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읽기] 脫 샤이충청… 다음은

  • 정치/행정
  • 대전

[세상읽기] 脫 샤이충청… 다음은

강제일 정치행정부장(부국장)

  • 승인 2025-04-23 11:02
  • 수정 2025-04-23 15:25
  • 신문게재 2025-04-24 18면
  • 강제일 기자강제일 기자
clip20250423084937
8년 전 2017년엔 올해처럼 조기 대선이 있었다. 최순실 국정농단을 불러온 박근혜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생긴 무대였다.

당시 민주당 경선링엔 충청 출신 안희정 전 충남지사가 있었다.

그는 한때 문재인 전 대통령 지지율을 턱 밑까지 추격하며 골든크로스를 꿈꾸기도 했다.

하지만, 안 전 지사(21.5%)는 결국 문 전 대통령(57%) 벽을 넘지 못했다.



그래도 당시 그의 선전으로 충청 정치는 여의도에서 외연 확장 가능성을 봤다.

아쉬운 점도 없진 않다. 충청대망론에 대한 안 전 지사의 발언이다. 그는 "지도자를 지역에 가둬놓는 어법"이라고 해석했다.

충청대망론이 대통령 배출을 갈망하는 지역 정서의 총체라는 점을 감안하면 두고두고 아쉬운 대목이다.

비단 안 전 지사뿐만 아니다. 비슷한 시기 충청 출신 대권 주자로 거론됐던 모 인사도 충청대망론을 같은 시각으로 대했다.

그와 사석(私席)에서 만난 적 있는데 "충청 출신임을 강조하면 대선에서 이길 수 없다"고 했다.

2017년, 충청 정치인들에게 고향은 적어도 '비빌언덕'은 아니었나 보다.

영호남 도움 없이는 용꿈을 꿀 수 없어서 일까? 지나친 패배주의 아닌가? 그때 가졌던 생각은 지금도 뇌리 속에 또렷하다.

올해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또 조기대선이 열렸다. 8년 전과 같은 것은 대선링에 충청의 깃발이 나부낀다는 것이다.

더불어민주당엔 김동연 경기지사(음성)가 있다. 앞서 국민의힘 이장우 대전시장(청양)과 김태흠 충남지사(보령)도 등판을 저울질했다.

8년 전과 다른 점도 있다. '샤이충청'이 사라진 것이다.

김동연 지사는 경선에서 충청의 아들임을 강조한다. 이 시장도 홀대론 타파를 주장했다.

이런 변화는 어디서 왔을까. 충청의 커진 체급과 무관하지 않다.

일단 유권자가 늘었다. 올 3월 기준 대전·세종·충남·충북 유권자는 476만 5702명이다. 3년 전 20대 대선 때(468만 2246명)와 비교해 8만 3456명 늘었다.

세종시 행정수도 이슈는 연일 대선 정국을 흔들고 있다. 민주당 3명의 후보는 각론에선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통령실과 국회 세종완전 이전을 주장하고 있다.

국민의힘 권영세 비대위원장도 국회이전 등 '세종시대'를 외치고 있다.

물론 선거 때만 나오는 선심성 공약이라는 비판도 있다. 그러나 분명한 건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성장엔진으로 충청이 우뚝서고 있다는 점이다.

정치인들이 충청을 대하는 인식도 180도 바뀌었다.

8년 전 지역 잠룡들이 고향을 숨기는 데 급급했다면 이제는 충청을 기반으로 정치적 자양분을 얻으려 하고 있다.

고무적인 일이나 과제는 여전하다. 그동안 정권을 번갈아 가며 차지했던 영호남과 같은 응집력을 키우는 것이 시급하다.

영남의 '우리가 남이가', 호남의 '우덜끼리' 문화는 지역주의 범주로만 해석할 게 아니다.

지역에 대한 자부심과 애향심이 기저에 깔린 것으로 보는 게 타당하다.

앞으로는 지역 인사끼리 밀어주고 끌어주는 '충청 품앗이' 문화를 확산해 보면 어떨까.

정치의 영역도 이에 당연히 포함돼야 할 것이다.

충청대망론은 곁불을 쬐기보다는 스스로 주인이 되려는 DNA로 무장할 때 가까워 질 것이다.

/강제일 정치행정부장(부국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경쟁 입찰 조회수 부풀리기 의혹 제기도
  2. [대전다문화] 열대과일의 나라 태국에서 보내는 여름휴가 ? 두리안을 즐기기 전 알아야 할 주의사항
  3.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4. [대전다문화] 세계 일회용 비닐봉투 없는 날
  5. [대전다문화] 7월 17일 '제헌절', 대한민국 헌법이 태어난 날입니다
  1. 한국영상대 학생들, 웹툰·웹소설 마케팅 현장에 뛰어들다
  2. 중·고등학생 수행평가 2학기부턴 진짜 학교에서만 "본래 목적 집중"
  3. [대전다문화] 대전시 가족센터·다문화가족지원센터 7월 프로그램 안내
  4.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5. 더 길어진 여름에…지난해 열대야 발생일수 역대 1위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대통령, 4일 취임 후 첫 대전 방문 ‘타운홀미팅’

이재명 대통령, 4일 취임 후 첫 대전 방문 ‘타운홀미팅’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취임 후 처음으로 대전을 방문한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대전 유성구 도룡동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국민소통 행보 2탄, 충청의 마음을 듣다’를 주제로 타운홀 미팅 시간을 갖는다. 국민의 현장 목소리를 듣고 자유롭게 토론과 질문을 하는 자리로, 불황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비롯해 과학기술인 등 3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미팅은 사전에 참석자를 선정하는 관행에서 벗어나 전날인 3일 오후 2시 대통령실 홈페이지를 통해 행사 일정을 공개하고 행사 당일 현장에서 선착순으로 300여 명을 참석시킨..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요즘 대전에서, 아니 대한민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초등생이 있다. 청아하고 구성진 트로트 메들리로 대중의 귀를 사로잡고 있는 대전의 트로트 신동 김태웅(10·대전 석교초 4) 군이다. 김 군이 대중에게 얼굴을 알린 건 2년 전 'KBS 전국노래자랑 대전 동구 편'에 출연하면서부터다. 당시 김 군은 '님이어'라는 노래로 인기상을 받으며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공중파 TV를 통해 강렬한 인상을 남긴 김 군은 이후 케이블 예능 프로 '신동 가요제'에 출연해 화제를 모았다. 김 군은 이 무대에서 '엄마꽃'이라는 노래를 애절하게 불러 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 도심 열기 식히는 살수차 도심 열기 식히는 살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