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형호 KAIST 연평균 110개 스타트업 창업… 누적 주요 기업 가치 10조 원

  • 경제/과학
  • 대덕특구

이광형호 KAIST 연평균 110개 스타트업 창업… 누적 주요 기업 가치 10조 원

  • 승인 2025-04-14 17:23
  • 신문게재 2025-04-15 5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첨부3.
스타트업 테크플라자에서 강연하는 이광형 총장. KAIST 제공
KAIST가 이광형 총장 재임 기간 연평균 110여개의 스타트업을 배출했다. 임기 동안 20개 기업이 상장하며 KAIST 창업 생태계를 구축했다.

14일 KAIST에 따르면 이광형 총장이 부임한 2021년부터 2024년 12월까지 451개 스타트업이 탄생했다.

이 총장은 취임 창업 친화적 프로그램을 신설하며 학교와 지역을 넘어 범국가 차원에서 창업 활성화를 주도했다. 그 결과 활발한 스타트업 창업과 기업 상장 등 잇단 성과를 냈다. 주요 스타트업 기업 가치를 합산하면 10조 원에 달한다.

2021년 이후 KAIST 출신 기업 20개가 상장에 성공했다. 2024년에만 엔젤로보틱스, 아이빔테크놀로지, 토모큐브, 우진에넥 4개 사가 상장했다.



KAIST는 교원 창업 심의, 총장 승인 절차 등 단계를 폐지해 창업 승인 절차를 대폭 간소화했다. 학생 창업은 창업 휴학 가능 기간을 기존 4학기에서 무기한으로 연장해 학생들의 실질적인 창업이 가능토록 했다.

창업 프로그램을 통해 창업을 지원하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패스트 프로토타이핑 프로그램은 창업기업을 대신해 시제품을 제작해 주고 외부 전문가를 매칭해 제작비를 지원함으로써 시제품 제작 기간을 기존 2년에서 6개월로 단축하도록 했다. 2023년 신설 이후 현재까지 16개 기업을 선정해 지원했다.

지역 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지식산업센터를 유치해 2029년 개관 목표로 창업 공간을 선보일 예정이며 앞서 2024년 7월엔 지역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는 KAIST 스타트업 글로벌 센터를 개소했다. 2023년 말 기준 KAIST의 누적 창업기업은 1914개, 자산 규모는 94조 원이다. 총 매출 규모는 36조 원, 총 고용 인원은 6만 1230명이다. 대표 기업으론 교원 창업기업인 '레인보우로보틱스', '엔젤로보틱스', 학생 창업기업인 의료 AI 기업 '루닛' 등이 있다.

clip20250414165306
엔젤로보틱스 김승환 연구원
배현민 KAIST 창업원장은 "일자리 창출과 성장동력의 발굴육성이라는 국가 과제를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KAIST 창업원은 한국 토양에 맞는 기술 창업 생태계의 성공적인 모델을 지속적으로 정립하겠다"고 말했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KAIST 구성원들이 창업을 통해 본인의 연구가 실현되는 것을 경험하며 보람을 느끼고 국가와 사회에 기여하는 한편 이를 학교의 재정 자립으로 연결하는 선순환 구조의 시스템이 확립돼야 한다"며 "KAIST는 이 핵심 과제를 수행하며 이를 기반으로 대한민국 경제 대국 도약을 선도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하늘에서 본 대전시티투어 명소 '놀거리 볼거리 가득'
  2. 대전 도안신도시 국가산단·트램·서남부스포츠타운 등 개발 호재로 가치 '입증'
  3. '석식 중단' 대전 A학교, 조리원 징계의결서 접수
  4. 이재명 이어 김동연도 "해수부 이전" … 선심성 공약 남발
  5. 오석환 교육부 차관, 대전신탄진중서 AIDT 현장 의견 청취
  1. [사설] '세종 행정수도' 역행하는 ‘해수부 부산 이전’
  2. [현장취재]지식의 융합과 CNU 교육의 미래
  3. [사설] 소멸 위기 부여·서천, 경제 활로 '분투'
  4. KAIST 뉴욕캠 이어 실리콘밸리 캠퍼스 구축한다… 글로벌 창업 인재 양성에 힘
  5. "최저임금 올라도 급여는 깎여" 대전 경비노동자들의 호소

헤드라인 뉴스


학교 떠나는 학생들… 대전 학업중단 고교생 年 800명 달해

학교 떠나는 학생들… 대전 학업중단 고교생 年 800명 달해

한해 800명에 달하는 대전의 고교생이 학교를 떠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원인도 있지만, 대입을 위해 전략적 학업중단도 예상돼 교육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3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집계된 2023학년도 학업중단 고교생은 789명에 달한다. 2019년 747명이었던 학업중단 학생 수는 코로나 영향으로 2020년 506명, 2021년 620명으로 잠시 줄었다가 2022년 757명으로 다시 늘어나는 추세다. 전체 고교생 대비 학업 중단율도 증가세를 보였다. 2019년 1.66%, 2020년 1..

진격의 한화이글스…마리한화 재가동 힘입어 관중 40% 증가
진격의 한화이글스…마리한화 재가동 힘입어 관중 40% 증가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2025 KBO리그에서 '마리한화' 모드를 재가동하며 야구 팬들을 열광케 했다. 신축구장 개장과 함께 평균 관중 수가 지난해 1만2000명에서 경기당 1만 6752명으로 증가해 10개 구단 중 관중 증가율(40%) 3위를 기록할 정도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22일 기준 잠실·수원·고척 야구장에서 열린 3경기에 총 2만 5247명이 경기장을 찾아, 올 시즌 누적 관중 200만 5317명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118경기 만에 200만 관중을 돌파한 것으로, 이는 126경기 만에 200만 관중을 동원한 201..

충청 정치, 이번 대선에서도 조연… 역할 높이는 `자강(自强)` 시급
충청 정치, 이번 대선에서도 조연… 역할 높이는 '자강(自强)' 시급

6·3 조기 대선을 한 달여 앞둔 가운데 충청 정치의 자강(自强)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역을 하나로 묶는 구심점 역할의 대표 인물 부재, 손익 계산에 따라 대권 주자별로 각기 분파하는 충청의 정치세력 등 이번 대선에서도 충청 정치의 고질적인 특징이 재현되면서다. 충청의 정치력 증강이 결국 지역의 미래 성장과 직결하는 만큼 이제라도 정치 자강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라는 지적이 나온다. 사실 대선 초반 정국에서 충청의 주목도는 높았다. 더불어민주당이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첫 순회경선 지역으로 충청을 택하는가 하면 대통령실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책 읽기에 빠진 어린이들 책 읽기에 빠진 어린이들

  • ‘봄꽃 구경하러 오세요’ ‘봄꽃 구경하러 오세요’

  • 사이버 위법행위 ‘꼼짝마’ 사이버 위법행위 ‘꼼짝마’

  • 집중단속 아랑곳 않고 불법투기 여전 집중단속 아랑곳 않고 불법투기 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