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문화도시 프로젝트] ⑨둔산문화예술단지에 '메타버스' 접목해 '과학문화도시'로

  • 문화
  • 문화 일반

[지속가능한 문화도시 프로젝트] ⑨둔산문화예술단지에 '메타버스' 접목해 '과학문화도시'로

둔산문화예술단지, 대덕연구단지 최신기술 체험할 수 있는 곳으로 만들어야
메타버스, 공연장, 전시장 부족 문제 해소..포스트코로나 시대 새로운 대안될 수 있어

  • 승인 2021-10-16 13:41
  • 수정 2021-11-14 09:56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대전시립미술관_2015-04-30_4
둔산문화예술단지 내 대전시립미술관 / 출처-대전시 제공
대전은 1992년 대덕연구단지 준공과 1993년 엑스포 개최를 계기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과학도시로서 자리매김했다. 그동안 과학도시의 면모를 살려 '대전비엔날레' '아티언스 대전' 등 예술과 과학이 융합된 행사들이 지역에서 열리기도 했다. 하지만 지역 문화예술계와 연구기관의 협업은 행사성에만 그칠 뿐, 대전이 연구단지라는 좋은 자원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 또한 존재한다.

문화계는 대덕연구단지와 둔산문화예술단지가 위치상으로도 인접해있는 만큼 두 단지를 활용한다면 '과학문화도시'라는 새로운 도시 브랜드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대덕연구단지의 최신 기술을 대전시민들이 체험할 수 있는 곳으로 만들자는 것이다.



이에 요즘 떠오르고 있는 성장 동력인 '메타버스' 기술을 둔산문화예술단지에 접목하자는 목소리가 있다. 메타버스는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 세계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다. 현실과 유사한 사회·경제·문화 활동이 이뤄지는 3차원의 가상세계다.

전문가들은 메타버스 기술이 대전의 공연장과 전시 공간 부족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사회적거리두기로 문화계가 어려움을 겪은 만큼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트레비스 스콧
트레비스 스콧 가상세계 콘서트 모습 / 출처-포트나이트
실제로 최근 많은 아티스트들이 가상공간에 눈을 돌리고 있다. 미국의 유명 래퍼 트레비스 스캇은 코로나19로 공연을 열 수 없게 되자 '포트나이트'라는 가상 게임 플랫폼을 통해 콘서트를 진행했다. 관객 1230만 명이 접속했고 221억 원의 수익을 얻었다. 블랙핑크 또한 '제페토'라는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팬사인회를 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미술시장에서도 메타버스가 각광 받고 있다. 오프라인 전시로 관객동원이 어려워지면서 3D모델링으로 만든 가상 공간을 이용한 전시·거래가 늘고 있는 것이다. NFT(대체불가토큰)작품 거래도 활발하다. 지난 3월에는 디지털 화가 비플(Beeple)이 만든 '매일:첫 5000일'이란 NFT 그림 파일 작품이 6930만 달러(약 764억 원)에 팔려 주목을 받았다. 5월에는 한국 근현대미술 거장 이중섭, 박수근, 김환기 그림이 NFT작품으로 전환돼 온라인 경매에 나오기도 했다.

AKR20201015043400005_01_i_P4
서울 소마미술관 가상전시 / 출처-연합뉴스
타 지자체에서도 각종 축제행사와 문화여가시설에 메타버스 기술을 적극 적용하고 있다. 부산의 경우 송정해수욕장에 가상체험 공간인 송정서핑빌리지를 조성한다. 현실 세계를 기반한 시민참여형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공원 노후화가 진행되고 있는 용두산 공원은 메타버스 기반 첨단 실감형 콘텐츠와 미디어 아트 기술을 접목해 새롭게 탈바꿈할 예정이다.

대전에서도 최근 마이스산업의 핵심 역할을 할 대전국제컨벤션센터를 메타버스 기반의 최첨단 디지털 전시장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대전마케팅공사가 국제컨벤션센터 일대와 둔산문화예술단지까지 묶어 국제회의복합지구로 지정받기 위한 계획을 세운 만큼 메타버스를 둔산문화예술단지 내 시설들을 아우르는 대표 콘텐츠로 고려해볼 수 있다.

우운택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교수는 "VR, 스마트폰으로 공연, 전시를 볼 수 있는 메타버스 기술을 둔산문화예술단지에 접목한다면 앞으로 지역예술가들이 작품을 선보일 수 있는 기회가 더 늘어날 것"이라며 "증강현실이 가능한 미래형 공연장, 전시장을 통해 시민들에게 새로운 문화예술체험기회도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 동래구, 제3회 온천천 빛 축제 개최
  2. 김포시농기계임대사업소, 노후농기계 불용품 매각
  3.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4. 천안 벽산 블루밍 파크포레, 사업계획 승인 및 도급계약 모두 마쳐
  5. 상명대 간호학과, 나이팅게일 선서식 개최
  1. 한기대 STEP, '열정 가득' 온라인 서포터즈 3기 출범
  2. 천안시보건소, '생명존중 안심마을' 4곳 지정
  3. 나사렛대, 기아자동차 정주훈 상무 초청 '경영인의 날' 성료
  4. 충남창경센터, 'The Future with AX Forum' 개최
  5. 한기대, 충남경제정책 경연대회 우수상·장려상

헤드라인 뉴스


다시 만날, 첫 대전시청사… 복원‧보수설계 탄력 붙는다

다시 만날, 첫 대전시청사… 복원‧보수설계 탄력 붙는다

민선 8기 대전시를 대표하는 문화유산 복원·활용 프로젝트인 첫 대전시청사(옛 대전부청사)의 복원·보수 설계가 본격 착수된다. 23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는 첫 대전시청사의 설계용역 제안 공모 심사에서 '시공회당(時空會堂, 시간의 흔적을 공간으로 빚다)'로 당선된 ㈜아인그룹건축사무소·제이아이건축사사무소(공동응모)와 계약을 체결했다. '시공회당'은 섬세한 보존 전략과 함께 현재와 미래의 활용 가치를 높이는 계획, 공간 분석 및 원형 복원을 위한 기술적 검토의 완성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제이아이건축사사무소의 김지현 소장은 프랑스..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4차 발사가 나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민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주말부터 전국에서 누리호 관련 행사가 진행되며 4차 발사 성공을 기원하는 분위기가 고양되고 있다. 23일 우주항공청·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27일 오전 12시 54분에서 1시 14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서 누리호 4차 발사가 예정돼 있다. 발사 예비 기간은 이날부터 12월 4일까지며 이 기간 중 누리호 4차 발사가 진행된다. 이번 발사는 기존과 달리 늦은 시간 진행된다.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기의 궤도 진입을 고려한 시간이다...

국제유가 안정세에도 고환율에 계속되는 `고유가 행진`
국제유가 안정세에도 고환율에 계속되는 '고유가 행진'

국제유가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국내 기름값은 고유가 행진을 이어가 주목된다. 이는 원·달러 환율이 치솟으면서 고환율로 인한 원유 수입 비용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23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11월 셋째 주 전국 주유소의 휘발유 주간 평균 판매가는 지난주보다 ℓ당 25.80원 오른 1729.72원을 기록했다. 경유는 38.54원 오른 1636.57원으로 집계됐다. 전국 주유소 휘발유와 경유의 주간 평균 가격은 4주 연속 동반 상승했다. 대전·세종·충남지역 내 기름값도 10월 넷째 주를 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