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원시, 도시공공개발국 현안사업 점검 회의 개최<제공=창원시> |
조명래 제2부시장 주재로 열린 이번 회의는 공공시설사업의 체계 정비와 도시개발계획 이행을 점검하는 자리였다.
이날 회의에서는 ▲대형 사업 설계 ▲생활밀착형 시설공사 ▲균형발전 도시개발사업 ▲공공시설 추진체계 개선 등 4개 분야 사업들이 부서별 보고를 통해 공유됐다.
특히 내서도서관·창원시립미술관·마산회원소방서 등 설계단계 대형 사업과 진해문화센터, 농업기술센터 통합청사 등 공정관리 중인 사업들이 중점 점검 대상이 됐다.
생활 밀착형 체육시설과 복지시설 공사의 추진 상황, 상복공원 봉안당 건립 등도 보고됐으며, 창원자족형복합행정타운 조성과 창원국가산단 확장 등 도시개발사업도 균형발전의 핵심 축으로 점검됐다.
시는 이와 함께 공공시설사업 추진 매뉴얼을 최신화하고, 5월 중 생활시설 수요조사와 하반기 공공사업 계획 수립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우기(6월)를 앞두고는 주요 공사 현장에 대한 선제적 안전점검도 병행할 계획이다.
그러나 회의에서 공유된 상당수 현안은 기존에 수차례 반복적으로 보고되어온 사업들이고, 일정 변경이나 차질 원인에 대한 구체적 분석보다는 '차질 없이 추진 중'이라는 표현이 다수를 차지해 실질 점검으로서의 밀도는 떨어졌다는 지적도 있다.
시설 중심의 정량적 관리에 치우친 행정 패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실사용자에 대한 수요 분석이나 시설 이후의 운영 유지 전략이 빠져 있다는 점도 공공개발사업의 한계로 꼽힌다.
복합행정타운, 자족형 산단 등의 사업도 '준공 일정' 위주로만 보고되고 있어, 입주 기관 간 기능 조율이나 시민 접근성 검토 등 실제 활용 단계의 사전 검토가 부족하다는 비판이 따른다.
창원시가 마련한 '공공시설사업 표준가이드'도 행정 효율 측면에서는 유용하지만, 단일화된 기준 적용이 오히려 현장별 특수성과 돌발 변수에 대한 유연한 대응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기획은 종이에서 시작되지만, 신뢰는 현장에서 완성된다.
계획이 아닌 체감으로 증명하는 행정, 창원이 그 시험대 위에 올라 있다.
창원=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