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다문화] 말이 달라도, 마음은 전할 수 있습니다

  • 다문화신문
  • 대전

[대전다문화] 말이 달라도, 마음은 전할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정 부부를 위한 따뜻한 표현의 힘

  • 승인 2025-05-14 16:39
  • 신문게재 2025-05-15 7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전문가기고_증명사진(송인진)
송인진 그림마당상담센터 대표
"같이 살면서도, 마음이 잘 안 통할 때가 많아요."

다문화가정 부부상담을 하다 보면 자주 듣는 이야기입니다. 사랑으로 가정을 이루었지만, 언어와 문화가 다르다 보니 작은 말 한마디에도 쉽게 오해가 생깁니다.



이주여성은 "제가 한국말이 서툴러서 남편이 화를 내요."라고 하고, 남편은 "그렇게까지 서운해할 줄은 몰랐어요."라고 말합니다. 서로의 방식이 다를뿐이지만, 그 다름을 이해하지 못하면 말보다 마음이 더 먼저 멀어지기도 합니다.



특히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이나 갈등을 해결하는 방식이 다르면 상대방의 말이 낯설고 차갑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꼭 유창한 표현이 아니어도 괜찮습니다. 짧고 간단한 말 한마디만으로도 따뜻한 마음을 전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실제 상담 현장에서 부부들에게 권하는 말들입니다. 말이 서툰 이주여성도, 감정 표현이 익숙하지 않은 남편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문장들입니다.

- "오늘 힘들었죠? 얼굴이 피곤해 보여요."

- "그 말 듣고 조금 슬펐어요."

- "고마워요. 내가 많이 도움받았어요."

- "우리 이야기해요. 마음을 풀고 싶어요."

- "괜찮아요. 내가 옆에 있어요."

이 표현들은 짧지만, 충분히 마음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감정을 비난 없이 표현하는 연습은 오해를 줄이고 갈등을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부부 사이의 따뜻한 말은 자녀에게도 큰 영향을 줍니다. 아이들은 부모의 대화를 통해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고, 사람을 대하는 태도를 자연스럽게 익히게 됩니다. 반대로, 부모가 자주 다투거나 말없이 참는 모습을 보게 되면 아이도 감정을 억누르거나 다른사람에게 공격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부부의 말은 곧 자녀에게 '감정의 언어'를 가르치는 교과서입니다. 따뜻한 말 한마디가 가족 전체의 정서를 바꿀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정에서의 '다름'은 어쩌면 당연한 일입니다. 그 차이를 갈등이 아닌 '배움의 기회'로 받아들인다면 부부 사이의 이해와 연결은 더욱 깊어질 수 있습니다.

"고마워요.", "미안해요.", "괜찮아요?"

이 세 마디만으로도 우리는 서로를 이어줄 수 있습니다. 그 따뜻한 말 한마디가, 부부를 더 가깝게 만들고 아이에게는 세상을 따뜻하게 살아가는 법을 알려줄 것입니다. <송인진 그림마당상담센터 대표>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1.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2.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3.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4.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5. (사)한국청소년육성연맹, 관저종합사회복지관에 후원물품 전달식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