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산 대산 공단 전경 |
서산지역이 산업단지 기업체 유치를 통해 꾸준히 성장하고 있지만, MRO(Maintenance, Repair and Operation) 플랫폼 이용이 확산되면서 지역 소상공인들의 매출 하락이 심화 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여론이다.
장기적인 경기 침체 속에서도 서산지역에서 꾸준한 기업체 증가는 지역 경제 활성화로 이어져야 하지만,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MRO 플랫폼 이용이 늘면서 오히려 지역 상인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MRO는 기업 활동에 필수적이지만 생산에 직접 투입되지 않는 사무용품, 산업안전장비, 공구류 등 소모성 자재를 뜻한다.
2010년 서브원 설립을 시작으로 국내 MRO 시장은 본격적으로 형성되었으며, 행복나래, 나비엠알오, 엔투비, 아이마켓 등이 주요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초기에는 일정 규모 이상의 대기업 위주로 거래가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중소규모 제조업체, 유통업체, 공공기관 등으로도 활용이 확대되는 추세다.
플랫폼들은 거래 조건을 유연화하고 소규모 사업자를 위한 서비스와 가격 혜택을 강화하며 진입 장벽을 낮추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MRO 플랫폼 이용이 지역 경제와 단절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서산 지역의 주요 석유화학업체나 현대차 관련 기업들은 MRO 플랫폼을 통해 자재를 수급하고 있으며, MRO 업체들은 자재 수급을 주로 본사가 위치한 경기도나 서울에서 진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더욱이 일부 MRO 업체들이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영업을 강화하면서, 편리성을 이유로 소규모 업체들마저 MRO 플랫폼 이용을 선호하게 되어 지역 소상공인들과의 거래가 더욱 줄어들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체들의 구매 방식을 당장 바꾸기 어렵더라도, MRO 플랫폼 업체들이 지역 소상공인들로부터 자재를 구매할 수 있도록 연계하는 방안을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로 인해 서산지역 공단, 관공서, 기업체들이 함께 협력하여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해야만 지역 소상공인들이 살아나고, 이는 곧 서산시의 발전과 정주 인구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 관계자는 "과거 대기업 위주의 독점적 공급 구조가 문제가 됐던 시절과는 달리, 현재는 다양한 공급사가 참여하고 경쟁이 이루어지는 건강한 생태계로 변화하고 있다"고 설명했지만, 서산 지역의 경우 플랫폼 이용 확대가 지역 상생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산시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기업과 지역 상인 간의 상생 방안 모색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서산=임붕순 기자 ibs99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