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종근 교통건설국장<제공=창원시> |
파업에는 준공영제 운송사 9개사 669대가 참여하며, 마을버스 36대는 정상 운행될 예정이다.
시는 전세버스 170대와 시 소유 관용버스 10대를 확보해 주요 노선에 배치하고, 통근 시간대에 330대 규모 임차택시도 투입할 계획이다.
호출형 택시도 외곽지역 중심으로 가동된다.
요금은 택시 1000원, 버스는 무료다.
현장 혼란을 줄이기 위해 정류소에 안내요원 380명을 배치하고, 전방위 안내 체계도 구축한다.
시는 버스정보시스템과 SNS, 비상콜센터 등을 통해 실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대체 교통수단의 공급력은 여전히 한계가 명확하다.
총 669대 파업 차량에 비해 대체 수송력은 전세버스와 관용버스 포함 약 180대 수준으로 수송 공백을 메우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더불어 임차택시 운행 구간이 특정 시간대에 한정돼 있어, 비출퇴근 시간대의 이동 약자나 노선 외 지역 시민들은 대안이 마땅치 않다.
실제로 읍면 지역에 투입될 150대 호출형 택시 역시 수요 대비 배차 안정성이 담보되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현재 파업 장기화 가능성에 대한 준비는 '검토 중'이라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대응력 지속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운행 정보 안내 역시 고령층이나 디지털 취약계층에게는 실효성이 떨어질 수 있다.
창원시는 수송력 확보만큼이나 교통약자 중심의 보완책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장기적 대책 수립 없이 반복되는 응급 대응으로는 파업 때마다 반복되는 시민 불편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어렵다.
버스가 멈춘 도시에서 시민의 발은 아직까지 걷는 속도에 맡겨져 있다.
임시 수단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교통망이 필요한 이유다.
창원=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