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봄의 불청객, 우박으로부터 안전한 일상 지키기

  • 오피니언
  • 사외칼럼

[기고]봄의 불청객, 우박으로부터 안전한 일상 지키기

장동언 기상청장

  • 승인 2025-04-16 10:04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2025032501001896900076311
장동언 기상청장
따스한 햇살 아래 알록달록한 꽃들이 만개하며 봄의 전령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꽃잎이 흩날리는 거리나 푸릇푸릇한 새싹이 돋아나는 공원에서 산책을 즐기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봄을 한껏 즐겨본다.

하지만 봄이 따뜻한 햇살과 아름다운 풍경만을 가져다주는 것은 아니다. 갑자기 나타나는 불청객 '우박'이 우리의 일상을 위협하기도 한다. 우박은 작은 콩알만 한 것부터 야구공만 한 크기까지 매우 다양하며, 발생 빈도는 낮지만 큰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자동차 유리창을 깨뜨리거나 농작물을 훼손하는 등 심각한 재산 피해를 일으킬 수 있고, 주먹만 한 크기의 커다란 우박은 심각한 인명 피해를 초래할 수도 있다.

우리의 일상을 헤칠 수 있는 위험한 기상현상인 우박은 무엇일까. 눈의 결정 주위에 차가운 물방울이 얼어붙어 지상에 떨어지는 지름 5mm 이상의 얼음덩어리로,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얼음층으로 둘러싸여 있다. 우박은 대기 불안정으로 생성된 적란운 속에서 복잡한 과정을 거치며 형성되는데,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상승해서 적란운이 형성되면, 내부의 강한 상승 기류를 타고 올라간 수증기가 과냉각된 물방울과 만나 얼어붙어 우박 핵을 만든다. 이 핵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며 주변의 과냉각된 물방울과 충돌하고 얼어붙기를 반복하면서, 점점 크기가 커지고 다양한 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승 기류가 더 이상 우박의 무게를 지탱할 수 없을 만큼 무거워지면, 중력에 의해 지상으로 떨어지게 된다.

우박은 어느 계절에나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봄부터 가을 사이에 자주 발생한다. 이 시기에는 지표면이 가열되어 상층과 하층의 기온 차가 크게 나타나 상승 기류가 활발해져서 적란운 발달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1991년부터 2020년까지 30년간 한 해 동안 대전의 평균 우박 일수는 약 1.3일이며, 봄철인 3~5월 사이의 월별 우박 일수는 평균 3.3일로 봄철에 가장 많은 우박이 내렸다.



봄부터 가을 사이는 농작물이 자라나는 시기로, 우박으로 인해 농작물에 많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한 예로, 지난 2023년 6월 경북, 충북 등 전국 곳곳에 우박이 내렸고,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당시 고추, 옥수수 등 농작물의 피해 규모는 약 1,185ha에 달했다. 행정안전부에서 발표한 2023년 재해연보에 의하면, 그해 우박에 의한 피해액은 약 22억 원이며, 그중 농작물 피해액이 약 15억 원으로 우박에 의한 피해 유형 중 농작물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처럼 우박은 낮은 발생 빈도에 비해 큰 피해를 불러오며, 특히 농작물에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농가에서는 각별한 주의와 대비가 필요하다.

기상청은 우박으로 인한 국민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먼저, 기상 관측 장비인 기상레이더와 기상위성을 비롯한 지상・고층 관측자료를 활용해 실시간으로 대기 상태를 면밀히 관측하고, 수집된 방대한 데이터를 정밀하게 분석하여 우박 발생 가능성을 예측한다. 또한, 날씨누리와 날씨알리미 앱을 통해 우박 발생 가능성이 큰 지역과 시간, 우박과 동반되는 악천후 관련 기상 정보를 국민에게 신속하게 제공하여, 사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돕는다. 나아가, 우박 발생 시 국민행동요령도 적극적으로 안내하고 있다.

우박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사전 대비와 더불어 우박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중요하다. 우박이 발생했을 때는 건물 안이나 지하 주차장 등 안전한 실내로 신속히 대피하고, 실내로 피하기 어렵다면 가방이나 두꺼운 옷으로 머리를 보호하며 몸을 웅크려야 한다. 운전 중에 우박을 만났다면 속도를 줄이고 안전거리를 확보하며, 가급적 안전한 곳에 정차하여 우박이 멈출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좋다.

