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등 지역간 고교 학생 수 격차 매년 커져… "큰 학교 대입도 유리"

  • 사회/교육
  • 교육/시험

충청권 등 지역간 고교 학생 수 격차 매년 커져… "큰 학교 대입도 유리"

세종-충북 격차 2025학년도 47.7명→2026학년도 64.9명→2027학년도 90.0명으로 확대
종로학원 "학생 많은 학교가 내신 유리… 학교·학군 선택기준도 학생수가 변수로 작용"

  • 승인 2025-03-16 19:03
  • 신문게재 2025-03-17 1면
  • 고미선 기자고미선 기자
학교수
/종로학원 제공
충청권을 비롯해 전국의 지역 간 고등학교 학생 수 격차가 매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수가 많은 곳이 내신에 유리하다는 입시업계 분석에 따라 작은 학교의 대입 불공정 우려도 나온다.

현 고2 학생이 대입을 치를 2027학년도에는 세종이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많은 283.9명의 학생을 기록해 충북과의 격차가 90명으로 벌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아산과 천안은 228개 시군구 가운데 최다 학생 보유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16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전국 17개 시도 지역 간 고교평균 학년별 학생 수 격차가 2025학년도 136.7명, 2026학년도 150.4명, 2027학년도 165명으로 확대 폭이 커지고 있다.

2025학년도 대입의 경우 세종은 고교 16곳 평균 226.6명으로 경기도(249.1명)의 뒤를 이었고, 2026학년도에는 262.1명으로 상승했다. 2027학년도에는 세종이 283.9명으로 가장 높은 평균 학생 수를 기록하며 경기도를 앞지를 것으로 보인다.



대전은 2025학년도에 219명에서 2026학년도에 245.6명으로 증가하지만 2027학년도에는 235.1명으로 감소세가 예상된다. 충남은 2025학년도에 190.4명에서 210.8명으로 늘어난 후 2027학년도에는 208.4명으로 준다. 충북은 2025학년도에 178.9명에서 2026학년도 197.2명으로 증가하지만 2027학년도에는 194명으로 소폭 감소할 전망이다.

2027학년도 전국에서 가장 많은 세종(283.9명)과 가장 적은 강원(118.9명)의 고교당 평균 학생 수 격차는 165명에 달한다. 충청권 내 최대-최소 격차(세종-충북)는 2025학년도 47.7명에서 2026학년도 64.9명, 2027학년도 90.0명으로 확대된다.

지역 copy
/종로학원 제공
전국 228개 시군구 고교당 평균 학생 수 격차도 2025학년도 356.6명, 2026학년도 370.4명, 2027학년도 387.9명으로 확대 추세다.

충남 아산이 2025학년도부터 2027학년도까지 각 373.4명, 391.1명, 400.9명으로 꾸준히 늘어나며 전국서 가장 많았다. 이어 천안이 각 325.1, 365.8, 360.2명으로 많은 수치다.

