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하추동]멈춤은 변화를 이끄는 시간의 끈

  • 오피니언
  • 춘하추동

[춘하추동]멈춤은 변화를 이끄는 시간의 끈

김충일 북-칼럼니스트

  • 승인 2025-04-15 16:57
  • 신문게재 2025-04-16 18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김충일 북칼럼니스트
김충일 북-칼럼니스트
삶은 『끈』이다. 끈은 일상의 소소한 일에서부터 우주적 사건까지 아우른다. 세상사(시간 위의 일)는 굵은 씨줄과 가는 날줄로 질서정연하게 때론 뒤엉켜 있기에, 끈은 관계 속의 상황을 매거나 묶기 위해, 또는 꿰매기 위해 사용한다. 게다가 끈은 길고 짧기도 해서 직선과 순환적 사유의 폭과 넓이를 수렴하거나 확산시키기도 한다. 하여 사람들은 끈을 가지고 갖가지 빛깔의 삶이란 옷을 지어내는 직조공이 되기도 한다.

시내 카페에 앉아 방금 전 옆 서점에서 구입한 책을 읽다가 주변을 살펴보니 한 테이블에 앉아 있는데 누군가는 얘기를 하고 누군가는 듣고 누군가는 딴 생각을 하고 누군가는 스마트폰을 만지고 있다. 우리는 한 장소에서도 다층적인 관계의 끈에 매달려 있다. 어느 때는 끈이 나를 동여매거나 풀어 주기도 하지만, 내가 끈을 붙잡고 있는 게 아니라 끈이 나를 풀어주는 것 같기도 하다. 이렇듯 끈은 세상과 접속하는 마음의 바깥이고, 몸의 안쪽이 된다.

끈은 사방으로 뻗어가고 누구에게나 아무 곳에서나 일상의 리듬에 따라 다채로운 수(繡)를 놓는다. 하루가 흘러감은 온몸으로 느끼는데 온 정신은 산만하기만 한 사월의 한 복판이다. 일상을 겪어내는 시선의 결을 잇고 정리된 초점을 맞추기가 힘들다는 말이다. 맥없이 부릅뜬 아파트 CCTV처럼 요즘 내 일상은 무엇 하나 마음에 간곡히 담을 수 없어 마음의 괄약근을 놓아버린 헝클어진 마음의 끈에 다름 아니다.

이런 때 스스로가 우연과 필연의 흐름에 의해 연결되는 시간의 끈을 의심하기 시작하면 일상은 더욱 힘들어진다. 나는 왜 과거를 지나 이렇게 오늘을 살아가며, 미래를 예단하는 나를 믿지 못하는 걸까. 스스로를 의심하고 믿지 못하면 괜찮지 않다. 결국 나의 시간의 끈을 부여잡고 흔드는 건 나뿐이기에. 시간의 끈은 나의 몸을 옥죄고, 닫힌 마음의 문을 허허롭게 풀어 놓는다. 이런 가난한 마음의 끈이 우리들의 일상을 고통스럽게 만들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때 팽팽하게 나를 옥죄거나 풀어낸 가난한 마음과 단절된 시간의 끈을 느긋하게 숨죽이기 위해선 멈춤과 머무름의 끈을 마련해야 한다. 멈춤은 끊어내는 일(stop)이 아니라 머무르는 일(stay)이다. 머무르라는 명령은 멈추라는 게 아니다. 머무른 상태에서 계속 자라기, 멈춤을 머금은 채 성장으로 이끄는 힘(끈)이다. 멈춤 다음에 오는 변화는 더 나은 방식으로 스스로를 세우며 달라지는 삶이다. 그렇게 멈춤의 끈에는 기대와 고요, 긴장과 유연함이 고루 들어 있다.

쏟아지는 졸음에 잠시 책을 내려놓은 그 몽롱한 그 상태, 그런 현실 속에서 꿈같은 유토피아를 찾아서 멈춰 머무르는 상태가 좋은 삶으로 이끄는 끈이 아닐까. 보다 나은 삶이란 무엇인가라는 근원적 질문이나 곱씹으며 머리를 긁적이기만 할 일이 아니다. 이럴 땐 이 곳이란 공간을 저곳이란 장소로 슬며시 소풍(逍風)을 떠나 볼 일이다. 어릴 적 매 학기마다 찾아와 가슴 설레게 했던 '소풍'을. 내 삶 속 일상의 소풍은 언제였던가?

한자를 찾아보니 소풍은 '노닐 소(逍)'에 '바람 풍(風)'자를 쓴다. 지문을 남기지 않는 바람의 손처럼, 관계의 끈을 놓아버리고 하릴없이 세상 귀퉁이를 만지작거리다 돌아오는 일이 소풍이다. 들인 돈만큼 왠지 본전을 뽑아야 할 것 같은 무언가를 움켜쥐려는 일이 아니다. 예기치 않게 나를 놓고 나를 잊으며 나로 가득한 뜻밖의 웃음의 끈을 몸에 감고 돌아오는 게 소풍이다.

이를 위해 우리 모두 소풍의 끈을 잡아 당겨보자. 주위를 둘러보면 죄다 바쁜 사람들이다. 하지만 그들을 멈춰 세워, 마실(근처에 사는 이웃에 놀러가는 일) 보다 조금 무거운 소풍에 나서보자. 후유증과 추억, 피로나 여흥과 같은 별다른 것을 남기지 않고 이곳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바람 냄새 정도를 머리카락에 묻혀오는 일말이다. 이렇듯 소풍은 잠시 멈춰 쉰 나에게 주는 몸과 마음의 선물이다.

시절의 끈인 봄날이 가고 있다. 낡아가는 사실과 잊혀 진 진실 중에 무엇이 더 옳고 나쁜 끈인지… 어떤 일의 상태도 모르면서 제대로 된 일을 꾸리기도 전에 왜 서툰 말(話) 끈을 휘두르는지… 진짜 좋은 일상의 끈은 어디에 매여 있는지… 세상만사 셀 수 없을 만큼의 끈으로 엉켜있지만 순리적으로 오지 않는다는 것을 모르진 않는다. 그렇지만 잠시 멈춰 서서 봄 소풍이란 끈을 일상에 매어보자. 봄 뒤에는 반드시 여름의 끈이 매여져야 한다. <김충일 북-칼럼니스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한성일이 만난 사람 기획특집]제97차 지역정책포럼
  1.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2.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3.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4.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5.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 대전사랑카드 7월1일부터 본격 운영 대전사랑카드 7월1일부터 본격 운영

  • 더위 피하고 밥값 아끼고…구내식당 ‘북적’ 더위 피하고 밥값 아끼고…구내식당 ‘북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