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원시청 전경<제공=창원시> |
27일 시는 이번 자금이 실질적인 경영 회복과 재도약의 발판이 되기를 기대한다며 사업 개요를 발표했다.
지원 대상은 창원시에 사업자등록이 돼 있고, 경남신용보증재단의 보증부 대출을 상환 중인 소상공인 가운데 아래 요건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는 경우다.
기준은 ▲대표자 개인신용평점 839점 이하 ▲연소득 3500만 원 이하 ▲전년 대비 매출 5% 이상 감소 ▲신용등급 1구간 이상 하락 ▲최근 3개월 내 연체상환 이력 보유 등이다.
자금은 최대 5000만 원까지 가능하며, 1년간 연 2.5% 이자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분할상환 또는 일시 상환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신청은 6월 2일부터 경남신용보증재단 홈페이지를 통해 예약 후 지점 방문 상담을 거쳐 진행된다.
인터넷이 어려운 소상공인을 위해 전화상담 창구도 운영된다.
장금용 창원시장 권한대행은 "이중고를 겪는 자영업자들에게 전환점이 되길 바란다"며 "지속 가능한 상권을 위한 선별적 집중지원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창원시는 앞서 상반기에도 240억 원 규모의 자금을 535개 업체에 지원한 바 있다.
다만, 이런 자금이 실제 회복에 연결되기 위해선 지원의 정확도와 사후 모니터링 체계가 핵심이다.
대상 요건이 다양하긴 하나, 신청 방식과 심사 기준의 실질적 문턱이 어느 정도일지는 여전히 확인이 필요하다.
또한 저신용자에 대한 자금 공급이 새로운 채무부담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적절한 상환 설계와 재무 교육, 정책금융 연계 방안이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긴급 지원은 필요하지만, 소진성 자금으로 끝나선 안 된다.
이번 사업이 '희망'을 넘어서 '회복'으로 이어지려면, 수치보다 내용 중심의 행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창원=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