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가용 수요 조절이 미래 세종시 대중교통 정책의 키워드로 남아 있다. 사진=세종도시교통공사 제공. |
30일 2024년 한국교통연구원이 분석한 전국 교통수요 자료를 보면, 승용차 비중은 여전히 54.2%로 높았다. 도보와 자전거, 킥보드, 택시 등이 36%, 버스와 철도가 9.8%로 뒤를 이었다. 이 결과는 30일 오후 2시 어진동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세종도시교통공사와 세종평생교육·정책연구원 공동 주최로 열린 정책 토론회에서 확인됐다.
대전과 충남, 충북 등 다른 지역을 오가는 광역 통행의 승용차 점유율은 80.4%로 내부(42.1%)의 2배에 달하고 있다. 버스와 철도는 외지 17.8%, 내부 6.1%로 파악됐다. 다행스런 지점은 도보와 자전거, 킥보드, 택시 등의 비중은 내부(51.8%)가 외부(1.8%)보다 크게 높다는 데 있다.
2024년 9월 이응패스(정액권) 도입과 함께 버스 이용율이 높아지고 있으나, 자가용 수요의 대항마로 자리매김하기엔 부족한 수준으로 보인다. 어울링(공공자전거)은 이응패스 도입 후 완만한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이응패스 구입자는 어울링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어 이용권 구매는 줄었으나 사용률은 여전히 상승세에 있다.
![]() |
인구 1000인당 지원 예산액 비교표. |
실제 시내버스는 지난 2016년보다 211대 증가한 322대에 이르고 있고, 광역버스는 31대 늘어난 58대다. 또 마을버스 25대와 읍면 두루타 38대, 신도심 이응버스 30대까지 사회적 비용은 적자와 비례해 늘고 있다.
시민 1000인당 지원 예산액과 투입 대수도 다른 지역 대비 크게 높다. 이 수치가 버스 교통 수요를 늘리는 기제가 되고 있는 지는 따져볼 문제다.
1000인당 지원 예산액은 1억 4980만 원으로 대전(6730만 원)의 2배 이상이고 청주(1억 270만 원)보다 높은 수치다. 대전은 지하철이 있는 조건이 작용한 모습이다.
![]() |
인구 1000인당 투입 대수 비교표. |
결국 당면 과제는 ▲자가용 억제 정책(예시>5부제와 무료 주차장 축소) ▲버스 요금 현실화(대전과 충남, 충북 메가시티 통합 요금제 감안) ▲노선 신설과 폐지의 조화로운 기준 마련(사회적 합의) ▲수요응답형 이응버스 규제 철폐(1·2생↔3·4생 접근 불가) : 폐지 노선의 대안 수단 ▲이응패스 요금제 다변화(예>만 원권 추가 도입 등) ▲친환경 수소 버스 충전 시설 확충 ▲자율주행차 전면 도입 가능성 등으로 모아진다.
시 관계자는 "내년 상반기 용역을 통해 노선 조정과 버스 요금 현실화 등의 숙제를 찾고 있다"라며 "이응패스와 이응버스, 어울링 등의 대중교통 정책도 보다 세밀하게 다듬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