었는데 그것 역시 짜디 짰다. 게국지 국물 맛이 나는 걸로 봐서 액젓으로 간을 한 모양이었다. 주인한테 이건 뭐냐고 물었다. "무 찌개유." 바닷가 요리라서 그런지 대체적으로 짜지만 감칠맛이 있었다. 게국지도 그렇고 무 찌개도 그렇고 이것저것 들어간 것 없이 단순하고 소박했다. 음식 맛이 복잡하지 않고 깔끔했다. 고춧가루도 절구에 빻은 것처럼 입자가 거칠고 넣는 시늉만 했다. 설거지를 끝낸 아주머니들과 주인 아저씨가 내 옆 테이블에서 바지락 넣은 국수를 먹었다. 밥을 먹다 고개를 빼고 쳐다보자 한 아주머니가 "국수 줄까유?" 하길래 두말 않고 한 대접 얻어 후루룩 마셨다.



인류 역사에서 맛만큼 다양하고 고집스러운 건 없다. 사람은 어릴 적 기억을 맛으로 소환한다. 우리집 특제요리는 엄마의 간장게장이었다. 지금은 엄마가 연로하고 건강이 예전만 못해 간장게장을 먹은 지 꽤 됐다. 민물게나 박하지로 담근 엄마의 짭조름한 간장게장. 한번은 엄마가 꽃게로 담갔는데 비린내가 심해서 버렸다. 오직 박하지만이 낼 수 있는 간장게장의 풍미를 꽃게는 감히 흉내낼 수 없었다. 이제 나의 엄마와 바닷가 갯마을 아낙들의 투박한 손맛이 사라져 간다. 혀 끝에 남아 있는 오래된 입맛은 고향을 그리는 향수다. 흘러간 사랑처럼 가슴이 아릿해진다.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5.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3. 어촌서 재충전, '쉬어(漁)가요'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4. 챗봇 '해수호봇', 해양안전 디지털 혁신 이끈다
  5. 정부 부동산 대책 지방 위한 추가대안 마련 시급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9일 “남북이 다시 손잡는 핵심은 경제협력이고, 우리는 경제통일에 민생통일을 추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통일부가 2026년 남북협력기금으로 1조 25억원을 편성했다. 주목할 것은 경제협력사업 예산으로, 606억원에서 1789억원으로 세 배가량 증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개성공단과 같은 경제협력 사업의 재개를 위해 필요한 도로와 폐수 시설 같은 복구와 구축 사업 예산”이라며 “남북이 힘을 합치면 경제 규모도 커지고 일자리도 늘어나고, 동..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새 정부 출범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타던 국내 증시가 최근 조정 국면을 맞고 있지만, 충청권 상장사들은 비교적 선방하고 있다. 전체적인 시장의 침체 분위기 속 8월 한 달 간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 합계는 전월 대비 0.3%(4074억 원) 증가한 152조 3402억 원에 도달했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9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8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52조 3402억 원으로 전월(151조 9328억 원) 대비 0.3% 증가했다. 8월 한 달 동안 대전·세종·충남 지역의 시총은 근..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민선 8기 대전시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이 속속 임기를 마치면서 연임과 교체의 '갈림길'에 놓였다. 이장우 시장의 임기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물갈이를 통한 조직 변화를 꾀할지, 연장으로 막바지 조직 안정화를 선택할지에 대한 관심이 쏠린다. 9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 출자·출연 기관장은 시장과 임기를 같이 하기로 조례로 정했지만, 시 산하 공기업은 지방공기업법을 적용받아 이와 무관하다. 이에 민선 8기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들의 3년 임기가 순차적으로 끝나고 있다. 대전관광공사는 임원 교체 분위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