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황소집엔 꼬꼬댁이 있다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황소집엔 꼬꼬댁이 있다

  • 승인 2022-05-18 09:42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황소
황소 2
푸를 청(靑) 볕 양(陽). 내 고향 청양은 칠갑산 자락이 넓게 드리워진 오지에 속하는 지역이다. 국민학교(지금의 초등학교) 1학년 때 교장 선생님이 침 튀겨가며 한 말씀 중에 기억나는 게 있다. 그때의 아침 조회시간은 정말이지 지옥이었다. 피죽도 안 먹은 것 같은 교장선생님이 힘이 어디서 뻗치는지 까랑까랑한 목소리로 한 시간 가까이 연설을 했다. 우리는 말할 것도 없고 선생님들도 고역이었다. 더구나 추운 겨울에 한 데서 꼼짝없이 서 있는 건 어린 학생들에겐 가혹했다. 춥고 오줌도 마렵고 그야말로 몸이 동태가 될 지경이었다. "충청남도 청양군 청남면 아닙니까? 푸를 '청' 자가 세 번이나 들어간 곳에서 여러분이 살고 있습니다. 제군들은 자랑스러워해야 합니다…." 나는 청이건 백이건 그저 할배 교장 선생님이 원망스러울 뿐이었다.

겨울의 청양은 춥다. 나는 주말에 청양에 가면 발을 동동거린다. 지대가 높고 산이 깊어 대전보다 춥기 때문이다. '충남의 알프스' 칠갑산은 6,70년대 공비가 숨어들기도 해서 뉴스에 나올만큼 유명세를 치렀다. 그 칠갑산 아래 장곡사라는 절이 있다. 20여년 전만 해도 사람의 발길이 뜸해 고즈넉한 분위기에 매료돼 자주 찾곤 했다. 지금은 장승 축제도 열려 축제 철엔 시끌벅적해진다. 그래도 워낙 마을이 깊은 산 속에 있어 평소엔 인적이 드물다. 여기에 우리 가족의 단골 식당이 있다. 닭 백숙이 주 메뉴인 '황소집'이 그 곳이다. 소고기가 아닌 닭고기만 파는 곳인데 왜 상호가 황소집일까 궁금해서 주인장에게 물어봤다. "예전에 여기가 소를 키우던 자리여서 황소집이라 지었지요."

우리 가족은 벚꽃이 피면 닭 백숙을 먹으러 으레 이 곳에 들른다. 처음 한동안은 엄나무 백숙만 먹었다. 내가 알레르기가 있어 옻오를까봐 옻닭은 감히 시도를 못했다. 그러다 '한번 저질러봐?' 심정으로 옻닭을 먹기로 했다. 식당 주인이 건넨 알약에 의지해서 말이다. 항히스타민제였다. 그래도 불안해 연지곤지 찍고 원삼 족두리 쓴 신부가 초례청에서 대추를 받아 먹듯 조심스럽게 먹었다. 복요리를 먹는 기분이 이럴까. 보툴리누스라는 치명적인 독이 있는 복은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스릴을 즐기며 먹는 요리다.

이순신은 진도 울돌목에서 부하들에게 "죽고자 하면 살 것이요, 살고자 하면 죽을 것이다"라고 비장하게 말했다. 복요리는 죽고자 하고 먹으면 진짜 죽을 수 있는 위험한 요리다. 이순신 장군의 어록을 되뇌이며 허세 떨었다간 요단강 건너기 십상이다. 뭐 옻은 기껏해야 두드러기 정도니 생명엔 지장 없지만 겁이 나는 건 사실이었다. 그러다 어느날 에라 모르겠다, '방패' 없이 용감무쌍하게 덤볐다. 모 아니면 도라는 결의로. 그런데, 아무 일도 없었다.



지난 금요일 저녁, 잎이 무성한 벚나무 터널을 굽이굽이 지나 장곡리에 도착했다. 드디어 옻닭이 나왔다. 뜨끈한 국물을 연신 떠먹으며 다부진 닭다리 하나를 뜯기 시작했다. 토종닭이라 근육질의 고기를 씹는 느낌이 살아있었다. 엄마는 빙그레 웃으며 "아이고, 잘도 먹네. 맛있냐?"고 연신 물었다. 엄마는 주간보호센터(어르신 유치원)에서 저녁까지 드시고 오는지라 가만히 앉아서 폭풍같이 먹는 나를 흐뭇하게 바라보기만 했다. 건너편에서 막 밥을 먹고 난 어르신도 내가 먹는 모습을 무안할 정도로 빤히 쳐다봤다. 그러거나 말거나 쩝쩝. 다음은 찰밥. 옻닭 육수로 지은 쫀득한 찰밥과 함께 먹는 고추 장아찌는 찰떡궁합이다. 사실 난 이 맛 때문에 여름이 오면 옻닭 먹으러 가자고 식구들에게 조른다. 먹고 남은 찰밥과 고추를 싸와서 다음날 아침에 먹으면 더 맛있다. 올챙이처럼 볼록한 배를 두드리며 식당 밖으로 나오자 청아한 개구리 소리가 귀를 간질인다. 올 여름은 또 얼마나 더우려나.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5.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3. 어촌서 재충전, '쉬어(漁)가요'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4. 챗봇 '해수호봇', 해양안전 디지털 혁신 이끈다
  5. 정부 부동산 대책 지방 위한 추가대안 마련 시급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9일 “남북이 다시 손잡는 핵심은 경제협력이고, 우리는 경제통일에 민생통일을 추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통일부가 2026년 남북협력기금으로 1조 25억원을 편성했다. 주목할 것은 경제협력사업 예산으로, 606억원에서 1789억원으로 세 배가량 증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개성공단과 같은 경제협력 사업의 재개를 위해 필요한 도로와 폐수 시설 같은 복구와 구축 사업 예산”이라며 “남북이 힘을 합치면 경제 규모도 커지고 일자리도 늘어나고, 동..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새 정부 출범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타던 국내 증시가 최근 조정 국면을 맞고 있지만, 충청권 상장사들은 비교적 선방하고 있다. 전체적인 시장의 침체 분위기 속 8월 한 달 간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 합계는 전월 대비 0.3%(4074억 원) 증가한 152조 3402억 원에 도달했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9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8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52조 3402억 원으로 전월(151조 9328억 원) 대비 0.3% 증가했다. 8월 한 달 동안 대전·세종·충남 지역의 시총은 근..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민선 8기 대전시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이 속속 임기를 마치면서 연임과 교체의 '갈림길'에 놓였다. 이장우 시장의 임기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물갈이를 통한 조직 변화를 꾀할지, 연장으로 막바지 조직 안정화를 선택할지에 대한 관심이 쏠린다. 9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 출자·출연 기관장은 시장과 임기를 같이 하기로 조례로 정했지만, 시 산하 공기업은 지방공기업법을 적용받아 이와 무관하다. 이에 민선 8기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들의 3년 임기가 순차적으로 끝나고 있다. 대전관광공사는 임원 교체 분위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