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213강 역린지화(逆鱗之禍)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213강 역린지화(逆鱗之禍)

장상현/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5-03-25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 213 강 역린지화(逆鱗之禍) : 용의 목 아래 거꾸로 난 비늘(逆鱗)을 건드리면 화(禍)를 입음

글 자 : 逆(거스를 역) 鱗(비늘 린) 之(갈지, 관형격 조사 ~의) 禍(재화 화)

출 처 : 한비자(韓非子)의 세난편(說難篇)

비 유 : 개인이나 집단이 가진 가장 민감한 부분이나 약점, 금기 영역을 건드림



逆자는 두 팔과 두 다리를 벌리고 서 있는 사람, 즉 大(큰 대)를 거꾸로 뒤집은 모습을 본떠서 만든 글자이다.

逆은 갑골문 때부터 등장하는데, 주로 겨역(拒逆), 반역(叛逆), 역공(逆功), 역풍(逆風) 등 거스르며 반대하는 행위에 많이 사용되곤 한다.(설문해자 참조)

사람은 누구나 장점과 단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장점만을 가지고 있는 사람도 없고 단점만을 지니고 있는 사람도 없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은 남의 장점보다는 단점을 쉽게 발견해 이야기 하곤 한다. 이는 자기 보호적인 심리가 발동하기 때문이다. 상대방보다 자신이 낫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본능이다.

용(龍)은 전설상의 동물로 동. 서양을 막론하고 불가사의(不可思議)한 힘과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상상(想像)의 동물이다.

중국문화의 영향권에 있는 동양은 용(龍)을 포함한 봉(鳳/봉황새) 인(麟/기린) 귀(龜/거북)를 사령(四靈)이라고 하며 신령스럽게 여긴다. 용(龍)은 비늘이 있는 동물들의 (長)으로 능히 구름을 일으키고 비를 부를 수 있는 신비의 동물로 여겨왔다. 그리하여 중국에서는 곧잘 군주(君主)를 용(龍)에 비유한다. 용안(龍顔), 용상(龍床)등의 용어가 이에 속한다. 따라서 용(龍)에 관한 격언이나 표현이 많은 것도 그 하나이다.

한비(韓非)는 전국시대 사람이다. 그 시대에는 임금과 신하가 서로 의심하고 기회만 있으면 서로 쓰러뜨리는 이른바 난신적자(亂臣賊子)의 혼란한 사회로, 한비자는 그것을 날카로운 시각으로 보고 있었다. 그래서 이와 같은 정세 속에서 국가의 백년대계(百年大計)를 세우는 방법을 생각하고 있었다.

그는 진(秦)나라에 억류되고 있는 동안에 동문(同門)이었던 이사(李斯)의 꾀에 빠져 독(毒)을 마시고 자결했다고 하는데 한비(韓非)는 그의저서 한비자(韓非子) 세난편(說難篇)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용(龍)은 순한 짐승이다. 길들이면 타고 다닐 수도 있을 정도다. 그러나 그 턱밑에 지름이 한자(一尺)쯤 되는 거꾸로 붙은 비늘(逆鱗/역린)이 하나 있다. 만약에 이것에 손을 대는 자가 있으면 용(龍)은 반드시 그 사람을 죽이고 만다. 군주(君主)에게도 그 역린(逆鱗)이 있는 것이다… 그러니까 조심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군주의 노여움을 비유해서 역린(逆鱗)이라하고 또 노여움을 당하는 것을 '역린(逆鱗)에 닿았다'고 말하게 되었다. 많이 쓰이는 말이다.

그렇다면 절대왕조시대에는 군주(君主)가 영토, 백성, 관직 등 국가의 모든 것을 소유하고 있고, 또 권한을 행사할 수 있어 역린(逆鱗)을 군주의 노여움에 비유해도 되는데 민주주의에서는 '국민이 주인이며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대 전제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필자 생각은 국민이 군주이고, 국민의 노여움이 역린(逆鱗)이 되는 것이다.

지금의 정치지도자들은 어떠한가? 선거철만 되면 국민을 찾고, 당선되면 무시하고 소홀히 대하는 대상이 바로 국민이다. 곧 법을 마음대로 고치고, 국민에게 봉사하는 공직자를 마구 잡아들이고, 잘못된 내용을 호도하여 국민의 판단을 흐리게 하여 권력만을 차지하려는 지극히 비민주적이고 소인배들의 처사를 자처하는 자들이 정치인이 되어서 민주주의 신성(神聖)함을 갉아먹고 있다고 생각한다.

