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고품격 야식, 못 참아!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고품격 야식, 못 참아!

  • 승인 2022-01-19 17:41
  • 신문게재 2022-01-20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우난순 수정
오늘밤은 '고파장'을 먹는다. 고사리와 대파를 넣고 푹 끓인 것이다. 먼저 두툼한 냄비를 불에 달궈 파기름을 만든다. 거기에 고춧가루를 넣고 볶다가 물을 붓고 고사리, 대파, 표고버섯을 듬뿍 넣어 끓이면 끝. 육개장처럼 얼큰하고 훌훌 불며 먹으니 땀이 나면서 몸이 후끈 달아오른다. 쫄깃한 식감의 고사리가 쇠고기를 능가하는 걸 안 먹어 본 사람은 어찌 알까. 냉이 파스타도 있다. 팬에 올리브 오일을 두르고 마늘 양파 넣어 살짝 볶은 후 파릇한 냉이 한 줌 넣고 후추도 살짝 뿌린다. 마지막에 삶은 파스타를 넣는다. 이탈리아엔 봉골레·알리오올리오 파스타가 있다면 나는 세상 어디에도 없는 냉이 파스타를 먹는다. 진한 향의 냉이 파스타를 상상해 보라. 음식 레시피의 변주는 무한하다.

마동석 팔뚝만한 더덕을 방망이로 두드려 양념장을 발라 석쇠에 구워먹는 건 어떻고. 자연산 더덕은 산삼 버금간다. 아삭아삭 씹히는 맛과 독특한 향은 몸이 절로 건강해지는 느낌이다. 옻나무 우린 물로 담근 된장에 싸리버섯을 넣고 끓인 찌개도 있다. 옻나무는 몸이 냉한 사람에겐 훌륭한 한약재이기도 하다. 한여름엔 초계국수가 일품이다. 온갖 약재를 넣고 닭 백숙을 끓여먹고 남은 육수에 식초와 겨자를 푼다. 거기에 삶은 국수를 넣는다. 채썬 오이와 반으로 가른 삶은 계란을 얹으면 금상첨화. 시원한 계곡물이 흐르는 개울가 평상에서 먹는 초계국수는 진시황의 밥상이 부럽지 않다. 봄은 나물 천국이다. 세숫대야만한 대접에 밥을 퍼 엄나무 순과 취나물, 직접 담근 고추장과 참기름을 넣고 썩썩 비벼먹는다. 모든 것이 자연의 선물이다.

나는 매일 밤 '자연인'이 요리한 고품격 야식을 먹는다. 도라지, 더덕은 기본이고 능이버섯, 목이버섯, 산삼 등 온갖 진미를 맛본다. 알록달록 꽃 비빔밥은 먹기 아까울 정도다. 미슐랭 별 다섯 개를 받아야 마땅하다. 이 고급지고 귀한 요리를 먹다보면 배우는 것도 많다. 요즘은 보문산에 가면 나무들을 찬찬히 살핀다. 제피와 산초는 이파리가 흡사하다. 여름에 이것들을 조금 따다가 고등어조림에 넣어 먹어봤다. 비린내가 훨씬 덜했다. 어렸을 때 따 먹은 새콤한 망개(내 고향에선 멍가라고 불렀다) 뿌리는 토복령이라고 해서 귀한 약재다. 작년 가을부터 금요장터에서 자연산은 아니지만 더덕, 도라지를 사다 먹는다. 미세먼지가 뿌연 겨울이나 봄엔 고생 깨나 하기 때문이다. 이것들은 기관지나 폐에 아주 좋다고 한다.

