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일기:MZ읽기]'저렴한 가격에 근거리 빠르게 이동' 1인 교통수단 인기

  • 문화
  • 문화 일반

[트렌드일기:MZ읽기]'저렴한 가격에 근거리 빠르게 이동' 1인 교통수단 인기

킥보드, 자전거 대여 서비스 타인과의 접촉 적어 인기
헷멧 미착용, 무면허 등 안전 사고 유의해야해

  • 승인 2021-10-23 20:44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등하교를 할때면 대중교통을 타고 이동했던 박유미(24)씨에게 새로운 변화가 생겼다. 그는 이제 20분이 넘는 학교를 갈 때 버스가 아닌 전동킥보드를 대여해 이동하는 것이다.

유미씨는 최근 헬멧 착용이 필수화 되면서 인터넷에서 가벼운 헬멧도 구매해 킥보드를 이용하는 중이다. 대중교통을 타면 많은 사람 사이에 끼어 힘들게 이동을 하면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았지만, 혼자 킥보드를 타고 이동을 한 뒤 삶의 질이 향상됐다고 한다.

"거리가 그렇게 멀지 않아 버스 요금이랑 차이가 크게 나지 않고, 편하게 혼자 움직일 수 있어서 너무 좋다"며 "주말에도 가끔 친구들과 킥보드를 대여해 가까운 공원에 피크닉을 즐기러 가곤 한다"며 그 이유를 말했다.

1330507758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최근 MZ세대(밀레니얼+Z세대)사이에서 공유 소비가 자리 잡으면서 킥보드, 전기 자전거 등 대여 서비스가 인기를 끌고 있다.



타인과의 접촉을 최소한으로 하는 1인 이동 수단이 코로나19 장기화로 비대면 시대가 새롭게 열리면서 더욱 가속화 된 것이다.

또한 MZ세대들이 가장 관심을 두고 있는 환경 보호에 맞물려 친환경 교통수단으로써 이러한 대여 서비스가 더욱 활성화 되고 있다.

길에서 쉽게 대여할 수 있는 전동 킥보드와, 전기 자전거는 대중교통과 비슷한 요금으로 짧은 거리를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특히 대학생들 사이에서 유행이 불고 있다.

실제로 강의를 들으러 갈 때 마다 최대 20분까지 걸어서 이동해야하는 지역 대학교에서는 전동 킥보드를 대여해 움직이는 학생들을 쉽게 볼 수 있다.

대학생 김민수(26)씨도 도서관에서 시험공부를 하고 다음 강의 수업이 있는 건물까지 전동 킥보드를 타고 이동을 하고 있었다.

그는 "학교가 워낙 커서 다른 건물을 갈 때면 셔틀버스를 기다리거나 걸어서 한참을 이동해야 했는데, 이러한 대여 서비스가 생긴 뒤 항상 킥보드나 자전거를 대여해 움직인다"며 "셔틀 버스 시간을 놓칠까봐 급하게 움직이지 않아도 돼 시간을 절약하고, 빠르게 움직일 수 있어서 편하다"고 말했다.

GettyImages-jv12264124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다만 이러한 이동 수단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안전 사고에 유의해야 한다는 입장도 늘고 있다.

간혹 사람이 다니는 보도에서 빠른 속도로 이동해 접촉 사고가 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운전면허 없이는 대여가 불법인 전동킥보드의 경우 교복을 입은 학생들이 이용하는 모습도 포착돼 위험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대전에 거주하는 A씨는 "헬멧을 쓰지 않으면 벌금 10만원을 내야 하는 걸로 아는데 헬멧을 쓰고 킥보드를 타는 사람을 찾아 보기 힘들 정도"라며 "게다가 사람뿐만 아니라 자동차와도 부딪칠 수 있다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너무 빠르지 않은 속도로 안전을 지키며 이용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5~6학년부 예선
  2. [사설] 최교진 교육장관의 '교권 보호' 언급
  3.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여성부 예선
  4.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3~4학년부 FS오산 우승
  5. [월요논단] 교통약자의 편리한 이동을 위한 공공교통
  1. [사설] K-스틸법으로 철강산업 살려내야 한다
  2. 지질자원연 창립 77주년, 새 슬로건 'NEO KIGAM 지구를 위한 혁신'
  3. 특구재단 16~17일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투자주간'
  4. [홍석환의 3분 경영] 무능한 리더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
  5. 폭우에 도로 잠기고 나무 쓰러져…당진서 알레르기 환자 긴급 이송

헤드라인 뉴스


조선 조운선 `마도4호선` 첫 발굴 10년만에 선체인양

조선 조운선 '마도4호선' 첫 발굴 10년만에 선체인양

한양 광흥창으로 가다가 태안 앞바다에서 침몰한 조선의 조운선 마도4호선이 2015년 발견돼 10년간 유물을 꺼내는 과정을 마치고 오늘부터 선체를 수면 위로 인양한다. 조선시대 조세인 쌀과 콩을 무겁게 싣고도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었던 나무배의 구조를 파악하고 누수를 막는 볏짚 뱃밥과 나무못이 사용된 첫 사례로써 비상한 관심을 받고 있다.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태안군 근흥면 마도 해변가에서 1㎞ 남짓 떨어진 마도 연안에서 9월 13일부터 마도4호선이라고 명명된 조선시대 조운선 인양을 시작했다. 많은 비가 내린 탓에 실제 인양은 15일부..

"대학생이 바라본 지역 현안은"… 정책과 보완점 논의
"대학생이 바라본 지역 현안은"… 정책과 보완점 논의

대전 유성구 정책 분석을 위해 지역 대학생들이 머리를 맞댔다. 14일 유성구에 따르면 12일 유성구청에서 데이터를 활용해 지역 현안을 분석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데이터 기반 문제해결단'의 연구 보고회를 개최했다. 데이터 기반 문제해결단은 KAIST와 국립한밭대 학생 2개 팀으로 구성됐다. 앞서 6개월간 팀별 멘토 교수의 지도를 받아 데이터 분석과 정책 대안 제시 활동을 이어왔다. 보고회에서 KAIST '얼른타보슈' 팀은 축제·유동량·소비 등 데이터를 융합·분석해 축제가 지역 상권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발표했다. 분석 결과, 과..

중처법·노란봉투법에 흔들리는 지역기업 탈출구는?
중처법·노란봉투법에 흔들리는 지역기업 탈출구는?

#1. 중대재해처벌법(이하 중처법)이 시행 3년차에 접어들었지만,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에 대한 경영책임자의 법적 의무 범위가 여전히 모호해 산업현장에서 혼란을 키우고 있다. 최근 금융위원회가 중대재해 발생 기업에 대해 대출 제한, 신용등급 하락 등 금융 제재를 가하겠다고 밝히면서 기업들의 불안감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2. 지난 8월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노란봉투법(노조법 2·3조 개정안) 역시 대표적인 기업 규제 법안으로 꼽힌다. 사용자의 범위가 명확치 않은 데다, 경영상 의사결정이 근로조건에 영향을 미쳐 쟁의행위 대상이 될 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3~4학년부 FS오산 우승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3~4학년부 FS오산 우승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여성부 예선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여성부 예선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5~6학년부 예선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5~6학년부 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