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성군청 전경<사진=김정식 기자> |
행감에서는 매년 예산이 늘지만 체감 효과는 낮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최두임 의원은 "청년센터 운영비는 늘어나지만 참여율은 오히려 줄고 있다"며 "프로그램 중복과 홍보 미흡을 개선하라"고 요구했다.
인구청년추진단 관계자는 "프로그램 통합관리시스템을 도입 중이며, 내년부터 평가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답했다.
허옥희 위원장은 "청년정책은 단순한 지원이 아니라 정주 기반이어야 한다"며 "주거·일자리와 연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정숙 의원은 "행정이 청년과의 접점을 행사 중심으로만 본다"며 "생활 속 참여 모델을 설계하라"고 주문했다.
우정욱 의원은 "홍보 부족이 참여 저조의 원인"이라며 "온라인 기반 소통 채널을 확대하라"고 덧붙였다.
군의회는 청년정책이 지속성과 자생력을 확보하지 못하면 예산 낭비로 귀결된다고 경고했다.
청년은 미래가 아니라 현재의 주체다.
행정이 함께 걸을 때 청년은 머문다.
고성=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