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활등록제'에 발맞춰 청년 사업 선제적 추진<제공=고성군> |
정부는 2026년부터 보통교부세 산정 시 인구감소지역에 생활인구를 반영할 예정이다.
군은 '고성청년예술촌', '힐링 촌캉스', 'IT 워케이션 센터' 등 정주 환경을 유도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고성청년예술촌은 폐교된 삼산분교를 리모델링해 신진 작가를 유치하고, 체험형 예술공간으로 재탄생시켰다.
운동장에는 테마공원 조성을 계획 중이며, 관광과 예술을 결합한 장기 체류 공간으로 확장하고 있다.
힐링 촌캉스 사업은 농촌 빈집 4곳을 숙박 공간으로 바꿔 계절별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 187명이 참여했고, 올해도 4월까지 102명이 다녀가며 인기를 모으고 있다.
영산리에는 워케이션 센터가 마련돼 외부 직장인을 위한 공유오피스와 숙소가 동시에 운영 중이다.
B2B 기업을 중심으로 4박 5일 단위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축제와 관광지 연계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프로젝트는 모두 '거주 이전이 없는 체류'에 머물러 있어 생활인구 개념 정착에는 한계가 있다.
주소지 변경 없는 인구 유입은 재정 인센티브 기준과 충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도적 보완이 요구된다.
'사는 곳'보다 '사는 방식'이 중요해지는 시대다.
사람의 흐름은 바뀌었고, 행정의 단위도 바뀌어야 한다.
고성=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