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정기획위원회 산하 균형성장특별위원회는 8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유득원 대전시 행정부시장을 비롯해 전국 17개 시·도 부단체장, 특위 위원 20여명이 참석한 간담회를 시작으로 현장 의견 수렴에 들어갔다. 박수현 국회의원(충남 공주·부여·청양)이 위원장을 맡은 균형성장특위는 대통령 지역공약을 총괄하는 핵심 기구다. 이 대통령의 지역 공약을 유형별로 구체화한 후 국정과제에 반영하는 역할을 맡았다.
이번 간담회도 지역 특성에 맞는 균형성장 전략과 지역 공약 실현 방안, 국정과제 수립 반영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마련했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의 국토균형발전 전략인 '5도 3특'에 따라 권역별로 구성, 해당 전략을 구체화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충청권은 대전의 과학기술, 세종의 행정기능, 충남과 충북의 산업·농생명 자원을 연계하는 구조로 설정돼 있다.
이 자리에서 대전시는 국가균형성장전략 5건과 지역공약 사업과제 10건을 건의했다. 대전·충남 행정통합을 모델로 한 행정 체제 개편, 대덕 양·자 클러스터 구축 등 국가균형발전 전략과제를 포함해 대전교도소 이전, 국가 첨단바이오·메디컬 혁신 지구 조성 등 지역 핵심 과제를 제안했다.
대전·충남이 통합하면 인구 360만 명, 지역 내 총생산 200조 원의 초광역경제권이 가능하다. 대전의 우수한 과학기술 역량, 인적자본과 충남의 제조업, 풍부한 관광자원을 통합하면 시너지를 높일 수 있다.
대덕 양·자 클러스터 구축이나 국가 첨단바이오·메디컬 혁신 지구 조성은 '과학수도 대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다. 여기에 지역 오랜 숙원사업인 대전교도소 이전은 대전 서부권 발전에 키를 쥐고 있는 중요사업이다.
이날 유득원 행정부시장은 "이번에 제안한 과제들은 현 정부의 국정 방향과 핵심 공약에 부합함은 물론, 대전이 가진 과학기술수도와 충청권 수부 도시로서의 역할에 맞춘 전략들"이라며 "국정기획위원회 차원에서 면밀히 검토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어 "앞으로도 국정과제 및 지역 과제의 구체화 과정에 최선을 다해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시는 간담회 이후 시정 핵심 현안을 국정과제에 반영하기 위한 후속 조치에 집중할 방침이다.
한편 균형성장특위는 8일까지 광역권 첨단산업 육성 방안, 정주여건 개선 등에 대한 논의를 이어간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