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산상공회의소 전경./부산상의 제공 |
부산상공회의소는 지역 제조업 259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4분기 부산지역 제조업 경기전망지수(BSI) 조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BSI는 기준치 '100' 이상이면 경기 호전을, 미만이면 악화를 의미한다.
4분기 지역 제조업 BSI는 '64'로 전분기(81) 대비 17p 급락했다. 이번 하락은 최근 20분기 중 가장 낮은 수치다. 이는 최근 교착상태에 빠진 한·미 관세협상 영향과 함께 국내 소비 둔화, 지역 건설경기 침체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경영 부문별로는 자금사정이 '68'로 전분기 대비 8p 하락했고, 매출(69), 영업이익(66)도 각각 6p 하락했다. 관세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비용 부담이 커졌음에도 납품가 인상은 상대적으로 제한되면서 수익성을 압박한 탓이다.
업종별로는 전 업종에서 기준치(100)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전분기 기준치 이상을 기록했던 조선기자재(117→60), 화학·고무(100→65)도 원자재 가격 상승과 구인난 등을 이유로 크게 하락했다.
이외에도 전기·전자(56), 1차금속(60), 자동차·부품(77) 등은 고율 관세에 따른 매출 및 영업이익의 동반 하락으로 경기가 악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연초 목표 대비 매출 달성 전망에 대해서는 조사 기업의 73.7%가 올해 '매출 목표에 미달'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매출 목표 부진의 이유로는 내수시장 침체(58.7%)가 가장 높았다.
올해 영업이익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손익분기점 수준(57.5%)과 적자 기업(37.9%)을 합하면 전체의 95.4%가 이익을 내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의 영업이익을 약화시킨 가장 큰 요인으로는 원자재가 상승(57.1%)을 꼽았다.
새 정부 출범 이후에도 무역환경 불확실성에 대해서는 '변화 없음'이 92.7%로 가장 높아 대미 수출 관세 불확실성이 여전히 교착상태임을 시사했다.
법·제도 부담과 관련해서는 '부담이 가중'되었다는 응답이 19.7%에 달해 노란봉투법, 상법개정 등 기업 규제 강화 여파로 중소기업이 제도 변화에 더 큰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분석됐다.
부산상공회의소 조사연구팀 관계자는 "경기 침체와 소비 부진, 대미 수출 관세의 파급 효과로 인해 지역 기업이 느끼는 충격이 상당한 수준"이라며 "정부의 내수 회복 및 통상 리스크 완화 지원을 통해 기업들이 한계 상황에 내몰리지 않도록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