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관기관대책회의<제공=경남도> |
회의는 박명균 도 행정부지사 주재로 진행됐으며, 경찰·군·교육청 등 13개 유관기관이 참석해 부처별 대응계획을 공유했다.
기상청의 여름철 강우 전망, 각 기관의 관리시설 점검 계획, 통신·교통 분야의 긴급대응 체계 등 형식상은 빈틈이 없어 보였다.
하지만 국지성 호우의 증가와 기후위기 속에서, 실제 현장의 취약성은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
도는 위험지역 통제, 주민 대피계획, 합동 근무체계 구축, 모의훈련 실시 등을 약속했지만, 대부분의 조치는 매년 반복된 내용이다.
실제 지난 해 도내에서만 10여 건 이상의 급류사고, 침수피해가 발생했으며, 일부 지역에선 위험지구가 수년째 그대로 방치된 사례도 지적됐다.
이번 회의에서도 구체적인 실행 일정이나 점검 결과 공개는 제한적이었다.
실효성 있는 정책보다 문서와 구호 중심 대응으로 흐를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기상 악화는 예고 없이 찾아온다.
대응은 속도가 아니라 구조의 문제라는 점에서, 도민은 '얼마나 준비됐는가'보다 '이번엔 다를 수 있는가'를 묻고 있다.
경남=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