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해 죽방렴, FAO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도전<제공=남해군> |
FAO 실사단은 5월 12일 지족해협을 방문해 전통 어업 방식 '죽방렴'과 지역 농어업 생계 시스템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죽방렴은 조류가 빠른 해역에 대나무로 어살을 설치해 멸치 등을 포획하는 방식으로, 500년 이상 전승된 전통 어법이다.
생태계를 해치지 않고 어획물의 품질을 지키는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평가받아, 현재까지 명승·국가중요어업유산·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돼 있다.
남해 지족해협 일대는 죽방렴을 중심으로 농업과 어업이 연결된 복합 생계 모델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유자, 마늘, 시금치 등 지역 특산물과 병행한 자급적 생계 구조는 FAO 등재 기준의 핵심 요소다.
실사단은 죽방렴의 구조, 어업 활동, 농업 연계 체계, 주민 인터뷰 등을 현장에서 직접 검토할 계획이다.
남해군은 이번 실사가 전통 지식의 세계적 가치 입증은 물론, 지역 경제와 생태 보전 측면에서도 의미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유산 지정만으로 전통이 보호되는 것은 아니라는 시각도 존재한다.
관광화 이후 상업적 왜곡, 실질적 어업 인구 감소 등 등재 이후 관리 방안이 부실할 경우 되려 전통이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또한 현장 중심의 공동체 지속성 확보, 교육·계승 체계 구축 등 구체적 후속 정책이 마련돼야 유산의 실효성이 유지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지금 필요한 건 등재가 아니라, 살아 있는 전통을 지킬 구체적인 내일이다.
남해=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