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슈퍼컴 6호기 2026년 상반기 시작"… '사전규격 공개' 조달 절차 돌입

  • 경제/과학
  • 대덕특구

KISTI "슈퍼컴 6호기 2026년 상반기 시작"… '사전규격 공개' 조달 절차 돌입

  • 승인 2024-11-11 17:18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clip20241111170844
국가 슈퍼컴퓨터 6호기 시스템 구성 예시. KISTI 제공
국가 슈퍼컴퓨터를 운영하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하 KISTI)이 2026년 슈퍼컴퓨터 6호기 서비스 시작을 목표로 구축에 나선다. 증액된 예산을 토대로 조달청을 통한 국가 조달 절차에 돌입했다.

11일 KISTI에 따르면 국가 슈퍼컴퓨터 6호기 구입을 위해 7일 조달청 나라장터에 국가 슈퍼컴퓨터 6호기 사전규격 공개를 개시했다. 사전규격 공개는 물품이나 용역의 구매 규격을 업계에 사전 공개해 구매 규격에 대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다.



이달 4일 열린 국가초고성능컴퓨팅위원회서 사업비가 기존 2929억 원에서 4483억 원으로 53%가량 증액되며 주춤했던 사업에 동력이 가해졌다. 앞서 챗GPT 등 생성형 AI 열풍으로 슈퍼컴 핵심 부품인 그래픽 처리장치(GPU) 가격이 상승하면서 슈퍼컴 6호기 도입에 어려움이 있었다. 2023년 5월부터 11월까지 조달청을 통해 외자 구매 입찰을 추진했으나 유찰된 바 있다.

KISTI는 국가 슈퍼컴 6호기 도입 지연을 막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기획재정부와 협의를 지속했다. 2023년 하반기부터 유찰 원인을 분석한 데 이어 기재부의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를 통해 사업비 증액과 기간 연장, 사업 추진 방식 개선 등 사업 재추진 방안을 마련했다.



국가 슈퍼컴 6호기는 2026년 상반기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구축될 예정이다. 이론 성능 600PF(FP64) 규모로 연산 성능이 5호 누리온보다 23배가량 향상되며 주연산 자원도 노드당 4개 내외로 고성능 GPU를 장학한 GPU 파티션과 노드당 2개 내외의 범용 CPU를 장착한 CPU 파티션으로 구성된다. 각각 특성을 바탕으로 GPU 파티션은 나노·에너지, 소재·반도체, 바이오·신약, AI 등 가속기를 통한 성능 향상 분야, CPU 파티션은 유체·구조 해석, 고에너지 물리, 기후 등 전통적인 계산 과학 분야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 초거대 과학·공학 문제 해결과 대규모 AI모델 지원 등 우수 연구 성과 발굴에도 활용된다.

구축 완료까진 현재 국가 슈퍼컴 5호기 누리온을 통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2018년 12월 서비스를 시작한 누리온은 최근 5년 평균 사용률이 76%에 달하며 시스템 포화에 이르렀다. 연평균 슈퍼컴 활용 신청 과제 중 63%가량만 지원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식 KISTI 국가슈퍼컴퓨팅본부장은 "국가 기초과학과 AI 분야 R&D 경쟁력 향상을 위한 핵심 인프라인 국가 슈퍼컴퓨터 6호기를 2026년 상반기에는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조민수 KISTI 부원장은 "국가 슈퍼펌퓨터 6호기 사업을 신속히 재개해 노후화된 5호기를 교체하고 기존에 불가능했던 대규모 과학·공학 계산과 초거대 AI 등 R&D를 수행할 수 있는 최상의 자원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국가 전략기술 분야의 연구 생산성 강화와 기술 혁신 가속화에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미추홀구, ‘시 특색 가로수길 평가’ 최우수기관 선정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4.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5.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1.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2.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3. [종합]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차세대중형위성 3호 양방향 교신 확인
  4. 대전을지대병원, 바른성장지원사업 연말 보고회 개최
  5. 금은방 새벽 침입했지만, 금고는 못열어…절도미수 40대 징역형

헤드라인 뉴스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민선 8기 대전시가 도시 체질을 완전히 개선하며 'NEXT대전' 만들기에 집중하고 있다. 근대도시를 거쳐 철도 중심 도시와 과학도시를 거치면서 150여만명의 인구가 살아가는 대전에 공간은 물론 산업과 문화 구조를 변화시키며, 미래 일류도시로 나아가고 있다. 대전시는 기존에 갖고 있던 대덕특구를 기반으로 한 과학도시에서 6대 전략 산업 'ABCD+QR(나노·반도체, 바이오, 우주, 국방, 양자, 로봇·드론)'을 중심으로 육성하면서 기술 사업화에 초석을 만들어 가고 있다. 이를 뒷받침 할 수 있게 안산, 교촌, 원촌, 장대도첨, 탑립·..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