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경기 침체 '4월 위기론' 현실화 우려… 대전도 안심단계 아냐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건설경기 침체 '4월 위기론' 현실화 우려… 대전도 안심단계 아냐

종합·전문건설업 4곳 부도… 수도권 3곳 등
신동아건설 등 올해 법정관리신청 6곳 달해
11년 만 최대 '악성미분양' 대전 5.2% 늘어
"건설경기 회복 어려울 듯… 유동성 확보 시급"

  • 승인 2025-03-09 11:38
  • 수정 2025-03-09 17:22
  • 신문게재 2025-03-10 5면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게티2
게티이미지뱅크.
올해 건설경기 침체로 버티지 못하는 건설사들이 늘면서 '4월 위기론'이 현실화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여기에 고금리와 고물가는 물론, 미분양 주택 증가, 공사비 급등 등 업계 자금 압박이 심해지면서 부도 소식이 없는 대전도 안심 단계는 아니라는 시각이다.

9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월엔 전문건설업 1곳, 2월엔 종합건설업과 전문건설업 각각 1곳, 3월엔 전문건설업 1곳에서 부도가 발생했다. 서울 2곳, 경기 1곳, 부산 1곳 등 4곳이었다. 작년과 달리 수도권도 경영 악화 직격탄을 맞고 있다는 분석이다.

2024년 부도를 신고한 건설업체는 29곳으로 이 중 서울과 수도권 4곳(13.8%)을 제외하고 25곳(86.2%)은 비수도권에서 발생했다. 이는 2019년 49곳을 기록한 이후 최대치다. 작년 충청권에선 충남지역 전문건설업 2곳이 부도 처리됐다.

올해 법정관리 신청한 건설사도 속속 나왔다. 1월 신동아건설(시공능력 58위)에 이어 대저건설(103위), 2월 삼부토건(71위), 안강건설(138위), 대우조선해양건설(83위), 3월 벽산엔지니어링(180위)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하며, 올해에만 6곳에 달했다.



2025년 부도업체 수
2025년 부도업체 수. 사진=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 갈무리.
미분양이 꾸준해 건설업계의 유동성 위기도 좀처럼 해소되지 않는 모습이다. 국토부 '2025년 1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준공 후 미분양은 2만 2872세대로 전달보다 6.5% 늘었다. 이는 11년 3개월 만에 최대치다. 대전은 582세대로 전달보다 5.2% 증가했다. 전국 미분양 주택도 7만 2624세대로 전달보다 3.5% 늘었으며, 대전은 2095세대를 기록했다.

업계에선 대내외적인 불확실성 증가, 인건비와 원자잿값 상승 등 공사비 갈등도 커지는 데다, 유동성 위기로 대형 건설사도 경영 악화를 맞닥뜨리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여기에 지방에 있는 중소·중견 건설사는 타격이 더 클 것이라 전망하면서, 부도가 없는 대전도 마냥 안심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대전의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유동성을 확보하지 못하면 얼마 안 되는 금액으로도 건설사가 회생절차까지 밟게 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항상 위험 요소는 도사리고 있는 상황"이라며 "현재 분위기상 중소·중견기업의 입지는 줄어들 수밖에 없고, 건설경기 회복도 쉽지 않아 상황은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아파트 재건축 현장서 쓰레기 4만톤 나와…처리비용만 100억원대 추정
  2. 대전서 강풍 피해 잇따라…용산동 상가 공사 현장 크레인 전도
  3. 2027년 폐교 앞둔 대전 성천초… 교육청 추진계획 '주목'
  4. [중도초대석]김윤성 이사장 "한 명의 범죄피해자, 지역사회 전체가 보듬어야"
  5. [썰] 4·2 대전시의원 보궐, 더불어민주당-조국혁신당 기싸움?
  1. '프로야구 개막'... 대전신축 구장 활용 방안 만들자
  2. 대전여성단체 "강제추행 송활섭 대전시의원 징계 절차 재개해야"
  3. 대전지역 의대생 복귀시한 임박… 의대교육 정상화 '운명의 주'
  4. [알림] 중도일보, Daum 뉴스 '지역 카테고리' 신규입점
  5. 멀어지는 '벚꽃 추경'… 충청권 현안 사업 어쩌나

헤드라인 뉴스


경기불황에 멈춘 역세권 개발... 대전시 `활력 제고` 총력

경기불황에 멈춘 역세권 개발... 대전시 '활력 제고' 총력

고금리·고물가로 인한 경기 불황으로 대전 역세권 개발 사업이 지지부진하면서 대전시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도심 균형발전과 도시 경쟁력 확보를 위해 꼭 필요한 개발 사업으로 대전시는 사업 추진을 위한 행정 역량을 집중해 연내 가시적 성과를 낸다는 계획이다. 25일 대전시와 지역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전역세권은 2006년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된 이후 2020년 혁신도시, 2021년 도시재생사업, 2024년 도심융합특구 지정 등 개발을 위한 준비를 마쳤음에도 최근 고금리·고환율, 건설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한 부동산경기 침체까지 겹..

대전서 강풍 피해 잇따라…용산동 상가 공사 현장 크레인 전도
대전서 강풍 피해 잇따라…용산동 상가 공사 현장 크레인 전도

25일 돌풍에 공사 현장 크레인이 쓰러지는 등 대전에서 강풍 사고가 잇따라 발생했다. 이날 대전소방본부에 따르면, 오후 3시 7분께 대전 용산동의 한 아파트 인근 상가 공사 중 크레인이 도롯가로 전도됐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크레인이 쓰러지면서 주변에 있던 공사 작업자인 40대 남성 1명이 놀라 넘어져 머리 부위 출혈로 병원으로 이송됐다. 다행히 떨어진 크레인에 맞거나, 충돌해 피해를 본 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소방당국은 강풍에 의해 전도된 것으로 보고 곧바로 안전조치에 나섰다. 이를 포함해 오후 3시 30분 기준 대전에 30건..

`제2의 황인범을 꿈꾸다!` 대전하나 U-18소속 국대 박서준-김도연-박병찬
'제2의 황인범을 꿈꾸다!' 대전하나 U-18소속 국대 박서준-김도연-박병찬

대한축구협회가 내달 개막하는 2025 AFC U-17 아시안컵에 참가할 남자 17세 이하(U-17)대표팀을 19일 발표했다. 이번 대표팀에 선발된 선수들은 26명으로 대부분 K리그 산하 유소년 클럽 고교생 선수들로 구성됐으며 이들 중 3명(박서준, 김도연, 박찬준)이 대전하나시티즌 U-18세 이하 유스팀 충남기계공고 선수들이다. 전국에서 내로라하는 유스 22개 팀 중 3명의 선수가 대표팀에 이름을 올린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축구 인프라가 풍부한 수도권이 아닌 지방 유스팀에서 대표팀에 3명의 이름을 올린 팀은 대전과 울산이 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강풍에 쓰러진 크레인…시민 한 명 부상 강풍에 쓰러진 크레인…시민 한 명 부상

  • 천안함 46용사 묘역 찾은 한동훈 전 대표 천안함 46용사 묘역 찾은 한동훈 전 대표

  • 미세먼지에 갇힌 답답한 도심 미세먼지에 갇힌 답답한 도심

  • 농사철 앞두고 농기계 수리 농사철 앞두고 농기계 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