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순열 의원이 이날 연구모임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시의회 제공. |
이번 제3차 연구모임은 세종시의회 1층 대회의실에서 마련됐고, '청소년과 청소년정책, 지역사회(세종) 중심의 청소년시설과 활동'과 '반곡 청소년 자유공간 운영 현황'을 주제로 두 차례 발표가 이어졌다.
첫 번째 발표자인 유금봉 청소년 활동가는 Z세대 청소년들이 겪는 불안감과 디지털 기반의 소통 방식, 정체성 표현 욕구를 중심으로 청소년정책의 방향 전환 필요성을 제기했다.
유 활동가는 "청소년들은 시험 이후의 삶과 자기 존재에 대해 깊이 고민하며, 팬덤 문화나 특정 분야에 몰입해 자신을 표현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청소년정책이 단순한 프로그램 제공을 넘어 삶의 만족도와 안전을 높이는 방향으로 재구성돼야 하며, 이를 위해 청소년 담당자의 전문성 강화, 청소년시설 사각지대 해소, 예산 확보 및 지역사회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두 번째 발표자인 김성훈 청소년지도사는 '반곡 청소년 자유공간'의 운영 현황을 공유하며, 청소년들의 지속적인 이용과 높은 만족도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자율적 공간 활용을 통해 청소년들이 자발적으로 공간에 참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운영 성과가 나타났으나 인력 부족과 실무 교체로 인한 운영 혼선, 프로그램 안전관리 미비 등은 지속적인 과제로 지적됐다.
김 지도사는 "청소년 자유공간은 단순한 프로그램 제공을 넘어 청소년이 편안하게 쉬고 머물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정착돼야 하며,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전문 인력 확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순열 대표 의원은 "청소년의 삶과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정책 기반 마련이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정책 현장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실효성 있는 대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 |
이날 연구모임 참가자들이 대화를 나누고 있다.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