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고품격 야식, 못 참아!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고품격 야식, 못 참아!

  • 승인 2022-01-19 17:41
  • 신문게재 2022-01-20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우난순 수정
오늘밤은 '고파장'을 먹는다. 고사리와 대파를 넣고 푹 끓인 것이다. 먼저 두툼한 냄비를 불에 달궈 파기름을 만든다. 거기에 고춧가루를 넣고 볶다가 물을 붓고 고사리, 대파, 표고버섯을 듬뿍 넣어 끓이면 끝. 육개장처럼 얼큰하고 훌훌 불며 먹으니 땀이 나면서 몸이 후끈 달아오른다. 쫄깃한 식감의 고사리가 쇠고기를 능가하는 걸 안 먹어 본 사람은 어찌 알까. 냉이 파스타도 있다. 팬에 올리브 오일을 두르고 마늘 양파 넣어 살짝 볶은 후 파릇한 냉이 한 줌 넣고 후추도 살짝 뿌린다. 마지막에 삶은 파스타를 넣는다. 이탈리아엔 봉골레·알리오올리오 파스타가 있다면 나는 세상 어디에도 없는 냉이 파스타를 먹는다. 진한 향의 냉이 파스타를 상상해 보라. 음식 레시피의 변주는 무한하다.

마동석 팔뚝만한 더덕을 방망이로 두드려 양념장을 발라 석쇠에 구워먹는 건 어떻고. 자연산 더덕은 산삼 버금간다. 아삭아삭 씹히는 맛과 독특한 향은 몸이 절로 건강해지는 느낌이다. 옻나무 우린 물로 담근 된장에 싸리버섯을 넣고 끓인 찌개도 있다. 옻나무는 몸이 냉한 사람에겐 훌륭한 한약재이기도 하다. 한여름엔 초계국수가 일품이다. 온갖 약재를 넣고 닭 백숙을 끓여먹고 남은 육수에 식초와 겨자를 푼다. 거기에 삶은 국수를 넣는다. 채썬 오이와 반으로 가른 삶은 계란을 얹으면 금상첨화. 시원한 계곡물이 흐르는 개울가 평상에서 먹는 초계국수는 진시황의 밥상이 부럽지 않다. 봄은 나물 천국이다. 세숫대야만한 대접에 밥을 퍼 엄나무 순과 취나물, 직접 담근 고추장과 참기름을 넣고 썩썩 비벼먹는다. 모든 것이 자연의 선물이다.

나는 매일 밤 '자연인'이 요리한 고품격 야식을 먹는다. 도라지, 더덕은 기본이고 능이버섯, 목이버섯, 산삼 등 온갖 진미를 맛본다. 알록달록 꽃 비빔밥은 먹기 아까울 정도다. 미슐랭 별 다섯 개를 받아야 마땅하다. 이 고급지고 귀한 요리를 먹다보면 배우는 것도 많다. 요즘은 보문산에 가면 나무들을 찬찬히 살핀다. 제피와 산초는 이파리가 흡사하다. 여름에 이것들을 조금 따다가 고등어조림에 넣어 먹어봤다. 비린내가 훨씬 덜했다. 어렸을 때 따 먹은 새콤한 망개(내 고향에선 멍가라고 불렀다) 뿌리는 토복령이라고 해서 귀한 약재다. 작년 가을부터 금요장터에서 자연산은 아니지만 더덕, 도라지를 사다 먹는다. 미세먼지가 뿌연 겨울이나 봄엔 고생 깨나 하기 때문이다. 이것들은 기관지나 폐에 아주 좋다고 한다.

요즘 중년 부인들의 성화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남편이 '나는 자연인이다'만 보기 때문이다. 어느날 갑자기 남편이 회사에 사표 던지고 배낭 하나 메고 산으로 들어갈까봐 걱정인 모양이다. 물질의 풍요 속에서 인간은 돈의 노예가 되어 벼랑길 같은 바벨탑을 기어 오르기 바쁘다. 사기와 배신이 난무하고 사각의 링에선 피투성이가 되어 간다. 결국 '패자'는 깊은 산으로 들어가 꼭꼭 숨어버린다. 그런데 거기가 낙원이었다. 상처는 아물고 튼튼해진 뼈에 단단한 근육이 붙기 시작했다. 그들에게 일은 노동이 아니라 놀이였다.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헤르만 헤세 역시 쉽고 편안하게 사는 법을 알지 못했으나 한가지만은 마음대로 할 수 있었다. 그건 아름답게 사는 것이었다. 헤세는 정원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았다. 헤세의 정원은 풍성한 채소밭이 만들어지고, 꽃들도 무성했다. 거기서 일하는 헤세에겐 또다른 세상이 보였다. 한때 세상은 이런 헤세를 마치 세상 모르고 정원이나 가꾸는 현실 도피적 사람으로 폄훼하기도 했다. 삶의 가치를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인생의 행로는 달라진다. 엊그제 친구가 들에서 캔 냉이를 한 소쿠리 안겨 주었다. 헉! 냉이 뿌리가 도라지만 했다. 진한 갈색의 냉이에 코를 박고 숨을 크게 들이쉬었다. 아, 봄이 오는구나. 얼어붙은 야생의 땅에 단단히 뿌리내린 냉이의 생명력이 경이롭다. 자연이 내 마음 속으로 성큼 들어온다. 나도 자연인이(고 싶)다. <지방부장>
2022011901010008409
게티이미지 제공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5.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3. 어촌서 재충전, '쉬어(漁)가요'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4. 챗봇 '해수호봇', 해양안전 디지털 혁신 이끈다
  5. 정부 부동산 대책 지방 위한 추가대안 마련 시급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9일 “남북이 다시 손잡는 핵심은 경제협력이고, 우리는 경제통일에 민생통일을 추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통일부가 2026년 남북협력기금으로 1조 25억원을 편성했다. 주목할 것은 경제협력사업 예산으로, 606억원에서 1789억원으로 세 배가량 증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개성공단과 같은 경제협력 사업의 재개를 위해 필요한 도로와 폐수 시설 같은 복구와 구축 사업 예산”이라며 “남북이 힘을 합치면 경제 규모도 커지고 일자리도 늘어나고, 동..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새 정부 출범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타던 국내 증시가 최근 조정 국면을 맞고 있지만, 충청권 상장사들은 비교적 선방하고 있다. 전체적인 시장의 침체 분위기 속 8월 한 달 간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 합계는 전월 대비 0.3%(4074억 원) 증가한 152조 3402억 원에 도달했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9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8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52조 3402억 원으로 전월(151조 9328억 원) 대비 0.3% 증가했다. 8월 한 달 동안 대전·세종·충남 지역의 시총은 근..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민선 8기 대전시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이 속속 임기를 마치면서 연임과 교체의 '갈림길'에 놓였다. 이장우 시장의 임기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물갈이를 통한 조직 변화를 꾀할지, 연장으로 막바지 조직 안정화를 선택할지에 대한 관심이 쏠린다. 9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 출자·출연 기관장은 시장과 임기를 같이 하기로 조례로 정했지만, 시 산하 공기업은 지방공기업법을 적용받아 이와 무관하다. 이에 민선 8기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들의 3년 임기가 순차적으로 끝나고 있다. 대전관광공사는 임원 교체 분위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