대한미국의 용(龍)들은 정말 온순하고 마음이 좋다. 이른바 역린(逆鱗)을 건드려도 아무런 반응이 없는 듯하다.

역린(逆鱗)을 건드린 자들 결코 온전치 못하리라. 역린조차도 알지 못하는 몽매(蒙昧)한 정치지도자들 그들은 언젠가 닥칠 후폭풍을 감당하기 어려우리라.

순하디 순한 용(龍/국민)도 참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장상현/전 인문학 교수

장상현 교수님-수정
장상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형 라이즈' 13개대학 643억 투입 83개 과제별 사업 수행
  2. 대선정국 도심단절 철도 도로 입체화 관철시급
  3. 이재명, 사법 리스크 극복하고 세 번째 대권 도전 성공할까
  4. 대전 기간제 교사 5년간 400여명 늘었다… 정교사는 감소세
  5. SKT 유심교체 첫날, 대전 대리점 곳곳 긴 줄… 노년층 혼란 극심
  1. [기고] 대전·충남 통합의 과제와 전망
  2. 대전 당원 만난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
  3. "충남미술관 성공적 건립 위해" 지역 예술계 상생·협력의 장 마련
  4. 유심 교체의 긴 줄
  5. 대전 토끼봉에 일제 방공호 2개 "길목에 만든 일본군 참호"

헤드라인 뉴스


대전 토끼봉에 일제 방공호 2개 "길목에 만든 일본군 참호"

대전 토끼봉에 일제 방공호 2개 "길목에 만든 일본군 참호"

대전에서 충북 옥천을 잇고 한때는 청주 방향으로 분기하던 교통 요충지에서 일제강점기 방공호 동굴 2개가 추가로 확인됐다. 밖에서 동굴 입구가 보이지 않도록 벽을 세워 숨겼고, 산봉우리 아래 4개의 동굴을 각기 다른 방향으로 팠다는 증언까지 나왔다. 대전 동구 신상동 오리골마을에서 만난 송정의(91) 옹은 벚꽃길로 유명한 회남로 주변에 일제강점기 조성된 동굴에 대해 증언했다.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이 마을 역사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지하 방공호 이야기를 듣고 세상에 알려지게 됐다. 이곳은 1975년 대청댐이 준공되어 수몰되기 전에는..

5월 충북 1448세대 분양… 대전·세종·충남 분양 없어
5월 충북 1448세대 분양… 대전·세종·충남 분양 없어

충청권 내 5월 아파트 분양은 1400여 세대 규모로 모두 충북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세종·충남은 분 물량이 없어 '공급 절벽'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28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5월 전국 분양예정 물량은 22개 단지 1만 7176세대(일반분양 1만 1065세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일 실적과 비교해 7% 줄어든 물량이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 1만1697세대, 지방 5479세대가 공급된다. 전국적으로 보면 수도권은 ▲경기 6603세대 ▲서울 4333세대 ▲인천 761세대가 예정돼 있고, 지방은 ▲부산..

예산 급감·정부 무관심 ‘도심융합특구’, 정치권이 불씨 살린다
예산 급감·정부 무관심 ‘도심융합특구’, 정치권이 불씨 살린다

정부가 지역소멸 해결을 위해 추진한 ‘도심융합특구’ 조성사업이 방치되면서 정치권을 중심으로 불씨를 되살리려는 노력이 구체화 되고 있다. 도심융합특구 사업을 추진 중인 5대 광역시의 국회의원들은 포럼을 만들어 공동대응에 나서고, 사업에 필요한 원활한 재원 확보를 위한 법률 개정안도 발의됐다. 우선 국회 도심융합특구발전포럼(포럼)은 4월 29일 오후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출범식을 개최하고, 국회와 지방자치단체, 정부, 민간, 학계 등이 모여 도심융합특구 추진 전략을 발표하는 자리를 가진다. 도심융합특구는 판교 테크노밸리를 모델 삼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당원 만난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 대전 당원 만난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

  • 향토기업과 함께 대선 홍보…선거 김 출시 향토기업과 함께 대선 홍보…선거 김 출시

  • 유심 교체의 긴 줄 유심 교체의 긴 줄

  • 내가 만든 모형항공기 하늘로 슝~ 내가 만든 모형항공기 하늘로 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