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상일 용인특례시장, 경기 남부 광역철도 사업 추진 시급성 설명 |
19일 이상일 용인특례 시장은 "경기 남부 광역철도 사업은 4개 도시 도민 약 500만 명이 교통 수단으로 사용되는 중차대한 국가 사업임에도 김동연 지사가 자신의 공약 사업에만 몰두하며 해당 사업을 추진하지 않아 비판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기 남부 광역철도 신설은 서울 종합운동장역을 출발하여 성남 판교, 용인 신봉·성복동, 수원 광교, 화성 봉담 (50.7km)을 잇는 도내 인구 밀집도가 가장 많고 IT·반도체 수출 대기업 등이 포진되어 우선 순위로 정해야 한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이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4개 시가 용역을 공동으로 진행한 결과 사업비 투입 대비 편익(BC) 값이 1.2가 나와 경제적 타당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경기도는 해당 철도사업을 우선 순위 (1~3위)에 넣지 않고 김 지사의 공약 사업 3개만 국토교통부에 제출해 논란이 커지고 있다.
김 지사가 국토부에 제출한 GTX 플러스 3개 사업은 기존의 GTX C노선 연장, GTX G·H 신설을 의미하며, 3개 사업에 약 12조 3천억 원 투입 대비 49만 명이 혜택 볼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반면 경기 남부 광역철도 신설의 경우 사업비 5조 2천억 원 투입 대비 138만 명이 수혜를 볼 것으로 추정되며, 김 지사가 우선 순위로 정한 GTX 플러스 3개 사업보다 경제성 면에서 월등히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앞서 김동연 지사는 2023년 2월 이상일 용인특례시장, 이재준 수원특례시장, 신상진 성남시장, 정명근 화성시장과 협약을 맺었다. 이후 김 지사는 2024년 6월 4개 도시 시장들과 아무런 상의 없이 자신의 공약사업인 GTX 플러스 3개 사업을 맨 앞 순위로 정해 국토교통부에 제출해 해당 사업이 배제됐다.
이와관련 국토교통부는 광역자치단체별로 우선 순위 3개 사업만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한다고 하달하여 경기도와 4개 도시가 해당 사업을 추진하기로 약속했지만 불현듯 김 지사가 슬그머니 발을 빼 비판을 자초하고 있다.
한편 이 시장은 지난해 1월, 4월, 12월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을 만나 경기 남부 광역철도 신설을 비롯해 경강선(경기 광주역 ~ 용인 이동·남사읍)연장, 분당선 기흥역~오산대역 연장 등 용인의 철도사업의 중요성을 수차례 설명하고 지원 요청에 나섰지만 경기도가 해당 사업에 대해 적극성을 보이지 않아 수포로 돌아갈 위기에 놓였다.
용인=이인국 기자 kuk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