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원시청 전경<제공=창원시> |
입찰보다 수의계약이 많았고, 특정 업체가 연속 수주한 사실이 드러났다.
김이근 의원은 "홍보물 용역의 절반이 동일 업체에 몰려 있다"며 "심사 기준표가 없으니 의심이 생긴다"고 말했다.
공보관 담당자는 "공정 절차를 거쳤으며, 최저가로 계약했다"고 답했다.
그러나 최저가 근거를 묻자 구체적 자료는 없었다.
속기록에 따르면 2023년부터 올해까지 같은 업체가 주요 행사 홍보물 제작을 세 차례 이상 수주했다.
심사표는 비공개였고, 평가위원 명단은 보존되지 않았다.
형식은 남았지만, 내용은 사라졌다.
김영록 의원은 "공정성을 입으로만 말하는 행정은 이미 신뢰를 잃은 것"이라며 "재공모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공보관 담당자는 "인력 부족으로 모든 사업을 공모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그러나 인력은 구조의 문제지 핑곗거리가 될 수 없었다.
행정이 절차를 지켰다고 말할 때, 시민은 과정을 묻는다.
공정이 빠진 절차는 연극이 되고, 행정은 그 무대의 조연으로 남는다.
창원=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