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 기간 임에도 연일 계속되는 무더위에 온열질환 환자는 1년 전보다 20% 가까이 늘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5월 15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국 500여개 응급실을 찾은 온열질환자는 모두 470명으로,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는 3명이다. 충청권에서도 50여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환자 중 65세 이상 노인이 31.1%를 차지해 노년층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문제는 7월 들어서며 폭염이 더욱 기승을 부리고 있다는 점이다. 기상청은 올여름은 평년보다 무더위가 더 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높은 습도를 동반한 폭염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온열질환자도 크게 늘 것으로 보인다. 며칠째 폭염이 이어지면서 가축이 폐사하는 등 축산 농가 피해도 발생하고 있다. 최근 광주와 전남에서는 돼지와 닭 등 3만여 마리가 폭염으로 폐사해 2억8000여만원의 피해를 입었다.
스페인 등 유럽 국가들이 최근 40도를 넘는 폭염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기상 전문가들은 남의 나라 일로만 볼 수는 없다고 말한다. 기후변화로 인한 여름철 폭염과 기습 폭우는 생존과 안전을 위협하는 재난이 되고 있다. 마땅히 재난에 대비하는 수준으로 폭염 피해 예방에 나서야 한다. 정부와 지자체는 폭염에 취약한 노인층과 농축산 농가, 건설 등 산업 현장 근로자의 피해 방지를 위해 행정력을 모아야 한다. 철저한 예방만으로 폭염 피해는 막을 수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