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원진 위원장은 최근 서구에서 추진 중인 명칭 변경과 관련해, 충분한 공론화 없이 진행돼 주민 간 갈등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김 위원장은 "2018년 미추홀구 명칭 변경 과정과 비교해 볼 때, 서구의 진행 방식은 주민 참여율이 현저히 낮고 공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절차적 장치가 부족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미추홀구(인천 남구)의 경우 명칭 최종 선호도 조사에서 전체 세대를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진행해 44%의 응답률을 기록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명칭을 결정했다. 반면, 서구는 명칭 공모 시 기간을 연장했음에도 불구하고 0.7%의 서구 주민만이 참여했고, 이후 선호도 조사 대상도 2000명으로 한정되어 있어 대표성과 공정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김 위원장은 자유발언을 통해 서구 지명위원회의 민간 위원 6명 중 5명이 구 명칭 변경 추진위원회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리고, 주민들은 이러한 전문과 검토 과정을 알 수 없어 불신을 키우고 있다고 지적하며, 보다 개방적인 논의를 요구했다.
또한 김 위원장은 일부 후보 명칭이 특정 지역 중심으로 선정되면서, 주민 간 갈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도 지적했다. 특히, '청라구' 명칭과 관련해 지역 커뮤니티 자체 조사에서 94%의 반대 의견이 나왔음을 언급하며, 명칭 변경이 오히려 주민 간 대립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서구의 새로운 명칭은 64만 서구민이 함께 만드는 이름이어야 한다"며 "충분한 주민 의견수렴 없이 진행되는 행정 절차는 주민들의 공감을 얻기 어렵고, 결국 지속적인 논란을 초래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끝으로 김 위원장은 "자녀의 이름을 정할 때 의미와 철학, 가족들의 의견을 신중하게 고려하는 것처럼, 서구의 새로운 명칭 또한 역사성과 대표성을 바탕으로 충분한 고민과 논의를 거쳐야 한다"며 "혼란이 아닌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명칭이 될 수 있도록 명칭 변경 과정에서 주민 참여를 확대하고, 찬반 의견을 포함한 심층적인 조사를 진행할 것을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서구는 지난 12일 명칭 변경 추진위원회를 열고 '서곶구', '서해구', '경명구', '청라구' 등 4개 후보를 선정했으며, 향후 여론조사 및 행정 절차를 거쳐 최종 명칭을 확정할 예정이다. 인천=주관철 기자 orca242400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