봄은 우리에게 설렘과 희망을 안겨 주는 아름다운 계절이지만, 때로는 예상치 못한 위험을 가져다주기도 한다. 완연한 봄을 온전히 즐기기 위해 기상청이 제공하는 우박 발생 가능성 정보를 자주 확인하고 우박 발생 시 행동 요령을 미리 숙지하여, 모두가 안전하고 즐거운 봄을 보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장동언 기상청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코스피 3000 돌파…3년 6개월 만
  2. 장맛비에 대전·세종·충남에 비 피해신고 132건…오후까지 호우 주의
  3. 충남창경센터, '4시즌 데모데이 인 충남 x 나비' 개최
  4. 한기대, 세계적 로봇공학자 김주형 교수 초청 특강
  5. 고용노동부 천안지청, 산업단지 대상 '찾아가는 산업안전보건 설명회' 개최
  1. 아산시, 전국적 학령인구 감소에도 학교 신설 이어져
  2. '행복한 교실'로 가는 쉼표의 시간..교직원 '다스림 명상' 연수 눈길
  3. 중진공대전본부-한남대 '대전 전략산업 창업 생태계 조성' 맞손
  4. 아산시, 청소년복지심의위원회 개최
  5. 아산시, 장마 대비 수문 관리교육 실시

헤드라인 뉴스


해수부 논란 행정수도특별법 연내처리로 결자해지 해야

해수부 논란 행정수도특별법 연내처리로 결자해지 해야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이전 추진으로 충청권에 파문이 일고 있는 가운데 행정수도특별법 연내 처리로 결자해지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해수부 논란으로 의구심이 불거진 정부 여당의 행정수도 완성 진정성을 스스로 입증하고 국가균형발전 백년대계 행정수도 법적 지위를 확고히 하기 위함이다. 더불어민주당 강준현 의원(세종을)은 20일 세종시당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세종시에 국회의사당과 대통령실을 완전 이전하는 내용을 담은 (가칭)행정수도특별법 발의를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법안은 진성준 국정기획위원회와 당 지도부 등 논의를 거쳐 이르면 이..

`해수부 이전` 논란...남 탓 공방전 뜨거운 여·야 정치권
'해수부 이전' 논란...남 탓 공방전 뜨거운 여·야 정치권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행정수도'의 미래를 놓고 의미 없는 '남 탓·네 탓' 공방을 벌이고 있다. 해양수산부의 부산시 이전을 놓고서다. 국힘은 과거 박근혜 전 정부 당시 이 카드를 먼저 꺼냈으나 성사시키지 못한 바 있고, 민주당은 이재명 정부 들어 다시 이 의제를 꺼내 들었다. 문제는 현재 논의가 단순히 해수부 이전에만 매몰되면서, 국가균형발전과 행정수도 대의에 다가서지 못하는 데 있다. 한쪽에선 '지역 이기주의', 또 다른 쪽에선 '내년 지방선거용 전략'이란 프레임을 씌우며 본질을 훼손하고 있다. 민주당 세종시당이 6월 20일..

충청권 건설 일자리 급감… 건설투자 줄고 폐업 증가 여파
충청권 건설 일자리 급감… 건설투자 줄고 폐업 증가 여파

건설경기가 외환위기 이후 최악의 불경기를 맞으면서 건설 일자리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충청권에서는 건설 투자가 줄고 폐업이 늘어나면서 지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22일 건설근로자공제회가 발표한 '지역별 건설산업 및 건설근로자 통계'에 따르면, 올해 3월 내 1일 이상 근로 내역이 있는 건설근로자는 64만 711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월보다 18.3% 줄어든 수치다. 충청권에서도 감소세가 꾸준했다. 대전의 경우 1만 6524명으로 1년 새 13.5% 줄었으며, 충남은 19.5% 줄어든 4만 5436명으로 집계됐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맛비에 잠긴 돌다리…‘물이 넘칠 때는 건너지 마세요’ 장맛비에 잠긴 돌다리…‘물이 넘칠 때는 건너지 마세요’

  • 코스피 3000 돌파…3년 6개월 만 코스피 3000 돌파…3년 6개월 만

  • `맹물` 짝퉁 화장품 유통시킨 일당 검거 '맹물' 짝퉁 화장품 유통시킨 일당 검거

  • 이른 장마 시작…차수막으로 대비 철저 이른 장마 시작…차수막으로 대비 철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