요즘 중년 부인들의 성화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남편이 '나는 자연인이다'만 보기 때문이다. 어느날 갑자기 남편이 회사에 사표 던지고 배낭 하나 메고 산으로 들어갈까봐 걱정인 모양이다. 물질의 풍요 속에서 인간은 돈의 노예가 되어 벼랑길 같은 바벨탑을 기어 오르기 바쁘다. 사기와 배신이 난무하고 사각의 링에선 피투성이가 되어 간다. 결국 '패자'는 깊은 산으로 들어가 꼭꼭 숨어버린다. 그런데 거기가 낙원이었다. 상처는 아물고 튼튼해진 뼈에 단단한 근육이 붙기 시작했다. 그들에게 일은 노동이 아니라 놀이였다.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헤르만 헤세 역시 쉽고 편안하게 사는 법을 알지 못했으나 한가지만은 마음대로 할 수 있었다. 그건 아름답게 사는 것이었다. 헤세는 정원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았다. 헤세의 정원은 풍성한 채소밭이 만들어지고, 꽃들도 무성했다. 거기서 일하는 헤세에겐 또다른 세상이 보였다. 한때 세상은 이런 헤세를 마치 세상 모르고 정원이나 가꾸는 현실 도피적 사람으로 폄훼하기도 했다. 삶의 가치를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인생의 행로는 달라진다. 엊그제 친구가 들에서 캔 냉이를 한 소쿠리 안겨 주었다. 헉! 냉이 뿌리가 도라지만 했다. 진한 갈색의 냉이에 코를 박고 숨을 크게 들이쉬었다. 아, 봄이 오는구나. 얼어붙은 야생의 땅에 단단히 뿌리내린 냉이의 생명력이 경이롭다. 자연이 내 마음 속으로 성큼 들어온다. 나도 자연인이(고 싶)다. <지방부장>
2022011901010008409
게티이미지 제공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SMR 특별법' 공방 지속… 원자력계 "탄소중립 열쇠" vs 환경단체 "에너지 전환 부정"
  2. 천안시, PM 견인 강화로 질서 확립 '고삐'
  3. 세종시 '러닝 크루' 급성장...SRT가 선두주자 나선다
  4. 조국혁신당 대전시당, '검찰개혁 끝까지 간다'… 시민토크콘서트 성황
  5. 李정부 첫 조각 마무리…충청 고작 2명 홀대 심각
  1. [오늘과내일] 더 좋은 삶이란?
  2. 더불어민주당 전대주자들, '충청당심' 공략 박차
  3. [월요논단] 지역주택조합의 분담금 반환과 신의성실의 원칙
  4. 대전문화재단,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사회공헌활동 펼쳐
  5. 대전미술대전 무산 위기 넘기고 올 가을 정상 개최 가시화

헤드라인 뉴스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 외국인 관광객 유치 특례 추가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 외국인 관광객 유치 특례 추가

국가균형발전과 수도권 일극체제 극복을 위한 시대적 과제 중 하나인 대전·충남 행정통합 을 위한 특별법안이 완성됐다. 12·3 계엄 사태와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등 정치적 격변기 속 잠시 주춤했던 이 사안이 조기 대선 이후 다시 가속페달을 밟고 있는 것이다. 14일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이하 민관협)는 대전시청 대회의실에서 제5차 회의를 열고, '대전충남특별시 설치 및 경제과학수도 조성을 위한 특별법안(가칭)' 최종안을 확정했다. 민관협은 이날 완성된 법안을 이장우 대전시장과 조원휘 대전시의회 의장, 김태흠 충남도지사와 홍..

전재수 "해수부, 세종보다 부산이 더 효과" 발언에  충청권 `발끈`
전재수 "해수부, 세종보다 부산이 더 효과" 발언에 충청권 '발끈'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해양수산부가 세종보다 부산에 있어야 더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과 관련 충청 보수 야권이 발끈하고 나섰다. 전 후보자는 이날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해수부가 세종에 있을 때 그 효과를 100이라고 한다면, 부산으로 오는 것이 1000, 1만의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믿는다"며 "해수부 부산 이전을 차질 없이 완수하겠다"고 말했다. 전 후보자가 내세운 해수부 부산 이전 근거는 북극항로였다. 그는 "북극항로를 둘러싸고 세계 각국이 경쟁하고 있다"며 "해수부를 거점으로 삼아 부산에서..

국내 증시 활황…대전 상장기업 시총도 사상 최대
국내 증시 활황…대전 상장기업 시총도 사상 최대

국내 증시가 연일 활황을 이어가면서 대전 상장기업의 시가총액도 매달 최고치를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6.26포인트(0.83%) 상승한 3202.03으로 장을 마감했다. 코스피가 종가 기준 3200선을 넘긴 건 2021년 9월 6일(종가 3203.33) 이후 처음이다. 코스닥은 전 거래일 대비 1.10포인트(0.14%) 하락한 799.37로 거래를 마쳐 희비가 엇갈렸다. 주목할 건 대전지역 상장기업의 성장세다. 대전테크노파크에 따르면 6월 기준 대전지역 상장기업의 시가총액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충청 새 미래 열린다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충청 새 미래 열린다

  • 요란한 장맛비 요란한 장맛비

  • ‘민생회복지원금 21일부터 사용 가능합니다’ ‘민생회복지원금 21일부터 사용 가능합니다’

  • 폐업 늘자 쏟아지는 중고용품들 폐업 늘자 쏟아지는 중고용품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