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칼럼]오른쪽 뺨 맞고, 왼쪽 뺨도 내어주나…?

  • 오피니언
  • 독자 칼럼

[독자칼럼]오른쪽 뺨 맞고, 왼쪽 뺨도 내어주나…?

  • 승인 2020-09-29 09:48
  • 이승규 기자이승규 기자
가끔은 알고 있는 일들이 헛것처럼 느껴진다. 세상에 일어나는 모든 일의 근원을 알 수 없고, 쑥덕공론에 휘말릴 때면 뭐가 진실인지 구분키도 어렵다. 이번에 일어난 공무원 피격사건도 마찬가지다.

군 당국에 따르면 지난 22일 북측 장산곶 인근 해상에서 북한군에 의해 우리나라 공무원이 피격 후 사망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리고 25일 북한에서 통지문을 통해 사건 경위와 사과를 전했다. 그런데도 의혹이 제기되는 것이 한둘이 아니다.

월북 관련 주장과 시신 훼손 모두 두 당국의 주장이 다르기 때문이다. 진실을 모르는 상황에서 무엇이 옳은 것이라 섣불리 판단하는 것은 남북 간의 신뢰구축에서 해가 될 것이다.

사실상 우리 정부는 북한에 공조를 제안했다. 이번 사건에 국제사회는 북한을 정상국가라 보기 어렵다는 견해니 북한은 공조 제안을 받아들일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공조 제안을 수락해 사건의 진상을 명확히 규명하고, 시신을 수습해 유가족에게 돌려보내는 것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



과거 2008년 금강산 관광객 피살 사건에서처럼 정부가 북한에 제대로 된 재발 방지 약속도 받아내지 못하고, 우리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한다면 국민은 불안에 떨며 정부를 믿지 못하게 될 것이다. 또한, 민간인 비사법적 살인과 한 개인의 생명권이 침해당했다는 점에서도 국제사회와 우리 정부는 신속한 조사를 통해 정확한 잣대를 들이밀어야 한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오른쪽 뺨 맞고, 왼쪽 뺨을 내어줄 것이 아니라 눈에는 눈, 이에는 이처럼 강력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한남대학교 정치언론학과 유혜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법원, 유튜브 후원금 횡령 혐의 40대 여성 선고유예
  2. 캄보디아서 구금 중 송환된 한국인 70%, 충남경찰청 수사 받는다
  3. 천안시, 직원 대상 청렴·반부패 추가교육 실시
  4. 대한전문건설협회 대전시회, '중대재해 근절 성실·안전시공 결의식' 개최
  5. 대만 노동부 노동력발전서, 한기대 STEP 벤치마킹
  1. 천안시, '정신건강의 날 기념' 마음건강 회복의 장 마련
  2. 천안시의회 이병하 의원 대표발의, '천안시 온실가스감축인지 예산제 운영' 등 2건 상임위 통과
  3. 천안동남소방서, 현장대응활동 토론회 개최
  4. 천안시 보건소, '영양플러스 유아 간식 교실' 운영
  5. 한화이글스의 가을…만원 관중으로 시작

헤드라인 뉴스


국감 중반전…충청 슈퍼위크 돌입 촉각

국감 중반전…충청 슈퍼위크 돌입 촉각

이재명 정부 첫 국정감사가 중반전에 돌입한 가운데 대전시와 세종시 등 충청권 시도를 포함한 지역 주요 피감 기관장들이 20일부터 줄줄이 증인대에 오른다. 내년 지방선거 앞 국감에서 기선 제압을 위한 여야 각축전이 금강벨트로 확전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충청권으로선 현안 이슈파이팅으로 미래 성장 동력을 창출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했다는 지적이다. 여야는 지금까지 올 국감에서 조희대 대법원장과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 등을 둘러싼 각종 의혹을 두고 정책이 실종된 채 정쟁을 벌이며 '막말 국감'을 자초하고 있다. 한껏 가팔라진 여야 대..

국감서 혹독한 평가 우주항공청, 대전에 연구개발 역량 집중해야
국감서 혹독한 평가 우주항공청, 대전에 연구개발 역량 집중해야

개청한지 1년 반이 지난 우주항공청이 국정감사에서 혹독한 평가를 받는 가운데 '우주항공 5대 강국 도약'을 위해선 대전을 중심으로 한 연구개발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는 우주항공청의 운영 체계와 인력 구성 등 조직 안정성과 정책 추진력 모두 미흡하다는 질타가 쏟아졌다. "전문가들은 우주청의 구조적 한계로 '예산 부족'을 꼽는다. 올해 우주항공청 예산은 약 9650억원으로, 1조원에도 미치지 못한다. 모든 분야를 포괄하기엔 역부족인 규모다. 여기에 입지 문제도 크다. 우주청..

대전창작센터, 원로 예술인 특화 전시관으로 전환
대전창작센터, 원로 예술인 특화 전시관으로 전환

대전 미술의 창작 공간이던 대전창작센터가 20년 여정의 마침표를 찍고, 원로예술인 특화 전시관으로 전환된다. 19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창작센터는 옛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청지원 건물로 故배한구(1917~2000) 선생이 설계한 것으로 등록문화재 10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한국 근대건축으로 평가받는다. 2005년 대전시립미술관은 한남대 건축학과 한필원 교수와 협력한 프로젝트 전시 <산책-건축과 미술>을 통해 문화시설로서의 재생 기능성을 확인하고 본격적인 프로젝트에 돌입, 2008년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으로부터 관리전환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