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칼럼]대전을 '노잼'에서 '꿀잼'도시로

  • 사람들
  • 뉴스

[독자칼럼]대전을 '노잼'에서 '꿀잼'도시로

이가희(한국스토리텔링연구원장/문학박사)

  • 승인 2022-06-27 17:36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이가희 원장
대전은 한강의 기적을 이루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도시 중 하나이다. 대덕연구단지가 그 역할을 했고,그런 이유로 대전은 '과학기술 중심도시'라는 이름을 얻었다. 이러한 생각은 대전시민뿐 아니라 타지 사람들도 이견이 없다. 대전시가 과학기술 중심도시라는 유명세를 얻은 반면 '문화예술 불모지'라는 오명 또한 받고 있다. 내년이면 대덕연구단지가 50주년을 맞는다고 한다. 과거 50년의 과학기술 중심도시에서 미래 50년은 어떤 모습으로 변모해가야 할까? 선진국을 따라잡은 ‘Fast Follower’ 전략에서 선진국을 앞서가는 ‘First Mover’ 전략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상상력을 더할 수 있는 문화예술을 과학기술에 접목할 필요가 있다. 즉, 모방적 과학기술 중심도시에서 문화예술이 접목된 창의적 과학기술 중심도시로의 비전이 필요하다.

그동안 대덕연구단지는 늘 대전의 외딴섬이었다. 대전시민들은 그 섬의 조경이나 환경을 감상하거나 활용하는데 차단되어 있다고 여겨왔다. 그 섬의 석박사급 연구원들도 자신들만의 리그를 만들어 따로 살고 있었다. 그 섬의 중심에 카이스트(KAIST)가 있다. 카이스트는 국내 이공계 최고의 대학으로 매년 2500여 명의 우수한 인재들을 배출하고 있다. 이들은 졸업 후에 거의 대전에 자리를 잡지 않고 타 도시로 떠나고 있다. 이들에게 대전은 공부하는 동안 잠시 머물다 가는 정거장에 불과했다. 미국 실리콘밸리에 있는 명문 스탠포드대학교를 졸업한 인재들은 거의 실리콘밸리 지역에 남아 창업이나 취업을 한다. 그래서 미국 내 다른 지역뿐 아니라 전 세계 인재들이 항상 몰려들고 있다. 미국 실리콘밸리가 세계 최고의 IT도시가 된 이유다.

대전이 한국의 실리콘밸리가 될 수 있을까? 무엇보다도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같은 카이스트 인재들이 졸업 후에 외지로 떠나지 않고 대전에 정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들은 왜 대전을 떠나는가? 이유는 하나다. 대전이 재미없는 도시이기 때문이다. 대전시를 '노잼'에서 '꿀잼' 도시로 만들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대한민국의 인재들이 카이스트로 모여들고 그들이 졸업 후에도 대전에 정착한다면, 타 지역의 인재들도 대전으로 모여들 것이다. 미국 실리콘밸리와 같이 말이다. 대전시가 문화예술 불모지라는 오명은 바로 '노잼'이라는 의미이다. 이제 대전시가 대덕연구단지의 중심에 서 있는 카이스트와 손잡고 좌뇌의 과학기술에 우뇌의 문화예술을 접목하여 재미있는 새로운 도시로 탈바꿈을 하여야 한다.

