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고교학점제 안착, 지금 상태로는 어렵다

  • 오피니언
  • 사설

[사설] 고교학점제 안착, 지금 상태로는 어렵다

  • 승인 2025-06-10 17:10
  • 신문게재 2025-06-11 19면
이재명 정부 출범과 동시에 분출된 지역 교원단체들의 요구에는 고교학점제 폐지 주장이 상위 순번에 들어 있다. 2022년 도입 예정이던 정책이 3년 미뤄진 뒤, 시행 100일이 지나도록 준비 부족의 한계를 여실히 드러낸다. 현재 진행 과정으로는 고교학점제의 순기능과 좋은 취지를 조속한 시일 내에 살리기 힘들어 보인다. 부족한 교육 인프라나 입시 현실과 걸맞지 않아 학교 안팎의 혼란이 적지 않다.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맞춰 과목을 선택하고 학점을 취득하는 학생 선택권 제도 자체는 이상적이다. 그러나 설계가 부실했고 기본적인 철학마저 겉돈다. '문재인표' 대선 공약이던 이 제도는 내신과 수능의 절대평가가 전제돼야 맞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가 2028년 수능에서 9등급 상대평가 체제 유지로 전환했다. 수능과 고교학점제 간 정책 엇박자의 대표적인 예다. 진로를 너무 일찍 결정해야 하는 압박감 속에서 선행학습에 매달리는 모순적 상황은 해결해야 한다.

준비가 덜 되다 보니 지역별·학교별 교육 격차를 크게 벌린다는 점도 허점이다. 제도 안착을 위해 지역 교육청과 대학 등이 손잡는 건 당연히 할 일이다. 이 경우도 학교 밀집도가 낮고 지역사회 협력체제 구축이나 공통수업 진행이 힘에 부치는 농어촌 지역은 특히 문제다. 전반적으로 교사는 업무 부담, 학생은 수업 부담이 만만치 않다. 수능시험 범위가 아닌 교과의 선택권 딜레마는 어찌할 텐가. 장점인 진로와 적성은 뒷전인 채 사회적 합의 없이 급히 밀어붙인 결과를 고스란히 보고 있다.

이런 상태를 덮고 '안착'은 어렵다. 대입과 관련해서는 대학의 자유전공, 무전공 선발 확대 등 괴리와도 만난다. 이대로 가면 진로보다 입시에 맞춰 쉬운 과목을 택하는 경향은 더 또렷해진다. 당면한, 그리고 예견되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고 학생 성장과 미래를 위한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가지 않으면 안 된다. 학생 선택권 보장 및 맞춤형 교육은 고교학점제의 뼈대다. 취지와 달리 실험적 제도로 전락한 듯한 지금 상황이 안타깝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랭킹뉴스

  1. 3년간 대전서 송치된 뇌물죄 공무원만 8명…계약 비리는 관행?
  2. 농촌공간 정비사업 '금산군' 선정
  3. 천안검찰, 수의계약 허점 이용 100억원 편취한 혐의 등 일당 8명 기소
  4. 도민 화합의 축제 제 77회 '충남도민체육대회' 개막
  5. 김태흠 지사, 민선8기 4년차 시군 방문 돌입
  1. 세종시, '영화·드라마 촬영지' 잠재력 확인...남겨진 숙제는
  2. ‘고향에 선물 보내요’
  3. 대전권대학 '드론캠프·농구 교류전' 대전보건대서 열려
  4. 대전에서 잡(JOB)는 내일
  5. ‘선생님 저 충치 없죠?’

헤드라인 뉴스


이 대통령·경제단체장·재벌총수들, 경제 위기 극복 ‘한목소리’

이 대통령·경제단체장·재벌총수들, 경제 위기 극복 ‘한목소리’

이재명 대통령과 경제단체장, 재벌총수들이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민관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며 한목소리를 냈다. 1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6 경제단체와 기업인 간담회’에서다. 간담회에는 이재명 대통령을 비롯해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장,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SK그룹 회장), 류진 한국경제인협회장, 윤진식 한국무역협회장,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 최진식 한국중견기업연합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등이 참석했다. 안덕근 산자부 장관과 이형일 기재부..

내란특검 조은석·김건희특검 민중기·채상병특검 이명현 지명
내란특검 조은석·김건희특검 민중기·채상병특검 이명현 지명

이재명 대통령이 내란 특별검사로 조은석 전 감사원장 권한대행을, 김건희 특검은 민중기 전 서울중앙지법원장, 채상병 특검은 이명현 전 국방부 검찰단 고등검찰부장을 지명했다.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이 특검을 추천한 지 8시간이 안 된 12일 오후 11시 9분 전후에 지명을 완료하면서 3대 특검팀 출범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조은석 특검과 민중기 특검은 민주당이, 이명현 특검은 혁신당이 추천했다. 전남 장성 출생으로 광덕고와 고려대를 졸업한 조은석(65년생·사법연수원 19기) 특검은 박근혜 정부에서 대검찰청 형사부장과 청주지검장, 문..

코스닥 상승 견인하는 대전 상장기업…시총 63조 원 돌파
코스닥 상승 견인하는 대전 상장기업…시총 63조 원 돌파

국내 주식시장이 최근 상승세를 타면서 대전의 상장기업 시가총액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최근 3년간 지역의 상장기업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시총 규모도 63조 원을 돌파했다. 이는 충청권 상장기업 전체 시총의 절반에 육박한다. 대전에 본사를 둔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 신약개발 기업 인투셀이 지난달 23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면서 지역 상장기업 수는 66개로 늘었다. 2015년 설립한 인투셀은 리가켐바이오 공동 창업자 박태교 대표가 설립한 회사로, 창업 10년 만에 코스닥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했다. 인투셀은 상장 첫날 공모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내 한 수를 받아라’…노인 바둑·장기대회 ‘내 한 수를 받아라’…노인 바둑·장기대회

  • ‘선생님 저 충치 없죠?’ ‘선생님 저 충치 없죠?’

  • ‘고향에 선물 보내요’ ‘고향에 선물 보내요’

  • 대전에서 잡(JOB)는 내일 대전에서 잡(JOB)는 내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