학교별로는 아산 설화고와 배방고가 2025학년도엔 각각 507명과 504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학생 수를 기록했고, 2026학년도엔 천안 쌍용고와 아산 이순신고, 천안두정고가 각각 492명, 492명, 490명이다. 2027학년도엔 아산 이순신고와 천안 두정고가 493명, 489명으로 여전히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고교 학생 수 격차가 매년 확대되면서 내신 성적의 불공정성도 우려되고 있다. 작은 학교에서는 실력과 무관하게 1등급 진입 자체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현재 내신 체제에서는 수강자 수가 4명까지는 1등급이 없고, 5명에서 37명까지는 1등급이 1명에 불과하다. 따라서 학생 수가 적은 학교에서는 실력과 무관하게 1등급 진입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명문 학군지 선택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전국 copy
/종로학원 제공
2027학년도까지는 9등급제로 내신이 평가되며, 2028학년도부터는 5등급제로 전환된다. 현행 9등급 체제에서는 학생 수가 적은 학교에서 상위권 등급을 받기 어려운 구조다. 2026학년도와 2027학년도에 학생 수 격차가 커지면서, 학생 수가 많은 학교가 대입 진학 실적에서도 유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교육 특구가 내신에서 유리하다고 하는 인식은 실제와는 상당히 다른 양상으로도 해석 될 수 있으며, 오히려 학생 수가 적은 비교육 특구 학생들이 내신 따기가 더 어려울 수도 있다"라며 "학교·학군 선택 기준도 학생수가 상당한 변수로 작동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고미선 기자 misunyd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몽골대법원 연수단 17명, 대전과 청주법원에서 전자소송 등 교류
  2. 소방안전체험 하는 외국인 주민들
  3. [현장취재]2025 재전부여군민회 대전현충원 보훈둘레길 탐방
  4. '대전형 라이즈' 13개대학 643억 투입 83개 과제별 사업 수행
  5. [편집국에서]거짓말에 무게가 있을까?
  1. 급식 갈등 대전교육청, 조리원 배치기준 완화로 근본적 문제 해결 나선다
  2. 대전 기간제 교사 5년간 400여명 늘었다… 정교사는 감소세
  3. 대선정국 도심단절 철도 도로 입체화 관철시급
  4. 이재명, 사법 리스크 극복하고 세 번째 대권 도전 성공할까
  5. 하모니합창단 후원금 2300만원 기탁식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 확정…경선압승 본선직행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 확정…경선압승 본선직행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27일 당내 경선에서 압승을 거두며 대선 후보로 확정됐다. 27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마지막 순회경선 결과, 이 후보는 최종 89.77% 득표율을 기록하며 결선 투표 없이 과반 승리로 본선 직행이 확정됐다. 이 후보는 수도권과 충청권, 호남권 등 주요 지역에서 모두 90% 가량의 고른 지지를 받았다. 그의 압승은 본선에서 승리할 후보를 강력히 밀어준 정권교체 열망이 반영됐다는 해석이다. 경쟁 주자였던 김동연 후보는 6.87%, 김경수 후보는 3.36%에 그쳤다. 이 후보는 초반부터 대세론을 형성했..

대선정국 도심단절 철도 도로 입체화 관철시급
대선정국 도심단절 철도 도로 입체화 관철시급

6·3 조기대선 정국에서 대전 도심을 단절해 성장을 저해하는 도로나 철도시설에 대한 입체화를 반드시 관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대전시는 최근 6월 치러질 제21대 대선을 앞두고 대한민국 미래 도약을 선도하기 위해 4대 분야 42개 발전 과제를 발굴했는데 이중 호남고속도로 지선 확장 및 지하화, 도심철도구간 입체화 통합개발(대전조차장, 대전역) 등 도심 입체화 사업이 12개 핵심 사업에 들어가 각 후보에게 적극 전달된다. 호남고속도로 지하화 사업은 이장우 대전시장의 민선8기 대표 공약 사업 중 하나다. 호남고속도로는 1970년..

대전 농산물 소매가 전반적 안정세... 배추·대파·당근 등 저렴해졌다
대전 농산물 소매가 전반적 안정세... 배추·대파·당근 등 저렴해졌다

봄철 출하량이 늘고 작황이 양호해지면서 농산물 가격이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대전 배추와 당근, 대파 등 집밥 필수품인 채소 등은 최근 한 달 사이 가격이 하락하며 지난해보다 저렴해졌고, 5월부터 본격적으로 출하하는 참외와 수박 시세도 작년보다 가격이 인하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채소류 중 대전 배추(상품) 1포기 소매가는 25일 기준 4827원으로, 한 달 전(5599원)보다 13.79% 내렸다. 이달 중순까지만 하더라도 6380원까지 가격이 높게 형성되며 강세를 보여왔다. 이후 봄배추가 본격적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내가 만든 모형항공기 하늘로 슝~ 내가 만든 모형항공기 하늘로 슝~

  • 자연과 함께하는 차분한 주말 자연과 함께하는 차분한 주말

  • 소방안전체험 하는 외국인 주민들 소방안전체험 하는 외국인 주민들

  • 유류세 인하 폭 축소에 5월부터 기름값 오름세 유류세 인하 폭 축소에 5월부터 기름값 오름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