다행스럽게도 대전은 과학기술에 문화예술을 접목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들을 갖추고 있다.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킨 영화 '오징어 게임'을 대전에서 촬영했다는 사실을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필자도 미국 실리콘밸리에 있는 딸이 알려줘서 알았다. 미국 하버드와 스탠포드대학교를 졸업한 후 실리콘밸리에 정주하고 있는 필자의 딸이 '고향인 대전에는 스텐포드대학교와 같은 카이스트가 있고, 오징어 게임을 제작한 도시'라고 자기 동료들에게 자랑했다고 한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 오징어 게임이 대전에서 제작되었다는 사실이 국내는 물론 대전에도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앞으로 대전이 노잼도시에서 꿀잼도시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대전시는 물론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의 역할도 좀 더 적극적일 필요가 있다. 이제는 대전시가 문화예술의 감성이 흐르는 도시로 거듭나 우수한 젊은 인재들이 더이상 대전을 떠나는 일이 없도록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탈세 혐의' 타이어뱅크 김정규, 항소심도 징역 7년 구형
  2. 걸을 수 있는데 28년간 하지마비? 산재보험 부당수급 잇달아 적발
  3. 충남대병원, 정신건강 입원영역 적정성 평가 1등급
  4. '5번의 절도, 21년의 징역' 60대 이번엔 경찰사칭 범죄
  5. '첫 방문 환자 낯설지 않게' 유성선병원 전용창구 운영
  1. 건양대병원 정신건강 입원영역 적정성 평가 '1등급'
  2. [아침을 여는 명언 캘리] 2025년 5월22일 목요일
  3. 부동산 경기 악화에… 대전 오피스텔 공급 절벽
  4. '장난으로?' 지역 학생 잇단 선거벽보 훼손… "예방교육 필요해"
  5. 에어프레미아, 타이어뱅크 품으로...고품격 항공사 성장 예고

헤드라인 뉴스


대전·세종·충청 `이재명 45%, 김문수 36%, 이준석 14%`

대전·세종·충청 '이재명 45%, 김문수 36%, 이준석 14%'

21대 대통령 선거를 10여 일 앞두고 대전·세종·충청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국민의힘 김문수,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를 오차범위 밖에서 앞서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첫 대선 TV 생중계 토론회 결과가 반영된 조사에서 '1강 1중 1약' 흐름이 확인됐다는 평가 속 이 후보는 두 후보와의 가상 양자 대결에서도 40% 중후반대 지지율로 우위를 점했다. 선거일까지 지금의 흐름이 굳어질지, 단일화 성사 등의 이벤트로 구도가 흔들릴지 주목되는 가운데 부동층 표심이 승부를 결정지을 변수로 꼽힌다. 중도일보와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대신..

부동층 & 지지층 충성도, 21대 대선 종반전 가를 최대 변수로
부동층 & 지지층 충성도, 21대 대선 종반전 가를 최대 변수로

21대 대통령 선거가 종반으로 접어들면서 부동층의 향배와 지지층의 충성도가 대선 승패를 결정지을 최대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중도일보와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대신협)가 20~21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7명을 상대로 대선후보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대전·세종·충청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45%,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36%,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가 14%를 기록해 '1강 1중 1약' 구도를 보였다. 이재명 후보가 두 후보를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 3.1%p) 밖에서 앞서는 상황에서, 지지 후보가 없다고 응답한 비..

충청 주민들 균형발전 위해 지역특화산단 최우선 과제 꼽아
충청 주민들 균형발전 위해 지역특화산단 최우선 과제 꼽아

충청권 지역 주민 다수는 다음 달 4일 취임하는 차기 대통령의 지역 균형발전 과제로 '지역 특화산업단지 조성'을 최우선 꼽았다. 국가균형발전은 국토와 국민을 보전하기 위해 더는 늦출 수 없는 최우선 국가과제다. 수도권에 고부가가치 산업이 몰리면서, 지방과 GRDP 편차가 갈수록 커지는 등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특화산업 육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지역에 확충·분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 것이다. 이와 함께 중앙행정기관의 지방이전도 핵심 과제로 꼽았다. 설문에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사실상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필요성 의견을 낸..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 ‘실제 상황이 아닙니다’…재난현장 긴급구조 종합훈련 ‘실제 상황이 아닙니다’…재난현장 긴급구조 종합훈련

  • 한빛탑 앞 선관위 캐릭터 `참참이` 눈길 한빛탑 앞 선관위 캐릭터 '참참이' 눈길

  • 호국보훈의 달 앞두고 단장하는 현충원 호국보훈의 달 앞두고 단장하는 현충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