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규 관장 연임 확정…백춘희·이갑재 대표도 1년씩 연장할듯

  • 문화
  • 문화 일반

김덕규 관장 연임 확정…백춘희·이갑재 대표도 1년씩 연장할듯

대전예당 김덕규 관장 연임 확정 후 절차 진행중
이장우 시장, "공공기관장은 시장과 임기 맞춰야"
백춘희·이갑재 대표 연임 절차 긍정적으로 진행

  • 승인 2025-02-27 16:57
  • 신문게재 2025-02-28 6면
  • 최화진 기자최화진 기자
2025020201000015000000931
대전예술의전당 전경.
대전예술의전당 관장의 연임이 확정된 가운데 대전 문화계 다른 기관 수장들도 연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는 이장우 대전시장이 시정 연속성 등을 위해 민선 8기 출범 직후 부임한 해당 기관장들의 임기를 자신과 맞추려는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27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시는 올해 중 임기가 만료되는 주요 문화예술 기관장들에 대한 연임
djac_ceo2
대전예술의전당 김덕규 관장.
절차를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먼저, 김덕규 대전예술의전당 관장은 올해 3월 31일 임기가 종료된다. 김 관장은 2023년 4월 신임 관장으로 임명되어 약 2년간 대전예술의전당을 운영해왔으며, 최근 연임 의사를 표명한 바 있다.



이에 시는 김 관장에 대한 평가 절차를 진행했고, 그 결과 지난 14일 연임이 확정됐다.

현재 시는 연임을 위한 행정절차를 진행 중이며, 임기 만료 2~3주 전 최종 확정 발표를 앞두고 있다.

한편, 지난 24일 열린 '대전문화재단 2025 정기이사회'에서는 이장우 대전시장이 대전문화재단 대표의 임기 연장에 대해 언급했다.

2025021801001326500053531
대전문화재단 백춘희 대표.
이장우 시장은 "그간 공공기관장은 시장과 임기를 맞추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왔다"며 "백춘희 대표님 재임 기간 동안 열심히 해 오셨다. 임기가 종료됐다고 나가라고 할 수는 없지 않겠나"라고 말해 사실상 백춘희 대전문화재단 대표의 임기 연장에 힘을 실었다.

백 대표의 임기는 올해 4월까지다. 백 대표는 지난 2023년 5월 부임해 0시 축제 공동주관, 대전문화재단 조직 개편 등의 업적으로 대내외적으로 연임에 긍정적인 반응이 돌았다.

아울러 이갑재 이응노미술관장 역시 다른 기관장들과 마찬가지로 민선 8기 임기에 맞춰 임기가 1년 연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2208200_653459_515
이응노미술관 이갑재 관장.
이 관장은 2023년 5월 취임해 올해 4월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으며, 앞서 시에 연임 희망 의사를 비친 바 있다.

이장우 대전시장의 발언과 시의 연임 절차 진행 상황을 고려할 때, 김덕규 대전예술의전당 관장, 백춘희 대전문화재단 대표, 그리고 이갑재 이응노미술관 관장 모두 민선 8기 임기에 맞춰 각각 1년씩 임기가 연장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렇게 되면 김 관장은 내년 3월, 백 대표와 이 관장은 내년 4월까지 대표직을 이어가게 된다.

시 관계자는 "시장님께서 기관장들의 임기를 민선 8기와 맞춰 1년 연장하기를 희망하고 있다"며 "현재 관련 행정절차를 진행 중이며, 각 기관장의 임기 만료 2~3주 전에는 최종 확정 발표를 낼 계획이다"라고 했다.
최화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사건사고] 해수욕장서 30대 물에빠져 숨져… 인명·재산 피해 속출
  2. 대전보훈청, 광복 80년 기념 보훈음악회 성황리 마무리
  3. 세종시 '첫마을 3단지' 12세대 공급...18일 1순위 접수
  4. 대전 전세사기 피해자 1천명당 2명 '전국 최고'… 금융기관 커넥션 드러나나
  5. [편집국에서] 모두의 AI
  1. 최교진 신임 교육부 장관 후보자 새 정부 교육정책 관심
  2. 대전0시축제 패밀리테마파크 방문객 53만명, 흥행 견인
  3. 내신 1.0등급 합격 학과 2년 연속 의약학계열… 이공계 최상위권 부재
  4. [홍석환의 3분 경영] 나만 생각하는 사람
  5. [직장인밴드대전] "대상은 생각도 못 했는데 너무 기뻐요"

