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태흠 충남지사가 2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8기 정책자문위원회 정기회의에 참여해 도정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오현민 기자 |
김 지사는 2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8기 충청남도 정책자문위원회 2025년도 정기회의'에 참여해 도정 주요 현안 설명과 질의응답을 통해 정책 방향을 공유했다. 이날 회의엔 김태흠 지사를 비롯해 도 관계 공무원, 자문위원 등 150여 명이 참석했다.
김 지사는 정책자문위원들의 도정 질문에 대해 직접 답변하며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먼저 김 지사는 주 4.5일제 정책에 대해 묻는 질문에 "이재명 정부가 시행하는 주 4.5일제를 반대한다"며 "미래 중장기적으로 볼 때는 제조업으로 먹고 사는 우리나라의 근본적인 문제를 고민하고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주 52시간을 유연성 있게 가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노사 간 자율에 맡기는 형식을 갖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주 52시간 문제를 유지하고 그걸 기초로 시장에 따라, 각자 기업에 따라 다르게 적용돼야 하고 기관에서는 자율에 맡기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 |
김태흠 지사가 자문위원의 질문을 경청하고 있다. /사진=오현민 기자 |
충남형 풀케어는 만 36개월 미만의 자녀를 둔 공무원, 공공기관 직원은 주 4일 출근하는 제도로 현재 1500명가량 혜택을 받고 있다.
김 지사는 "국가에서 실효성 있는 저출생 문제를 해소하고 지방 정부에선 그걸 보완, 개선하는 역할을 맡아야 하는데 정부가 제대로 역할을 못하는 상황에 지방 정부까지 손 놓고 있으면 안 되겠다는 생각으로 추진했다"며 정책 추진 목적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민간 영역까지 확대하기 위해 인센티브 제공 등 준비 과정에 있다"고 덧붙였다.
마치 내로남불식의 발언으로 보이지만, 주4일 출근제는 어린 자녀를 둔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추진한다는 점에서 모든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부의 주 4.5일제와는 다르다.
김 지사는 현재 아이를 낳는 것이 대한민국의 숙제라며 그에 맞는 정책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도 다졌다.
그는 "타시도에서 시행하는 정책 중 괜찮은 부분이 있다면 다 받아서 하겠다"며 "아이들 키우는 부모들이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사회환경을 만들어 가는 것이 국정, 도정의 고민이고 그 부분들을 하나하나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제8기 정책자문위원회는 4월 2일 총 13개 분과 150명의 위원으로 구성해 공식 출범했으며, 2년간 도정 주요 현안에 대한 정책 제언 및 자문 역할을 한다. 도는 이번 정기회의를 통해 위원회가 단순 자문기구를 넘어 도정 동반자로서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정책 기여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소통·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내포=오현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