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19일 지역 인터넷 커뮤니티에 올라온 A학교 운영위 호소문 (사진=인터넷 커뮤니티 갈무리) |
조리원 처우 개선을 둘러싼 노사 갈등으로 일부 고교와 중학교에서 급식이 중단된 데 이어, 개학을 일주일 앞둔 초등학교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20일 중도일보 취재결과, 대전 중구의 A 초등학교 학교운영위원회는 전날인 19일 학교 급식 조리원 관련 문제를 두고 긴급 대책 회의를 연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운영위가 학부모, 지역주민에게 밝힌 호소문에 따르면, 조리원들의 요구를 수용할 경우 밀키트, 반조리 위주의 급식 제공으로 인한 영양 불균형, 급식의 질이 떨어질 것을 우려한 것으로 파악됐다.
9월 1일부터 2학기가 시작하기 때문에 A 초등학교 운영위는 조만간 학부모들과 대책위원회를 꾸려 입장을 밝히고 부실 급식 제공을 막겠다는 계획이다. A 학교의 조리원 노조 측은 학교에 "교직원에게 제공되는 국그릇 사용 제한만 요구했다"라며 밀키트를 사용하지 않을 것이고, 급식의 질도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최근 A 학교의 급식 조리원은 9명에서 11명으로 2명 더 늘었다. 학생 수가 500명대였던 A 학교는 최근 주변 아파트 단지 증가로 850명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부설 유치원생까지 포함하면 조리원들은 1000명이 먹을 급식을 조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문제는 올해 초부터 학교 급식을 두고 곳곳에서 노사 갈등이 벌어지면서 학교의 주체인 학생과 학부모만 피해를 보고 있다는 점이다.
앞서 타 학교에서 반찬 3종 이상 배식과 교직원 냉면·국그릇 사용 제한, 복잡한 조리 메뉴 폐지 등 요구를 위한 학교 비정규직 노조(학비 노조) 준법투쟁에 급식 파업이 불거진 바 있다. 일부 고등학교는 석식 제공이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고, 한 중학교는 잘린 미역 등 이미 소분 된 재료를 사용하고, 포도 제공 횟수를 제한하는 것으로 일단락됐다.
연이은 문제에 일선 학교마다 불안감이 커지고 있지만, 교육당국과 관련 노조와의 협상은 지연되고 있다. 대전교육청은 지난 5월부터 학비 노조와 처우 개선을 두고 직종교섭에 나서고 있지만, 큰 문제가 되는 조리원과의 협상은 여전히 진행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나마 올해 2학기부터 노조 요구사항을 반영해 조리원 대체인력 12명이 채용됐고 휴가, 병가 등으로 긴급한 인력이 필요한 학교에 대체 조리원 투입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학비 노조 측이 요구하는 식수 인원 개선, 조리 공정 간소화에 대해선 협상이 필요한 상황이다. 대전교육청 관계자는 "학령인구가 감소하고 있어 자칫 인원 과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조리 공정 간소화도 학생 영양 불균형을 우려하는 학부모가 많다"라며 "그동안 학비 노조에서 타 직종 처우 먼저 교섭하자고 해 순차적으로 진행해왔는데, 조만간 조리원 직종 처우 개선 문제도 협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