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원형 대전을지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 |
이러한 증상이 있는 경우 대부분은 등을 구성하는 근육에서 발생한 만성 근근막통증증후군이 원인이며, 통증이 발생하는 근육의 종류에 따라 통증 부위와 증상이 다르다.
능형근은 등 뒤의 위쪽에 위치하며, 흉부 척추에서 날개뼈의 안쪽 경계로 이어지는 구조를 가진 등 근육이다. 이 근육은 날개뼈를 모으고 아래로 회전시키며 날개뼈를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능형근 근근막통증의 증상은 능형근이 날개뼈 안쪽에 붙는 경계를 따라 띠 모양의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손으로 살짝 눌러 근육을 촉지하면 단단한 띠가 날깨뼈의 안쪽을 따라서 만져지고 이를 누르면 통증이 느껴진다. 일차적으로 초음파를 통해 단단한 띠 부분에 통증유발점을 비활성화시키는 주사 요법을 시행한다. 간혹 바늘이 근육을 자극함과 동시에 근육이 튀는 현상이 관찰되기도 하며, 이러한 반응은 통증을 유발하는 근육에 바늘이 정확하게 위치했음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능형근의 근근막통증증후군이 만성으로 이어지면 통증과 더불어 등 부위에 열감을 호소하게 되는데, 만성 통증의 악순환 고리가 활성화돼 신경통으로 진행된 단계이다. 인체의 모든 부위에는 감각을 느끼고 각각 장기의 고유한 역할을 하기 위해 대부분 작은 말초신경이 분포한다. 만성 통증이 지속되면 작은 말초신경을 통해 통증이 척수로 전달되고, 척수로 전달된 통증 정보는 다시 뇌로 전달된다. 뇌는 말초에서 들어온 이러한 통증 정보에 상응하는 반응으로 교감신경이 활성화된다. 이 반응은 통증 부위의 혈관을 수축시켜 혈류 감소를 일으키고, 혈류가 감소하면 근육의 대사나 기능에 영향을 주어 통증을 악화시키게 되는데 이것을 '만성 통증의 악순환 고리'라 한다. 이러한 만성 통증의 악순환 현상에 의해 등의 열감이 생기게 되는데, 치료를 위해서는 교감신경블록을 위한 신경치료를 해야 한다. 신경치료는 흉부 척추에서 시행하며 매우 전문적인 수기를 요한다.
견갑하근은 양쪽 등 위쪽의 어깨 부분에 위치한 날개뼈에 붙어 있다. 팔을 어깨에 붙이는 4개의 근육 중 하나이며, 어깨관절을 안정시키고 팔을 안쪽으로 돌리는 역할을 한다. 이곳에 근근막통증증후군이 발생하면 어깨 뒤쪽의 등 부분에 통증이 오고 어깨에서 팔꿈치까지의 부분에 저린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간혹 팔을 수평으로 들어서 등 뒤로 회전시킬 경우 어깨 뒤쪽에 심한 통증을 유발해 어깨 가동범위를 제한시키기도 한다. 치료는 날개 뼈 뒤의 견갑하근을 손으로 눌러보면 역시 통증 유발 부위에 단단한 띠가 만져지며, 초음파 가이드 하에 단단한 띠를 비활성화시키는 근근막통증증후군 유발점 비활성화 치료를 시행한다. 재발 방지를 위해 견갑하근 스트레칭을 해야 하는데, 벽이나 문, 문틀을 이용하거나 수건 등을 사용하는 다양한 방법이 소개되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꾸준히 실시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광배근은 등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근육이다. 팔을 뒤로 당기고 안쪽으로 돌려 모으는 근육이며 어깨와 팔의 움직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광배근 안쪽으로 날개뼈를 흉부에 고정하고 팔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전거근이 있다. 광배근과 전거근에 근근막통증증후군이 발생하면 등에서 옆구리로 전달되는 통증이 발생하며, 숨을 쉴 때 매우 불편하다. 간혹 늑간신경통으로 오해되기도 하므로 정확한 촉진과 진찰을 통해 감별할 것을 권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