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6·3 대선, '소중한 선택' 외면하지 말자

  • 오피니언
  • 사설

[사설] 6·3 대선, '소중한 선택' 외면하지 말자

  • 승인 2025-06-01 13:39
  • 신문게재 2025-06-02 19면
유권자의 선택이 남았다. 민주주의 의식(儀式)이며 축연(祝宴)인 선거를 대하는 가장 좋고 유일한 방법은 참여하는 것이다. 충청권 4대 시·도(대전 33.88%, 세종 41.16%, 충남 32.38%, 충북 33.72%)와 전국(34.74%)의 21대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율은 20대 대선 당시에는 못 미쳤으나 역대 두 번째로 높았다. 정치적 요인과 지역적 염원, 주권의식이 겹치면 투표율 상승 요인은 얼마든지 있다. 아무리 못해도 2022년 대선의 77.1%보다 높게 나와야 한다.

어느 지역보다 전국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충청권이 높은 투표율로 화답해야 한다. 움츠러드는 경제를 살릴 후보, 특히 지역 입장에서는 수도권 집중을 해소하고 비수도권 발전을 견인할 대통령을 원한다. 국가균형발전의 틀 안에서 스러져가는 지방을 생각하는 시대정신이 절실하다. 빠르게 일어서는 것이 주목적이었던 불균형 성장 전략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

대선이 국가경영에 적합한 능력과 경륜, 자질을 가리는 행사임을 기억하자. 뒤집어보면 부적격 후보를 가려내 심판하는 행사란 뜻도 된다. 선명한 것은 '내란 종식'과 '반(反)이재명' 기치뿐이고 상대 흠집 내기가 마치 기본 전략처럼 보일 수도 있었다. 각 후보의 충청권 공약은 판박이에 가까울 만큼 차별성이 약한 측면을 보인 것 또한 사실이다. 실질적 로드맵을 내건 공약이 사라지고 정략이 춤춘 선거였다면 유권자의 눈은 더 예리해져야 한다. 충청권이 정치적인 조력자 아닌 주도자 역할을 감당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후보자들도 충청 표심을 일단 잡으면 그만이라는 단편적 시각은 버려야 할 것이다. 선거 자체가 유권자 의사 전체를 담기에는 한계가 분명하나 투표를 잘하면 정치발전이 가능하고 지역 발전을 앞당길 수도 있다. 국가 청사진으로 당당히 승부를 겨루는 '포지티브' 원칙이 안 지켜진 선거전이었지만 외면하지 않고 나라의 진짜 주인이 유권자임을 보여줄 때다. '민심 바로미터'로 꼽힌 충청 표심의 무게는 무겁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랭킹뉴스

  1. 대전 서구 괴정동서 20대 남성 전 연인 살해 후 도주
  2. [사설] 광역교통사업도 수도권 쏠림인가
  3. 과기계 숙원 'PBS' 드디어 폐지 수순… 연구자들 "족쇄 풀어줘 좋아"
  4. 등목으로 날리는 무더위
  5. 의대생 복귀 방침에, 지역 의대도 2학기 학사운영 일정 준비
  1. 이재명 정부 첫 '시·도지사 간담회'...이전 정부와 다를까
  2. 농식품부 '인공지능 융합 미래 식·의약 첨단바이오 포럼' 개최
  3. [대입+] 정원 감소한 의대 수시, 대응 전략은?
  4. '전교생 16명' 세종 연동중, 5-2생활권으로 옮긴다
  5. [춘하추동]폭염과 열대야, 지피지기면 백전불태

헤드라인 뉴스


이대통령 "지역균형발전, 성장위한 불가피한 생존전략"

이대통령 "지역균형발전, 성장위한 불가피한 생존전략"

이재명 대통령은 30일 "지역균형발전은 대한민국 성장을 위한 불가피한 생존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점검 TF 3차 회의에서 이같이 말했다. 대선 과정에서부터 강조한 5극(5개 초광역권) 3특(3개 특별자치도) 등 국가균형발전 국정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그러면서 "공정한 성장을 통해 대한민국 모든 문제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는 양극화를 완화해 나가겠다"며 갈수록 심각해 지는 수도권 1극체제 극복을 위한 노력할 것임을 시사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성장 전략..

"법 사각지대가 만든 비극"…대전 교제폭력 살인에 `방지 법 부재` 수면 위
"법 사각지대가 만든 비극"…대전 교제폭력 살인에 '방지 법 부재' 수면 위

대전 괴정동 전 연인 살해 사건으로 교제폭력 특별법 부재, 반의사불벌죄 문제가 또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사건 한 달 전 피해자가 가해 남성의 폭행에도 처벌을 원치 않았고 경찰의 안전조치 권유도 거절했으나, 그 기저에는 보복에 대한 두려움이 있었을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피해자 의사와 관계없이 가해자를 처벌하고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치가 시급하지만 관련 법 제정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30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대전 서구 괴정동의 주택가에서 A(20대)씨가 전 연인 B(30대·여성)씨를 살해한 혐의로 경찰에..

세종시 `상가 공실 해소` 칼 뺐다… 업종 확대 등 규제 완화
세종시 '상가 공실 해소' 칼 뺐다… 업종 확대 등 규제 완화

상가 공실로 몸살을 앓고 있는 세종시가 상가 허용 업종을 대폭 확대하고, 관광숙박시설 입점 조건을 완화한다. 지구단위계획 변경을 통해 상가 활성화를 저해하는 '족쇄'를 일부 풀겠다는 전략인데, 전국 최고 수준인 상가공실 문제가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중도일보 7월 5일 온라인 보도> 세종시는 행복도시 해제지역의 상가공실 해소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을 고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지구단위계획 변경은 상가의 허용업종 확대, 일반상업지역 내 관광숙박시설 입지 허용(총 8필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이동 노동자 위한 얼음물 및 폭염 예방 물품 나눔 이동 노동자 위한 얼음물 및 폭염 예방 물품 나눔

  • ‘대전 0시 축제 구경오세요’…대형 꿈돌이 ‘눈길’ ‘대전 0시 축제 구경오세요’…대형 꿈돌이 ‘눈길’

  • 물감을 푼 듯 녹색으로 변한 방동저수지 물감을 푼 듯 녹색으로 변한 방동저수지

  • 등목으로 날리는 무더위 등목으로 날리는 무더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