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수원 중앙연구원 직원들이 고리1호기 해체계획서를 승인받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한수원 제공 |
이번 해체계획서 승인은 단순한 문서 작업을 넘어 국내 원전 해체기술의 기준을 수립하는 중요한 성과로 인정받고 있다.
한수원은 이번 해체계획서 완성을 통해 해체 비용 평가, 선량 평가, 안전성 평가, 폐기물량 및 특성 평가 등 세부 기술 요소에 대한 체계적인 작성 방법론을 국내 실정에 맞게 정립하여 원전 해체 사업의 토대를 마련했다.
특히, 이러한 결과물은 향후 월성 1호기 해체계획서 작성에도 적용될 예정이며, 한수원은 더욱 고도화된 평가 체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한수원은 앞서 2016년 중앙연구원의 연구과제를 기반으로 고리1호기 최종 해체계획서 작성에 착수해, 2021년 5월 주민 의견을 수렴한 최종 해체계획서 초안 작성을 완료하고 규제 기관에 제출한 바 있다.
한편, 한수원 중앙연구원은 완벽한 해체를 위해 이미 58개 기술을 확보했다. 현재는 중준위 폐기물 운반 용기, 규제 해제 매체별 기반 기술, 고방사화 기기의 절단 및 제염 실증 인프라 구축 등 7개 분야 핵심 기술을 지속적으로 연구하며 관련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다. 이는 안전 중심의 해체 작업에 더욱 가까워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신호철 한수원 중앙연구원장은 "이번 해체 승인은 국내 해체 산업의 생태계 조성과 글로벌 해체 시장 개척에 한발 앞장선다는 의미"라며, "앞으로도 해체 역량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