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제4대 왕, 세종대왕(이도, 李?)은 1397년 5월 15일에 태어났습니다. 세종대왕은 '훈민정음', 즉 한글을 창제해 누구나 쉽게 배우고 쓸 수 있는 문자체계를 만들어 배포한 위대한 군주였습니다. 단지 문자를 만든 것뿐만이 아니라, 글을 통해 백성을 가르치고 백성의 삶을 바꾸고자 한 세종대왕의 정신은 오늘날까지도 우리에게 깊은 울림을 줍니다.
▲왜 세종대왕 탄신일이 스승의 날이 되었을까?
스승의 날은 1963년 5월 26일에 청소년 적십자(RCY) 단원들이 병석에 계신 은사를 찾아뵈었던 것에서 시작되었습니다.
1965년부터는 세종대왕의 탄생일인 5월 15일로 변경되었는데,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고 교육의 중요성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실천한 군주였기 때문입니다. 세종대왕은 단순히 조선의 왕이 아닌, 민족의 스승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세종대왕의 탄생일인 5월 15일은 스승에 대한 감사와 함께 교육의 본질과 가치를 되새기는 날이 되었습니다.
▲한글, 단순한 문자가 아닌 사랑의 표현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이고 창의적인 문자로 평가받는 한글.
한글은 읽고 쓰기 위한 도구를 넘어 모두가 평등하게 지식을 누릴 수 있도록 만든 포용의 상징이자 사람을 위한 마음의 표현입니다. 읽고 쓰는 자유를 모든 백성에게 선물하고자 한 세종대왕의 뜻은 오늘날에도 살아 숨쉬고 있습니다.
우리는 매년 스승의 날을 통해 세종대왕의 위대한 업적을 기리고, 모두가 누리고 있는 한글과 교육의 소중함을 다시금 마음에 새길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세종대왕이 품었던 백성을 향한 따뜻한 마음과 배움의 정신이 지금의 우리가 서로를 가르치고 배우는 모든 순간 속에 살아있기를 바랍니다.
전이경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