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충남대병원 위기] 8월 응급의료 일부 중단… 올해 515억 원 손실 눈덩이

  • 정치/행정
  • 세종

[세종충남대병원 위기] 8월 응급의료 일부 중단… 올해 515억 원 손실 눈덩이

<시리즈1> 2020년 7월 개원 이후 4년 만에 위기 현실화...초기 자부담 예산, 대외 여건 맞물려 경영 악화
핵심 4개소 손실액만 67억 원 등 총액 659억 원 달해...의정 갈등 장기화, 향후 10년 원리금 상환액도 부담

  • 승인 2024-08-08 10:40
  • 수정 2024-08-08 18:02
  • 신문게재 2024-08-09 3면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2024022001001401900056641
도담동 세종충남대병원 전경. 사진=중도일보 DB.
2020년 7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어렵게 문을 연 '세종충남대병원'. 대전 충남대병원(본원)의 분원 성격이나 수도권 빅5 병원에 맞서 원정 의료의 저지선 역할을 부여받았다.

개원 이후 지난 4년 간 적잖은 시행착오와 문제도 노출했으나, 도담동 오가낭뜰 근린공원과 비알티(BRT) 버스 접근성, 최신 장비와 시설 등의 이점을 바탕으로 세종시민 곁에 조금씩 다가섰다. 2012년 세종시 출범 초기부터 8년 가까이 지속된 대전·청주·천안으로 응급환자 이송 딜레마도 대부분 해소했다.

하지만 코로나19 엔데믹 이후로도 경영여건은 좀처럼 개선 일로에 들어서지 못했고, 2024년 의·정(정부와 의료계) 갈등과 금리 인상기 영향을 받아 자칫 의료공백 우려를 키우고 있다. 중도일보는 시리즈 3편에 걸쳐 세종충남대병원의 현주소를 다시 되짚어보고, 중앙정부를 넘어 세종시와 행복도시건설청, 지역 정치권이 함께 제시할 해법은 없는지 들여다봤다.<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1. '세종충남대병원' 8월 응급의료 일부 중단… 올해 515억 원 손실 눈덩이

2. '병원 자구 노력 vs 정부·지자체 지원' 놓고 엇갈린 시선

3. 중앙·지방 지원책 한계 뚜렷...세종시민만 피해 보나

BBS_201705050417345150
2017년 5월 5일 세종충남대병원 기공식 모습. 사진=세종시 제공.
세종충남대병원은 2020년 7월 '첫 국립대병원'이란 기대 이면에 '무리한 자부담 예산'이란 우려를 동시에 안고 문을 열었고, 2024년 예측치 못한 여러 상황에 휩싸여 최대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당장 8월부터 주 1회 응급의료 시스템 가동을 중단하고, 대전 본원과 공조 시스템으로 전환했다. 감당 불가능한 적자 때문이다.

세종시와 강준현 국회의원실, 세종충남대병원 등에 따르면 2023년 핵심 4개소의 손실액만 67억 원으로 집계됐다. 성인 응급의료센터와 소아 응급의료센터 적자액이 각각 41.6억 원, 3.9억 원 등 모두 46억 원을 차지했고, 전체 손실액은 신생아 중환자실 약 7억 원과 심뇌혈관센터 15.3억 원을 포함하는 수치다. 이를 포함한 2023년 한해 총액 적자는 무려 659억 원에 달했다.

2020년 개원 첫 해 403억 원, 2021년 474억 원, 2022년 536억 원까지 매년 적자 폭을 키워왔다. 같은 기간 대전 본원은 2020년 137억 원 적자 이후 2021년 82억 원, 2022년 35억 원이란 흑자로 전환한 뒤 2023년 다시 185억 원 적자로 돌아섰다. 이 기간 세종 분원으로 전입금 194억 원, 399억 원, 233억 원, 435억 원 흐름이 영향을 미쳤다.

2024년에는 의정 갈등이 장기화하고 금리 인상기(2018년 2.7%→2024년 4.9%)가 지속되면서, 적자 폭은 눈덩이처럼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현재 추세라면, 대전은 458억 원, 세종은 515억 원 손실을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결과적으로 세종충남대병원은 외부에서 515억 원의 힘을 빌려와야 할 형편에 놓였다.

제목 없음
충남대병원 본원(대전)과 분원(세종)의 연도별 손익과 전입금 현황. 사진=충남대병원 제공.
더욱이 2035년까지 매년 300~400억 원씩 원리금 상환이란 큰 짐도 안고 있다. 2020년 7월 국비 988억 원(27%)과 자부담 2629억 원(73%) 등 총사업비 3617억 원을 들여 지하 3층~지상 11층, 연면적 9만 7926㎡ 규모의 분원이 본원과 가까운 거리에 들어서면서다. 일견 예측된 부분이긴 하나 부담 규모가 예상치를 훌쩍 뛰어넘고 있다.

앞으로 이 같은 자금난을 해소할 뚜렷한 대책이 보이지 않고 있다는 게 더 큰 문제다. 보건복지부와 교육부, 행복도시건설청 등 중앙행정기관은 둘째치고, 세종시의 지원 여력도 없다. 세종시는 2014년 '서울대병원 위탁 시립의원(조치원)' 운영에 연간 40억여 원을 투입할 여력을 가진 바 있으나 현재는 재정난에 휩싸여 있다. 이 때문에 올해 세종충남대병원 지원 예산도 일부 삭감했다.

