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인칼럼]인플레이션 고착화와 볼커 쇼크에 대한 회상

  • 오피니언
  • 전문인칼럼

[전문인칼럼]인플레이션 고착화와 볼커 쇼크에 대한 회상

한국무역협회 대전세종충남지역본부 최경윤 팀장

  • 승인 2023-09-10 12:26
  • 신문게재 2023-09-11 18면
  • 박병주 기자박병주 기자
최경윤 소장
한국무역협회 대전세종충남지역본부 최경윤 팀장
미국은 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쟁 이후 경제 재건과 기술 혁신, 국내 소비의 증가, 무역 확장 등으로 1970년대 초까지 20여 년간 초장기 경제 호황을 경험했다. 높은 생산성으로 물가와 금리가 안정되며 1950년 235포인트대에 머물던 다우존스 지수가 1972년 11월 최초로 1000포인트를 넘기도 했다.

그러나, 1960년 말부터 린든 존슨(1963-1969) 대통령의 대규모 사회 복지지출 확대와 1965년 이후 대규모 베트남 전쟁 군사 지출, 리처드 닉슨(1969-1974) 대통령의 경제위기 재정 지출 확대와 1973년과 1979년의 두 차례 석유파동이 겹치며 미국의 인플레가 급격히 상승한다.

당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은 아서 번즈(1970년 2월~1978년 1월)였다. 그는 우선 기준금리를 13% 수준까지 급격히 인상하며 연간 소비자물가상승률(CPI)을 제어하려 했다. 빠른 금리 인상은 효과를 보이며, 큰 폭으로 올랐던 소비자물가지수가 빠르게 하강하기 시작했다. 1973년 제1차 오일쇼크 기간 미국 물가 상승률은 10%대로 올라섰는데 그의 금리 정책으로 1974~1975년 내내 물가가 빠른 안정세를 보였다. 1974년 616포인트 수준까지 급락했던 다우존스 산업지수 역시 1976년 1000포인트를 넘어서며 다시금 전고점을 회복하는 강세를 나타냈다.

그런데 번즈 연준 의장은 결정적 실책을 저지른다. 경제 악화와 정치권 압박에 굴복해 기준금리를 13% 수준에서 5% 수준으로 끌어내린 것이다. 물가가 잡혔으니 금리를 내려 경기도 다시 살리겠다는 명분이었다. 하지만 문제는 이미 1960년 후반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계속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인플레가 고착화 된 점이었다. 결국, 빠른 기준금리 인하가 독이 되며, 미국 인플레율은 다시 10%대로 치솟고 만다. 그리고 1979년에 이란의 호메이니 혁명으로 인한 2차 석유파동까지 겹치면서 소비자물가상승률은 1980년 초 15%에 육박할 정도로 치솟게 된다.



이때 미국 연준에 등장한 인물이 바로 폴 볼커였다. 볼커는 1979년부터 1987년까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의장으로 재임하며, 인플레이션의 시대 '볼커 쇼크(Volcker Shock)'라 불릴 정도의 과감한 금리 정책을 통해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제어하고 경제를 안정시켰다.

볼커는 높은 인플레이션을 제어하기 위해 연 20%를 넘길 정도로 기준금리를 급격하게 상승시켰다. 높은 금리로 돈의 가치를 상승시켜 소비를 억제하며, 물가 상승을 제어했다. 일례로 그는 1979년 10월 6일 토요일에도 기준금리를 15.5%로 4%포인트 올리는 조치를 단행했는데, 이러한 조치는 '토요일 밤의 학살'로 불릴 정도로 급격한 조치였다.

볼커는 잠시 17%대의 정책금리를 9%로 하향 조정하며 '볼커의 실수'를 저지르긴 했지만, 다시 20%까지 인상하며 전임 연준 의장인 번즈의 '실패'를 반복하진 않았다. 볼커는 1979년부터 1982년까지 금리를 상승시키는 정책을 3년 정도 유지하며, 결과적으로 1980년 초 15%에 육박하던 인플레를 1981년 9%, 1982년 4%, 1983년에는 2.36%까지 떨어뜨렸다.

2023년 폴 볼커 이후 40년 만에 미국의 인플레 고착화에 경각심이 커지고 있다. 미국 연준 내 매파나 비둘기 모두 교훈으로 삼는 것이 1970년대의 아서 번즈 연준 의장의 스탑&고 금리 정책이다. 금리 인상을 하다가 성급히 인하하면 인플레 억제는커녕 10년짜리 인플레가 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인플레 고착화에 미국 연준이 어떻게 대응할지 올해 9월과 11월 두 번 남은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여부와 내년 이후 금리 정책을 관심 있게 지켜보자.

한국무역협회 대전세종충남지역본부 최경윤 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이제는 작업복만 봐도 이 사람의 삶을 알 수 있어요." 28일 오전 9시께 매일 고된 노동의 흔적을 깨끗이 없애주는 세탁소. 커다란 세탁기 3대가 쉴 틈 없이 돌아가고 노동자 작업복 100여 벌이 세탁기 안에서 시원하게 묵은 때를 씻어낼 때, 세탁소 근로자 고모(53)씨는 이같이 말했다. 이곳은 대전 대덕구 대화동에서 4년째 운영 중인 노동자 작업복 전문 세탁소 '덕구클리닝'. 대덕산업단지 공장 근로자 등 생산·기술직 노동자들이 이용하는 곳으로 일반 세탁으로는 지우기 힘든 기름, 분진 등으로 때가 탄 작업복을 대상으로 세탁한다...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