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티이미지뱅크. |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4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2024년 4분기 전체 임금 근로 일자리는 2090만 2000개로 1년 전보다 15만 3000개 늘었다. 이는 분기별 통계가 집계된 2018년 이래 가장 적은 증가 폭이다. 임금 근로 일자리는 근로자가 점유한 '고용 위치'를 의미하며, 동일인이 두 개 이상의 일자리를 갖고 있으면 각각 집계된다.
산업별로 보면, 건설 불황과 부동산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건설업 일자리가 10만 9000개 감소했다. 부동산(-9000개), 정보통신(-6000개) 등 업종도 일자리가 줄었다. 반면, 보건·사회복지(14만개), 협회·개인 서비스(2만 9000개), 사업·임대(2만6000개) 등은 일자리가 늘었다. 제조업 일자리는 전년보다 9000개 늘었지만, 증가 폭은 전분기(2만1000개)보다 줄었다.
연령별로 보면 60대 이상 일자리가 24만 8000개 늘며 증가분 대부분을 차지했다. 30대(6만7000개)와 50대(7만개)도 일자리가 늘었다. 반면, 20대 이하는 14만 8000개, 40대는 8만4000개 일자리가 감소했다. 두 연령대 모두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전체 일자리 중 1년 전과 동일한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 일자리'는 1509만 6000개(72.2%)였다. 퇴직·이직으로 대체된 일자리는 336만 2000개(16.1%), 새로 생긴 신규 일자리는 244만4000개(11.7%)로 나타났다. 사업 축소 등으로 사라진 일자리는 229만 2000개였다.
통계청 관계자는 "건설 경기 불황으로 건설업 일자리가 큰 폭으로 감소했다"며 "20대와 40대는 인구 요인과 경기 요인이 겹치면서 일자리 감소세가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