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
23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집계된 2023학년도 학업중단 고교생은 789명에 달한다. 2019년 747명이었던 학업중단 학생 수는 코로나 영향으로 2020년 506명, 2021년 620명으로 잠시 줄었다가 2022년 757명으로 다시 늘어나는 추세다.
전체 고교생 대비 학업 중단율도 증가세를 보였다. 2019년 1.66%, 2020년 1.19%, 2021년 1.52%, 2022년 1.93%로 증가하다 2023년엔 2% 선을 넘어 2.02%를 기록했다. 이에 반해 의무교육인 초·중학교 학생은 5년간 0%대에 그쳐 학교급별 차이를 보였다.
대전교육청에 접수된 학생들의 학업 중단 사유는 유예(학력 미인정 대안교육기관 등), 면제(해외출국 등), 자퇴(질병, 부적응, 검정고시 등), 퇴학(학교폭력 등 품행), 제적 등으로 분류돼 있다. 고교생의 경우 유예나 퇴학보다 자퇴가 압도적으로 많았는데, 2023년 전체 고교생 3만 9000명 중 자퇴자는 775명에 달했다. 자퇴자는 코로나 기간을 제외하곤 매년 꾸준히 700명대를 기록하고 있다. 학교폭력 등 품행 문제로 퇴학당한 학생은 2019년 17명, 2020년 5명, 2021년 14명, 2022년 9명, 2023년 8명이다. 다만 초·중학생의 해외출국 등 학업중단 사유는 자퇴가 아닌 면제로 분류된다.
고교생의 학업 중단은 과열된 입시 경쟁과 이로 인한 심리 정서적 문제가 원인이 됐다는 분석도 있다.
강영미 참교육학부모회 대전지부장은 "한국 교육 시스템이 입시에 매몰돼 있다 보니 학생들이 학교 교육보단 대입에 유리한 전략을 위해 학교를 떠나는 분위기"라며 "경쟁에 내몰린 아이들이 소외감을 느끼며 학교폭력, 부적응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기에 우선 입시제도 개편부터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대전교육청은 이런 상황을 감안해 다양한 학업중단 예방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지역 학생들의 학업 지속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우선 자퇴를 고민하는 학생에게 최소 2주에서 최대 7주까지 숙려 기간을 주는 학업중단 숙려제(무지개이음)를 운영하고 있다. 장기 미인정 결석 기준인 연속 7일 이상, 누적 30일 이상 결석학생 중 학업중단 위기학생이 대상이다. 이 기간 학교는 심리 상담, 진로 탐색, 대안 교육 등을 제공해 학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돕는다. 또 대전지역 33개 학교에서 학교생활 적응을 돕는 학교 내 대안교실(무지개교실)을 운영 중이며, 학업중단예방 지원학교 4곳을 선정해 지원하고 있다.
교육청은 앞서 22~23일 업무 담당교사의 현장적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초·중·고 310개교를 대상으로 2025학년도 학업중단예방 업무담당자 연수'를 실시한 바 있다.
대전교육청 미래생활교육과 관계자는 "초·중학생보단 고교생의 학업중단율이 높다 보니 고학년을 중심으로 학업중단 예방학교 등이 운영되고 있다"며 "앞으로 지원 학교나 예산을 더욱 확대해 위기학생을 조기에 발견하고 실질적 지원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은지 기자 lalaej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