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원산업혁신파크 조감도<제공=창원시> |
창원시는 '초일류 제조혁신 생태계 구축'과 '미래 50년 신성장동력 창출'을 양대 핵심 과제로 설정하고 총 9개 전략사업을 국정과제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우선, 방위산업과 원자력산업을 아우르는 '방위·원자력 융합 국가산업단지' 조성이 핵심 중 하나다.
창원시 의창구 일원에 1조4200억 원을 투입해 조성되는 이 산업단지는 GB 국가전략사업 재심의를 앞두고 있다.
국가 산업 안보 기반 강화와 미래 에너지 생태계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첨단 복합 빔 조사시설' 구축을 통해 소재 결함을 비파괴 방식으로 탐지할 수 있는 고도화된 품질관리 기술 기반 마련에 나선다.
여기에 더해, 원전 기기 제조 중심지로서의 특성을 살려 'SMR 산업 육성'과 연계한 에너지 산업 전략도 함께 추진된다.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겨냥한 '산단혁신파크 대전환'과 '방산부품연구원 설립'도 포함돼 제조 생태계의 체질 개선이 목표다.
방산부품연구원은 국산화와 성능 시험, 제도 개선까지 지원하는 전담 기관으로 기능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 같은 계획들이 구체적 실행단계에 이르기까지는 적잖은 과제가 남아 있다.
국가산단 조성은 GB 해제와 재심의 통과 등 행정적 관문이 높고, 방산부품연구원이나 빔 조사시설은 운영 주체와 예산 확보, 수요 연계 방안이 불투명한 상태다.
한편, AI 기반의 '자율 제조 전담센터', '드론 제조 국산화 특화단지', '디지털 마산자유무역지역', '첨단소재 실증연구단지' 등 4개 신성장 산업 계획도 함께 추진 중이다.
이들 사업은 기계·방산 중심 산업을 데이터 기반 전략 산업으로 확장하려는 시도다.
특히, 마산 자유무역지역의 디지털 전환은 낙후된 지역의 체질 개선을 노리는 시도로 평가되지만, 실제 기업 유치와 자생력 확보에는 여전히 높은 장벽이 존재한다.
드론 특화단지나 AI 제조 지원센터 역시 단지 조성보다 내실 있는 운영 설계와 지속 가능한 공급망 확보가 먼저 선결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장금용 창원시장 권한대행은 "기술패권 경쟁 속에 창원산업의 경쟁력 확보는 곧 국가 산업 안보를 위한 일"이라며, 국정과제 반영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기계는 정밀하지만, 전략은 정교해야 한다.
창원이 그리는 미래산업 지도가 말뿐 아닌 구조로 완성되기 위해선, 비전보다 실행의 밀도가 먼저 채워져야 한다.
창원=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