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일종 국회의원 |
통일부는 지난 2018년부터 북한인권보고서를 발간해 왔으며, 지난해와 올해 초까지는 일반에 공개해왔다. 그러나 올해 보고서는 내부 참고용으로만 제작하고 공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북한인권보고서는 탈북민 증언을 바탕으로 북한 내 인권 침해 실태를 기록한 자료다.
통일부 관계자는 비공개 방침에 대해 "공개 비난 위주의 공세적·대결적 접근이 북한 주민 인권 개선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지 못했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성 위원장은 이날 성명을 통해 "정치적 목적의 특검을 통해 대북 드론작전, NLL 인근 헬기작전 등 극도로 민감한 군사기밀은 마구 흘려대면서, 정작 북한의 치부는 철통같이 비밀로 지켜주겠다고 선언한 것"이라고 직격했다.
성 위원장은 또 "이재명 대통령은 스스로를 인권 변호사라 소개했고, 문재인 전 대통령은 '사람이 먼저다'라며 인권 가치를 내세웠다. 그런데 헌법상 대한민국 국민인 북한 주민들의 인권은 왜 헌신짝 버리듯 하는가"라며 비판 수위를 높였다.
이어 "존엄한 가치가 존중받아야 하는 최소한의 기준조차 무시하는 것이 이재명 정부의 인권 기준이냐"며 "감상적·낭만적으로 평화를 외치는 짝사랑은 안보를 해치고 국민과 국가를 위태롭게 한다"고 지적했다.
성 위원장은 "통일부는 변화한 북한의 태도를 냉정히 되돌아봐야 한다"며 "북한 주민의 인권 문제를 가볍게 취급하는 태도는 남북관계에도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한편 성 위원장은 전날(20일) 기자회견에서도 "대한민국 대통령이라면 국격과 국민 자존심에 맞는 대북관을 갖추라"고 촉구하는 등 최근 연이어 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를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서산=임붕순·태안=김준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