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 칼럼] 먹는다는 것의 의미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 칼럼] 먹는다는 것의 의미

김홍진 한남대 교수/문학평론가

  • 승인 2025-05-21 17:04
  • 신문게재 2025-05-22 19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2025040901000785700030931
김홍진 교수.
마당 한 귀퉁이 다 찌그러진 양푼이나 이 빠진 사기그릇에 먹다 남은 밥과 반찬 찌꺼기를 대충 뒤섞어 던져주던 게 개밥의 원형이다. 개밥은 개의 먹이라는 의미 외에 짬밥과 함께 질낮은 형편없는 음식을 비하할 때 쓰는 비유다. 하지만 이제는 개의 급격한 신분 상승으로 개밥은 맛과 영양은 물론 씹을 때 경쾌한 소리까지 세심히 배려한 균형 식품으로 제공된다. 항간에 조폭이 근육 단련을 위해 개 사료를 먹는다는 우스갯말은 개와 개밥의 위상 변화를 환기한다.

세계 인구 11%에 해당하는 약 7억 명 이상이 절대 기아에 허덕이는 상황을 감안하면 개팔자 상팔자다. 프랑스의 미식가 브리야사바랭은 〈미식 예찬〉에서 "짐승은 먹이를 먹고, 인간은 음식을 먹는다"고 말했지만, 일본의 헨미 요는 〈먹는 인간〉에서 "사람도 가끔 짐승과 똑같이 먹이를 먹는다"고 말한다. 어떤 이들, 비록 살아 있다고는 하나 정상에서 배제된 열외인간 '호모 사케르'(조르주 아감벤, 〈호모 사케르〉)의 벌거벗은 생명들에게는 먹는 게 생존을 위한 절박한 사투이기 때문이다.

각종 매체를 통해 쏟아져 나오는 산해진미의 맛 기행, 팔자 좋은 호사가의 미식과 포만은 가난과 기아, 분쟁과 배고픔이 없는 행복한 풍요를 구가한다. 이런 풍요로움을 만끽하는 다른 맥락에서 악취가 진동하는 음식, 그야말로 개밥만도 못한 음식을 먹을 수밖에 없는 비참을 찾아 나선 기행이 〈먹는 인간〉이다. 이 르포르타주는 미식과 포만, 음식이 가진 문화인류학적 상징을 탐구하는 것과는 거리가 먼 매우 예외적인 슬픈 맛 기행이다. 오직 생존을 위해 썩은 악취로 구토를 유발하는 개밥만도 못한 음식과 종교 윤리적으로 금지한 대상을 요리해 먹을 수밖에 없는 극한의 굶주림에 집중한다. 인간의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

헨미 요는 세계 곳곳에서 기아에 허덕일 수밖에 없는 상황의 정치, 사회, 역사적 맥락을 탐구하며, 넘치는 미식과 풍요의 세기에 사람들은 얼마나 못 먹을까? 분쟁은 또 먹는 본능을 어떻게 짓누를까? 따위를 사유한다. 그가 만난 사람들은 개보다도 못한 밥을 먹는다. 방글라데시 수도 다카, 선향(線香) 냄새 진동하는 뒷골목 포장마차 쟁반에 볶음밥 브리야니와 닭고기 등등이 쌓여 있다. 구토를 유발하는 이 역겨운 음식들은 부자들이 먹고 버린 찌꺼기로 만든 것이다. 필리핀 민다나오 섬 키탄그라드 산속 동료와 산 아래 주민을 잡아 인육을 먹은 일본군 패잔병, 내전이 한창인 유고 자그레브에서 돼지고기를 게걸스럽게 먹어 치우는 이슬람교도 등등…. 이쯤에서 음식이 지닌 신성성과 인간 존엄성은 무참하게 무너진다.



브리야니, 식인, 돼지고기 등등은 음식이 지닌 상징적 가치의 파괴라는 동일 지정의 의미다. 서로 다를 게 없는 의미를 내포한다. 헨미 요와 마찬가지로 먹는다는 행위의 정치, 사회, 역사적 의미와 인간 생존 본능을 가장 잘 표현한 이야기는 아무래도 제리코의 그림 〈메두사호의 뗏목〉이 으뜸일 것이다. 앙가주망의 효시라 해도 무방할 이 그림은 사람이 사람을 잡아먹게 만드는 부패한 정치권력의 무능과 탐욕이 빚은 참상의 비극을 그리기 때문이다. 헨미 요의 이르포르타주는 마치 제리코의 그림을 알몸의 언어로 풀어낸 것과 진배없다.

음식은 다른 생명의 죽음으로 이룩한 것, 신성한 상징이다. 인간만이 음식에 생존이나 영양을 초월한 상징 가치를 부여한다. 그런 까닭에 음식의 신성함과 인간 존엄성은 비례한다. 이 등가 관계의 파괴는 대개 정치 사회적이라는 사실을 헨미 요는 말하고 싶은 것이다. 첨언하면 마들렌 한 조각을 홍차에 담아 입술에 가져갔을 때, 어릴 적 맛과 향으로부터 '나'였던 본래의 '나'를 다시 찾는 프루스트와 미식가 브리야사바랭을 무색하게 한다. 그럼에도 음식만큼 고통스러운 시간을 잊게 해주고 영혼에 위로가 되는 것도 없다.

김홍진 한남대 교수/문학평론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현상에 학생·교사 대피…경찰 조사 중
  2.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3. 2026년 지방선거 향하는 세종시 정치권...'시장 선거' 구도는
  4.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5. 광복 80주년 대전 시내버스 통해 '호국 영웅' 알린다
  1. 문화재 내부 공사인데도 '자체심의'…문화재 보존 사각지대 심각
  2. 대전 초등학생 11년 만에 순유입 전환… 유성·중구 전국 상위권
  3. 지역정책포럼 '이재명 정부 출범과 지역과제' 잡담회 개최
  4. 주말까지 비 예보…장마 시작에 침수 피해 지역 '불안'
  5.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헤드라인 뉴스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과학수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이 있는 경남 사천으로 이전하는 내용의 법안이 발의돼 파장이 일고 있다. 특히 충청권 국회의원들까지 공동 발의자로 참여하면서 공동 대응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국민의힘 서천호 국회의원(경남 사천·남해·하동)은 17일 우주항공청 소재지인 경남 사천시를 중심으로 우주항공분야 연구개발과 산업기능을 연계하기 위해 우주항공기술 연구개발 관련 기관인 항공우주연구원과 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 인근에 소재하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한 ‘우주항공청 설치·운영에 관한..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의 공동주택 노후화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도 주택 노후화가 심화되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7일 부동산R114가 정부 '공동주택관리 정보시스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전국 30년 초과 노후주택은 260만 6823채로 전체의 22%로 나타났다. 즉 전국 주택 4채 중 1채가 노후주택인 셈이다. 노후 주택은 2022년 135만 9826채(12%), 2023년 170만 5215채(15%), 2024년 219만 4122채(18%)로 꾸준히 늘..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충청권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지역민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피해구제 신청 중 환불 문제가 가장 많이 발생해 캠핑장을 예약하기 전 날씨와 환불 규정을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17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접수된 캠핑장 관련 피해구제 사건(327건) 중 환불 불만 사례가 246건으로 전체의 75.2%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경기·인천이 48.1%(157건)로 가장 많았고, 대전·세종·충청이 15.7%(51건), 강원 12.9%(42건), 부산·울산·경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 ‘내 한 수를 받아라’…노인 바둑·장기대회 ‘내 한 수를 받아라’…노인 바둑·장기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