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과내일] 정약전과 '자산어보'

  • 오피니언
  • 오늘과내일

[오늘과내일] 정약전과 '자산어보'

백낙천 배재대 국어국문·한국어교육학과 교수

  • 승인 2023-07-09 09:34
  • 송익준 기자송익준 기자
2023051401000918600038961
백낙천 교수
영화 '자산어보'를 며칠 전에 다시 감상했다. 그동안 '사도', '동주', '박열' 등 역사적 인물에 대한 세심한 시선을 카메라에 담아낸 이준익 감독다운 집중력을 다시 한번 보여준 작품에 또 한번 진한 감동을 맛보았다. 역사적 사실에 영화적 상상력을 덧입혀 완성한 영화 '자산어보'를 보는 동안 나는 오랜만에 몰입의 시간을 가졌다. 기실 이 영화는 정약전의 '자산어보'에 실린 서문에 바탕을 두고 파란을 겪은 근대 조선의 풍경을 담은 수묵화라 할만하다.

그러다가 영화가 내게 준 여운이 채 가라앉기 전에 짐짓 소설 '흑산'으로 눈길을 돌렸다. 평소에 김훈의 섬세한 문체와 빛나는 모국어 사용을 흠모했던 나는 작가 김훈의 작품집이 꽂혀있는 서재 책장에서 2011년에 구입 즉시 단숨에 읽었던 소설 '흑산'을 다시 꺼내 곱씹어 보았다. 영화 '자산어보'가 펼쳐 보인 흑백의 파노라마가 사실성을 더해 주었다면 소설 '흑산'은 김훈의 작가 정신에 빛나는 서사적 서정의 힘으로 영화와는 사뭇 결이 다른 몰입감을 불러일으켰으며 이윽고 내게 신산했던 시대의 인물과 조우하게 했다.

정조 임금이 승하하고 1년 뒤인 1801년의 조선은 천주교의 박해와 순교로 피비린내 진동하는 난폭의 시대이자 숨 막히는 질곡의 현장이었다. 이 역사의 현장 한가운데에 정약전과 그의 형제들이 있었다. 최초의 한글 교리서인 '주교요지'를 저술하고 신유박해 때에는 거룩한 순교의 본을 보여준 복자(福者) 정약종과 유배지 강진에서 시대와 처절하게 맞서면서 수백 권의 저술을 남긴 박람강기의 대학자 정약용이 바로 정약전의 동생들이었다. 천주교와는 숙명처럼 떼려야 뗄 수 없는 대표적인 남인 가문이었던 정약전은 성호 이익의 학문을 이어받은 권철신 문하에 들어가 천진암 주어사(走魚寺)에서 천주교 교리를 배운 실학자였으며 유배지 흑산도에서 끝내 돌아오지 못한 시대의 사학죄인(邪學罪人)이었다.

물론 정약전은 아랫동생 정약종이 하늘을 바라보며 참수를 당한 것에 비하면 견고한 신앙을 지키지 못했으며, 막냇동생 정약용이 실학을 집대성하고 해박한 지식의 통섭을 보여준 것에 견주면 학문이 깊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형만 한 아우 없다'는 말처럼 정약전은 풍채가 늠름했고 유배지 강진에서 보낸 정약용의 글에 성실한 독자였으며 꼼꼼한 비평가였다.



더욱이 유배지 흑산도에서 지은 '자산어보'는 흑산도 근해의 수산물과 어패류 총 55류 226종의 명칭과 분포, 외형적 특성 등 해양생물의 지식을 기록한 우리나라 최초의 백과사전으로서 값진 의의를 지닌다. 또한 홍어 장수 문순득의 우여곡절 많았던 동남아시아 해양 표류 이야기를 기꺼이 들어주고, 이의 전말을 세세하게 기록해 동아시아 문화교류의 이정표를 세운 '표해시말(漂海始末)'을 짓기도 했다. 실로 의롭고 대단한 근대 조선의 특출한 형제들이라 할 만하다.