병원 관계자는 "코로나19 팬데믹 시점에서 개원 직후 감염병 전담병원 지정과 함께 정부 정책에 적극 동참해왔으나 환자 유입에 어려움이 많았다"라며 "(수도권과 동일한 부동산 규제와 주택 특별공급 폐지 등으로) 세종시 성장세도 주춤했다. 대통령 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 등 행정수도 기능 완성도 더딘 흐름에 놓여 인구 유입도 가파른 내리막길을 걸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의정 갈등과 함께 전국 대학병원의 위기가 동시에 찾아왔다"는 상황을 설명했다.

실제 세종시 인구 증가율은 2015년 35%로 정점을 찍은 뒤, 2023년 1%까지 내려 앉았다. 수도권 인구 유입 기제가 대부분 사라진 영향 때문이다.

한편, 세종충남대병원은 501병상(계획) 중 408병상 허가를 받아 현재 353병상으로 운영되고 있다. 직원 수는 의사직 153명과 간호직 689명, 보건직 132명을 포함해 모두 1406명이다. 소아·청소년과 여성, 심뇌혈관, 뇌신경, 통합암치료, 소화기, 척추, 국제진료, 응급의료, 헬스케어까지 10개 특성화 센터를 구축했고, 소화기와 신장 내과, (신경)외과, 피부과, 산부인과, 성형외과, 안과, 진단검사의학과, 이비인후과, 영상의학과 등 31개 진료과를 운영 중이다. <계속>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풍요롭고 행복한 추석 되세요’…온정나눔 키트 제작
  2. 계룡건설, 2024년도 경력사원 공개 채용 진행
  3. 추석 연휴 앞두고 응급실 진료공백 우려
  4. 논산부터 대전까지 무면허 운전 50대 경찰에 딱 걸렸다
  5. 코레일, 추석 대비 KTX 정차역 매장 특별 점검 나서
  1. 나누고 더하는 사랑
  2. 대전보훈병원, 추석연휴 응급실 24시간 가동 '비상 근무체계'
  3. 대전 숙박업소 10곳 중 8곳 스프링클러 설치 안돼
  4. 9일 대전 낮최고 35도 넘어서…평년보다 5도 높아
  5. 응급실 군의관 235명 추가 투입…모레까지 전원 배치

헤드라인 뉴스


[2024 시·도지사 콘퍼런스] 인구감소·청년유출·균형발전 한목소리

[2024 시·도지사 콘퍼런스] 인구감소·청년유출·균형발전 한목소리

대한민국 17개 지방정부를 이끄는 광역시장과 도지사들이 인구감소와 청년유출, 균형발전, 지방자치권 등의 미래 현안을 거론하며 중앙정부의 대대적인 변화를 요구했다. 특히 중앙집권적 사고와 국정 운영으로 수도권 집중화에 따른 각종 부작용 해결을 위해 지방분권과 재정권을 지방정부에 대폭 이양해야 한다는데 한목소리를 냈다.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협의회장 박형준 부산시장)는 10일 서울에서 ‘2024 시도지사 정책콘퍼런스’를 열고 저출생과 인구감소, 고령사회, 청년 유출로 인한 지역경제 위축과 지방 소멸 등 대한민국이 직면한 문제에 대한 해..

단순 교통수단 넘어 지역 발전 견인할 모멘텀
단순 교통수단 넘어 지역 발전 견인할 모멘텀

2028년 개통을 앞둔 트램이 지역 경제 활성화와 발전을 견인할 모멘텀으로 작용될지 주목된다. 단순 교통수단을 넘어 신설 정거장 중심으로 도시재생 계획까지 이뤄지면서 지역이 성장할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대전시는 착공을 앞둔 2호선 트램을 단순 대중교통에 국한하지 않고, 도시재생이 어우러진 마스터플랜을 통해 도시 발전을 이끌어내겠다는 입장이다. 시는 도시철도 2호선인 트램(노면전차) 정거장과 노선 주변 지역을 재생시키는 '도시재생 활성화 전략'을 수립했다. 지난 2020년 '트램 연계 도시재생 활성화 전략 수립용역'..

"하루 이용객 10명 꼴"… 대덕구, 메타버스 플랫폼 폐지 결정
"하루 이용객 10명 꼴"… 대덕구, 메타버스 플랫폼 폐지 결정

최근 전국적으로 메타버스 사업이 시들해진 가운데 대덕구 역시 자체적으로 운영하던 메타버스 플랫폼 폐지를 결정했다. 대덕구는 코로나 당시 비대면 사회 분위기에 맞춰 가상공간인 메타버스를 활용한 지자체 홍보 프로그램을 만들었으나 이용률이 저하되면서 세금 먹는 애물단지로 전략하면서다. 10일 대덕구에 따르면 2022년 3월부터 운영하던 대덕구 메타버스인 '대덕구 공식 월드'가 9월 9일 폐쇄됐다. 최초 구축 용역비 등 3천 20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해 대덕구 공식 월드를 운영 중이었으나 누적 방문수는 약 8400명으로 하루에 10명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회는 죽었다’…시민사회단체 의회 규탄 장례식 집회 ‘대전시의회는 죽었다’…시민사회단체 의회 규탄 장례식 집회

  • 다시 여름? 9월에 발령된 폭염경보 다시 여름? 9월에 발령된 폭염경보

  • ‘풍요롭고 행복한 추석 되세요’…온정나눔 키트 제작 ‘풍요롭고 행복한 추석 되세요’…온정나눔 키트 제작

  • 즐거운 어르신들 즐거운 어르신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