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AIST 장영재 교수 |
KAIST는 산업 및 시스템공학과 장영재 교수팀이 전북도, 전북대, 성균관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모 사업인 '피지컬 AI 핵심기술 실증' 사업을 공동 수주하고 연구를 총괄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전북도 내 협업지능 피지컬 AI 산업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원천 기술 개발과 테스트베드 구축, 산업 확산 등을 추진한다. 9월 1일부터 5년간 진행되며 앞으로 1조 원 규모로 예상되는 실증에도 참여할 예정이다.
피지컬 AI는 AI가 시공간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로봇, 자율주행차, 공장 자동화 기기 등 물리적 장치들이 사람의 지시 없이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최신 AI 기술이다. 여러 로봇과 자동화 장비가 투입되는 공장 환경에서 이들이 서로 협력해 목표를 달성하는 기술로, 반도체·2차전지·자동차 제조 분야에서 '다크 팩토리'(무인 공장) 구현을 위한 핵심 기반이다.
![]() |
반도체 물류 로봇 운영시스템에서 피지컬 AI활용 모식도. KAIST 제공 |
장영재 KAIST 교수는 2016년부터 협업지능 피지컬 AI 관련 연구를 했다. 2019년 KAIST 10대 대표 연구 성과에 선정되기도 했다.
장영재 교수는 "이번 대형 국책사업 수주는 지난 10여 년간 축적한 KAIST의 협업지능 피지컬 AI 연구 역량이 국내·외에서 인정받은 결과"라며 "대한민국 제조 산업이 글로벌 선도형 '피지컬 AI 제조혁신 모델'을 구축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KAIST는 학문적 연구를 넘어 국가 전략기술의 실질적 산업화를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며 "이번 성과를 계기로 전북대, 전북도와 협력해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피지컬 AI 혁신 거점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