정약전은 '자산어보'의 서문에서 밝히기를, '흑산'은 어두운 느낌을 주어서 무서웠기에 같은 '검다'의 뜻인 '자산(玆山)'이라고 표현한다고 했다. 이 대목은 소설 '흑산'에서도 나타나고 있는데, 정약전이 창대를 불러 말하기를 '자(玆)'는 흐리고 어둡고 깊다는 뜻 외에 지금, 이제, 여기라는 뜻이 있음을 말했다. 또한 '자(玆)' 속에는 희미하지만, 빛이 있다고 한 대목에 이르게 되면 '흑산'이라는 유배지에서 끝내 풀려나지 못할 것을 예감한 정약전이 실낱같은 희망을 '자산어보'라는 이름에 소망처럼 담은 것이리라.

진정 정약전은 억울한 유배 생활에서도 낙담하지 않았으며 자신의 거처를 서당으로 삼고 '복성재(復性齋)'를 지어 후학을 양성한 시대의 위인이었다. 대표작 '자산어보'는 섬이 주는 고립과 고독에 스스로 갇혀 살지 않고 섬사람들과 교유하면서 소탈하게 살았던, 그리하여 스스로를 해배(解配)한 진정한 자유인이었음을 증언한 흔적이며, 또한 '자산어보'는 지난한 삶을 견딘 인간 승리의 생생한 현장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백낙천 배재대 국어국문·한국어교육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경쟁 입찰 조회수 부풀리기 의혹 제기도
  2. [대전다문화] 열대과일의 나라 태국에서 보내는 여름휴가 ? 두리안을 즐기기 전 알아야 할 주의사항
  3. 약국 찾아가 고성과 욕설 난동 '여전'…"가중처벌 약사폭력방지법 시행 덜 알려져"
  4.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5. [인터뷰] 송호석 금강환경청장 "대청호 지속가능 관리방안 찾고, 지역협력으로 수해 예방"
  1. [대전다문화] 7월 17일 '제헌절', 대한민국 헌법이 태어난 날입니다
  2. [대전다문화] 세계 일회용 비닐봉투 없는 날
  3. 설동호 대전교육감 새 특수학교 신설 추진할까 "적극 검토"
  4. 제6회 인천국제해양포럼, 7월 3일 송도서 개막
  5. 충남대 동문 교수들 "이진숙 실천형 리더십… 교육개혁 적임자"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대통령, 4일 취임 후 첫 대전 방문 ‘타운홀미팅’

이재명 대통령, 4일 취임 후 첫 대전 방문 ‘타운홀미팅’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취임 후 처음으로 대전을 방문한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대전 유성구 도룡동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국민소통 행보 2탄, 충청의 마음을 듣다’를 주제로 타운홀 미팅 시간을 갖는다. 국민의 현장 목소리를 듣고 자유롭게 토론과 질문을 하는 자리로, 불황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비롯해 과학기술인 등 3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미팅은 사전에 참석자를 선정하는 관행에서 벗어나 전날인 3일 오후 2시 대통령실 홈페이지를 통해 행사 일정을 공개하고 행사 당일 현장에서 선착순으로 300여 명을 참석시킨..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요즘 대전에서, 아니 대한민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초등생이 있다. 청아하고 구성진 트로트 메들리로 대중의 귀를 사로잡고 있는 대전의 트로트 신동 김태웅(10·대전 석교초 4) 군이다. 김 군이 대중에게 얼굴을 알린 건 2년 전 'KBS 전국노래자랑 대전 동구 편'에 출연하면서부터다. 당시 김 군은 '님이어'라는 노래로 인기상을 받으며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공중파 TV를 통해 강렬한 인상을 남긴 김 군은 이후 케이블 예능 프로 '신동 가요제'에 출연해 화제를 모았다. 김 군은 이 무대에서 '엄마꽃'이라는 노래를 애절하게 불러 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 도심 열기 식히는 살수차 도심 열기 식히는 살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