헤드라인 뉴스


[직장인밴드대전] 뜨거운 열정으로  `전국대회` 자리매김

[직장인밴드대전] 뜨거운 열정으로 '전국대회' 자리매김

'2025 전국직장인 밴드 대전'이 0시 축제 피날레 무대를 장식하며 중부권을 넘어 국내 대표 직장인밴드 음악경연 축제로 자리매김했다. 중도일보가 주관한 '전국직장인 밴드 대전'은 0시 축제 마지막 날인 16일 오후 7시 대전시 중구 우리들공원 특설무대에서 화려한 막을 올렸다. 이날 대회에는 3000여명의 관객들이 찾아 시원한 고음과 폭발적인 샤우팅, 강렬한 전자 사운드, 헤드뱅잉와 같은 멋진 퍼포먼스를 마음껏 즐겼다. 올해로 2회째를 맞는 대회에는 대전은 물론 서울, 부산, 제주 등 전국에서 모인 12팀의 직장인 밴드팀이 참여해..

대전0시축제 패밀리테마파크 방문객 53만명, 흥행 견인
대전0시축제 패밀리테마파크 방문객 53만명, 흥행 견인

대전문화재단이 운영하며 대전0시축제의 핵심 공간으로 자리잡은 패밀리테마파크에 방문객 53만여 명이 다녀가며 '명실상부한 흥행 견인차'역할을 톡톡히 했다. 옛 충남도청사에 조성된 패밀리테마파크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복합 문화놀이터로, 가족 단위 방문객들로 연일 붐볐다. 특히 꿈씨과학실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천국립중앙과학관 등과 협력해 마련된 과학 체험공간으로, 달 탐사 VR 체험과 우주탐험 콘텐츠가 큰 인기를 끌었다. 옛 도청사 주차장을 활용해 한밭수목원을 축소한 듯 조성된 공간인 꿈돌이 정원도 아기자기한 정원 풍경과 야간..

대전 전세사기 피해자 1천명당 2명 `전국 최고`… 금융기관 커넥션 드러나나
대전 전세사기 피해자 1천명당 2명 '전국 최고'… 금융기관 커넥션 드러나나

정부가 전세사기 피해자로 인정한 전국 3만 400건 중 대전에서 인구대비 피해건수가 가장 많은 가운데, 지역에서 50년 남짓 신뢰를 쌓은 금융기관 임직원들이 조직적으로 개입한 정황이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전세사기에 악용된 깡통 다세대주택이 쉽게 지어질 수 있었던 근본 원인에 전세사기 전문 건설업자들에게 금융기관의 부정대출이 있었다는 것이 재판에서도 규명될지 주목된다. 국토교통부는 6월 기준 피해자들의 신청을 받아 심의 후 전세사기피해자 등으로 인정한 사건 전체 3만400건 중에 대전에서 접수된 사건은 3569건에 이른다고 밝혔..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엑스포시민광장 물놀이장 마지막 운영 날…‘북적북적’ 대전엑스포시민광장 물놀이장 마지막 운영 날…‘북적북적’

  • 2025 전국직장인밴드대전 흥행성공…전국대회 자리매김 2025 전국직장인밴드대전 흥행성공…전국대회 자리매김

  • 통행 방해하는 인도 위 쓰레기 통행 방해하는 인도 위 쓰레기

  • 천 개의 마음 모여 완성한 대형 태극기 천 개의 마음 모여 완성한 대형 태극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